목차
- 쓰 기 -
≪ 7차 교육 과정 ≫
⑴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안다.
1. 쓰기와 말하기의 특성
2. 쓰기 활동과 말하기 활동의 예
⑵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다
1. 다양한 매체의 이용
⑶ 내용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1. 통일성 있는 글의 특징
2. 통일성 있는 글쓰기
3. 통일성을 깨뜨리는 문단
⑷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1. 수사법
2. 그 밖의 표현 방법
⑸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을 고쳐 쓴다
1. 고쳐 써야 할 부분을 찾아보자
⑹ 글을 자주 쓰는 습관을 지닌다
≪ 개정 시안 ≫
<글의 수준과 범위>
⑴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통일성 있게 설명문을 쓴다
⑵ 절차와 결과가 드러나게 보고서를 쓴다.
1. 보고서의 정의
2. 보고서의 목적
3. 보고서의 특성
4. 보고서의 구성
5. 보고서를 쓸 때 유의할 점
6. 보고서 작성하기
우리 학교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실태
⑶ 문제 해결 방안이나 요구 사항을 담아 건의하는 글을 쓴다.
1. 건의문의 정의
2. 건의문의 특성
3. 건의문의 구성
4. 건의문 작성하기
우편 행정에 대한 건의문
⑷ 여러 가지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을 쓴다.
1. 격려문 또는 위로문의 정의
2. 격려문 또는 위로문의 표현 방법
3. 격려문 또는 위로문 작성하기
⑸ 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1. 수필의 정의
2.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3. 수필의 표현 방법
3. 수필을 통한 개성 발견의 의미
4. 수필의 감상법
≪ 7차 교육 과정과 개정 시안의 비교 ≫
⑴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안다.
⑵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다
⑶ 내용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⑷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⑸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을 고쳐 쓴다
⑹ 글을 자주 쓰는 습관을 지닌다.
【7-쓰-⑵】귀납적 구성 방식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를 쓴다
【7-쓰-⑶】상황을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 방안을 촉구하는 건의 혹은 항의하는 글을 쓴다
【7-쓰-⑷】여러 가지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을 쓴다.
【7-쓰-⑸】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 7차 교육 과정 ≫
⑴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안다.
1. 쓰기와 말하기의 특성
2. 쓰기 활동과 말하기 활동의 예
⑵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다
1. 다양한 매체의 이용
⑶ 내용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1. 통일성 있는 글의 특징
2. 통일성 있는 글쓰기
3. 통일성을 깨뜨리는 문단
⑷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1. 수사법
2. 그 밖의 표현 방법
⑸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을 고쳐 쓴다
1. 고쳐 써야 할 부분을 찾아보자
⑹ 글을 자주 쓰는 습관을 지닌다
≪ 개정 시안 ≫
<글의 수준과 범위>
⑴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통일성 있게 설명문을 쓴다
⑵ 절차와 결과가 드러나게 보고서를 쓴다.
1. 보고서의 정의
2. 보고서의 목적
3. 보고서의 특성
4. 보고서의 구성
5. 보고서를 쓸 때 유의할 점
6. 보고서 작성하기
우리 학교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실태
⑶ 문제 해결 방안이나 요구 사항을 담아 건의하는 글을 쓴다.
1. 건의문의 정의
2. 건의문의 특성
3. 건의문의 구성
4. 건의문 작성하기
우편 행정에 대한 건의문
⑷ 여러 가지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을 쓴다.
1. 격려문 또는 위로문의 정의
2. 격려문 또는 위로문의 표현 방법
3. 격려문 또는 위로문 작성하기
⑸ 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1. 수필의 정의
2.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3. 수필의 표현 방법
3. 수필을 통한 개성 발견의 의미
4. 수필의 감상법
≪ 7차 교육 과정과 개정 시안의 비교 ≫
⑴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안다.
⑵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다
⑶ 내용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⑷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⑸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을 고쳐 쓴다
⑹ 글을 자주 쓰는 습관을 지닌다.
【7-쓰-⑵】귀납적 구성 방식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를 쓴다
【7-쓰-⑶】상황을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 방안을 촉구하는 건의 혹은 항의하는 글을 쓴다
【7-쓰-⑷】여러 가지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을 쓴다.
【7-쓰-⑸】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본문내용
하는가?’는 중요치 않네. 이 땅위의 모든 이들은 늘 세상의 역사에서 저마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니. 다만, 대개는 그 사실을 모르고 있을 뿐이지.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⑸ 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이해하기
○ 생활 체험에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내용 선정하기
○ 개인적인 생활 체험이 잘 드러나도록 표현하기
○ 생활 체험을 공유하지 못한 독자 고려하기
1. 수필의 정의 :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인생이나 자연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느낌이나 체험을 생 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
2.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
① 수필은 무형식의 자유로운 산문이다.
② 수필은 비교적 길이가 짧은 산문이다.
③ 수필은 작가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고백문학이다.
④ 수필은 그 제재가 대단히 광범위하다.
⑤ 수필은 작가의 인생관이나 사상, 감정이 잘 드러난 주관적이고 주정적인 문학이다.
⑥ 수필은 유머, 위트, 비평 정신이 들어있는 글이다.
⑦ 수필은 전문적인 지식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비전문성의 글이다.
3. 수필의 표현 방법 :
o 일반적인 표현
① 설명 - 대상에 대한 사실, 지식 등을 알기 쉽게 전달하여 이해시킨다.
② 묘사 - 어떤 대상에서 얻은 감각적 인상을 독자의 감각 기관에 호소하여 전달한다.
③ 서사 - 시간 속에서 일어난 사건, 행위, 삶을 기술한다.
④ 논증 - 주장이나 의견에 대해 객관적인 논거를 제시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한다.
o 개성적인 표현
⑤ 해학 - 정답과 긍정적인 우스개, 표현 대상과 주체ㆍ독자가 대등한 위치에서 느낀다.
⑥ 기지 - 뭇 사람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가벼운 웃음의 말, 재빠른 판단력 등을 말한다.
⑦ 반어 - 표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와 반대되는 뜻의 말을 하여 표현 주체와 독 자의 일부분이 대상을 비웃는다.
⑧ 역설 - 모순을 일으키지만 진리의 일면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⑨ 풍자 - 부조리한 사회 현상이나 인간에 대해 그 잘못을 공격하여 바로잡고자 한다.
3. 수필을 통한 개성 발견의 의미 :
① 지은이의 사유(思惟)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
② 인생과 세계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시각을 가질 수 있다.
③ 인간과 사물에 대해 보다 넉넉하고 여유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④ ‘대화적 상상력’을 길러 삶과 대사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해 낼 수 있다.
4. 수필의 감상법 :
① 소재와 주제를 파악한다.
② 지은이의 성격, 인생관을 살펴본다.
③ 지은이의 개성적인 문체, 말투, 표현 등을 살펴본다.
④ 지은이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 본다.
≪ 7차 교육 과정과 개정 시안의 비교 ≫
제7차 교육 과정
개정 시안
비고
(수정ㆍ보완사항)
⑴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안다.
【기본】
동일한 내용을 말로 할 때와 글로 쓸 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말한다.
【심화】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표로 나타내고,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 는 글을 쓴다.
⑵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글 을 쓴다.
【기본】
인터넷, 컴퓨터 통신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 글을 쓴 다.
【심화】
주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의 종류와 활용법 등을 조사한다.
주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를 이용하여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 다.
⑶ 내용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기본】
주제를 정하고, 주제에서 벗어나는 내 용이 없도록 개요를 짜서 글을 쓴다.
【심화】
통일성을 고려하여 일부분만 주어진 글을 완성한다.
⑷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기본】
주어진 속담, 관용 표현, 격언, 명언 등을 적절히 인용하여 글을 쓴다.
【심화】
주제를 나타내기에 알맞은 속담, 관용 표현, 격언, 명언 등을 찾고, 이를 인 용하면서 글을 쓴다.
⑸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을 고쳐 쓴다.
【기본】
자신이 쓴 글에서, 주제에서 벗어난 내 용을 고쳐 쓴다.
【심화】
다른 사람이 쓴 글에서, 주제에서 벗어 난 내용을 고쳐 쓴다.
⑹ 글을 자주 쓰는 습관을 지닌다.
【기본】
글을 자주 쓰면 어떤 점이 좋은지 말 한다.
【심화】
글을 자주 쓰는 것, 글을 가끔 쓰는 것, 전혀 글을 쓰지 않는 것이 어떤 차 이가 있는지 친구들과 토의한다.
【7-쓰-⑴】정의, 비교, 직접 인용 등 다양 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며 설명하는 글을 쓴다.
<텍스트>
설명문(원리, 현상)
<내용 요소>
설명문의 특성, 통일성의 개념 이해하기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 선정하기
통일성 있게 내용 정리하고 표현하기
통일성을 고려하여 고쳐 쓰기
【7-쓰-⑵】귀납적 구성 방식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를 쓴다.
<텍스트>
보고서
<내용 요소>
보고서의 목적, 특성, 구성 요소 이해하 기
사실, 자료, 생각을 기록하며 관찰ㆍ조 사ㆍ실험하기
절차와 결과를 중심으로 내용 정리하기
관찰ㆍ조사ㆍ실험 및 보고의 윤리 지키 기
【7-쓰-⑶】상황을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 하고 해결 방안을 촉구하는 건의 혹은 항의하는 글을 쓴다.
<텍스트>
건의ㆍ항의하는 글
<내용 요소>
건의하는 글의 특성 이해하기
문제 및 해결 방안을 중심으로 쓸 내용 정리하기
간결하고 명확하며 진지하게 표현하기
건의하는 글이 소통되는 일반적인 맥락 이해하기
【7-쓰-⑷】여러 가지 표현 전략을 사용하 여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을 쓴다.
<텍스트>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
<내용 요소>
격려나 위로가 필요한 상황을 이해하기
독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표현 전략 이해하기
비유나 강조 등 다양한 표현 전략을 사 용하여 쓰기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과 상투적인 표현 을 찾아 고쳐 쓰기
【7-쓰-⑸】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텍스트>
수필(생활 체험)
<내용 요소>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이해하기
생활 체험에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 움을 줄 수 있는 내용 선정하기
개인적인 생활 체험이 잘 드러나도록 표현하기
생활 체험을 공유하지 못한 독자 고려 하기
‘학년별 내용’을 ‘성취 기준’으로 제 시
‘성취 기준’에 대한 <수준과 범위>, <텍스 트>, <내용 요소> 제 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⑸ 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이해하기
○ 생활 체험에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내용 선정하기
○ 개인적인 생활 체험이 잘 드러나도록 표현하기
○ 생활 체험을 공유하지 못한 독자 고려하기
1. 수필의 정의 :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인생이나 자연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느낌이나 체험을 생 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
2.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
① 수필은 무형식의 자유로운 산문이다.
② 수필은 비교적 길이가 짧은 산문이다.
③ 수필은 작가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고백문학이다.
④ 수필은 그 제재가 대단히 광범위하다.
⑤ 수필은 작가의 인생관이나 사상, 감정이 잘 드러난 주관적이고 주정적인 문학이다.
⑥ 수필은 유머, 위트, 비평 정신이 들어있는 글이다.
⑦ 수필은 전문적인 지식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비전문성의 글이다.
3. 수필의 표현 방법 :
o 일반적인 표현
① 설명 - 대상에 대한 사실, 지식 등을 알기 쉽게 전달하여 이해시킨다.
② 묘사 - 어떤 대상에서 얻은 감각적 인상을 독자의 감각 기관에 호소하여 전달한다.
③ 서사 - 시간 속에서 일어난 사건, 행위, 삶을 기술한다.
④ 논증 - 주장이나 의견에 대해 객관적인 논거를 제시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한다.
o 개성적인 표현
⑤ 해학 - 정답과 긍정적인 우스개, 표현 대상과 주체ㆍ독자가 대등한 위치에서 느낀다.
⑥ 기지 - 뭇 사람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가벼운 웃음의 말, 재빠른 판단력 등을 말한다.
⑦ 반어 - 표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와 반대되는 뜻의 말을 하여 표현 주체와 독 자의 일부분이 대상을 비웃는다.
⑧ 역설 - 모순을 일으키지만 진리의 일면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⑨ 풍자 - 부조리한 사회 현상이나 인간에 대해 그 잘못을 공격하여 바로잡고자 한다.
3. 수필을 통한 개성 발견의 의미 :
① 지은이의 사유(思惟)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
② 인생과 세계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시각을 가질 수 있다.
③ 인간과 사물에 대해 보다 넉넉하고 여유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④ ‘대화적 상상력’을 길러 삶과 대사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해 낼 수 있다.
4. 수필의 감상법 :
① 소재와 주제를 파악한다.
② 지은이의 성격, 인생관을 살펴본다.
③ 지은이의 개성적인 문체, 말투, 표현 등을 살펴본다.
④ 지은이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 본다.
≪ 7차 교육 과정과 개정 시안의 비교 ≫
제7차 교육 과정
개정 시안
비고
(수정ㆍ보완사항)
⑴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안다.
【기본】
동일한 내용을 말로 할 때와 글로 쓸 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말한다.
【심화】
쓰기와 말하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표로 나타내고,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 는 글을 쓴다.
⑵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글 을 쓴다.
【기본】
인터넷, 컴퓨터 통신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 글을 쓴 다.
【심화】
주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의 종류와 활용법 등을 조사한다.
주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를 이용하여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 다.
⑶ 내용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기본】
주제를 정하고, 주제에서 벗어나는 내 용이 없도록 개요를 짜서 글을 쓴다.
【심화】
통일성을 고려하여 일부분만 주어진 글을 완성한다.
⑷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기본】
주어진 속담, 관용 표현, 격언, 명언 등을 적절히 인용하여 글을 쓴다.
【심화】
주제를 나타내기에 알맞은 속담, 관용 표현, 격언, 명언 등을 찾고, 이를 인 용하면서 글을 쓴다.
⑸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을 고쳐 쓴다.
【기본】
자신이 쓴 글에서, 주제에서 벗어난 내 용을 고쳐 쓴다.
【심화】
다른 사람이 쓴 글에서, 주제에서 벗어 난 내용을 고쳐 쓴다.
⑹ 글을 자주 쓰는 습관을 지닌다.
【기본】
글을 자주 쓰면 어떤 점이 좋은지 말 한다.
【심화】
글을 자주 쓰는 것, 글을 가끔 쓰는 것, 전혀 글을 쓰지 않는 것이 어떤 차 이가 있는지 친구들과 토의한다.
【7-쓰-⑴】정의, 비교, 직접 인용 등 다양 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며 설명하는 글을 쓴다.
<텍스트>
설명문(원리, 현상)
<내용 요소>
설명문의 특성, 통일성의 개념 이해하기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 선정하기
통일성 있게 내용 정리하고 표현하기
통일성을 고려하여 고쳐 쓰기
【7-쓰-⑵】귀납적 구성 방식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를 쓴다.
<텍스트>
보고서
<내용 요소>
보고서의 목적, 특성, 구성 요소 이해하 기
사실, 자료, 생각을 기록하며 관찰ㆍ조 사ㆍ실험하기
절차와 결과를 중심으로 내용 정리하기
관찰ㆍ조사ㆍ실험 및 보고의 윤리 지키 기
【7-쓰-⑶】상황을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 하고 해결 방안을 촉구하는 건의 혹은 항의하는 글을 쓴다.
<텍스트>
건의ㆍ항의하는 글
<내용 요소>
건의하는 글의 특성 이해하기
문제 및 해결 방안을 중심으로 쓸 내용 정리하기
간결하고 명확하며 진지하게 표현하기
건의하는 글이 소통되는 일반적인 맥락 이해하기
【7-쓰-⑷】여러 가지 표현 전략을 사용하 여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을 쓴다.
<텍스트>
격려하거나 위로하는 글
<내용 요소>
격려나 위로가 필요한 상황을 이해하기
독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표현 전략 이해하기
비유나 강조 등 다양한 표현 전략을 사 용하여 쓰기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과 상투적인 표현 을 찾아 고쳐 쓰기
【7-쓰-⑸】자신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을 쓴다.
<텍스트>
수필(생활 체험)
<내용 요소>
수필의 내용적ㆍ형식적 특성 이해하기
생활 체험에서 독자에게 감동이나 즐거 움을 줄 수 있는 내용 선정하기
개인적인 생활 체험이 잘 드러나도록 표현하기
생활 체험을 공유하지 못한 독자 고려 하기
‘학년별 내용’을 ‘성취 기준’으로 제 시
‘성취 기준’에 대한 <수준과 범위>, <텍스 트>, <내용 요소> 제 시
키워드
추천자료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11종 문학 교과서를 중...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및 신구 교육과정 비교
7차 교육과정과 지리교과서 분석
7차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개정시안의 차이점(7학년 읽기)
7차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8차 교육과정을 말함)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비교
슬기로운생활과(슬기로운생활교육과정)의 특성과 개정, 슬기로운생활과(슬기로운생활교육과정...
국어교육(국어과교육)의 성격, 국어교육(국어과교육)의 원리, 제7차 국어과교육과정의 성격, ...
[교육학] 제 6, 7차 교육과정. 교과서 비교
[아동건강교육공통] 3-5세 누리과정에서의 건강교육부분을 설명하되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표준보육과정과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하기
[유치원 교육과정] 유치원 교육과정, 6차, 7차 교육과정, 교육과정 비교, 유치원 교육 방침 ...
[일본어 교과교육론] 일본어 교재연구 (교육과정에 따른 일본어교재,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
제 7차 상업계열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