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주의 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본문내용
산계급의 집정(執政)을 자본주의의 폭위로부터 인류를 해방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또 보편적 절대 자치의 소비에트정치를 무산계급 집정의 유일의 정체(政體)”라고 하였다. 이와같이 상해파 고려공산당은 강령에서 프롤레타리아트 독재에 의한 소비에트 정부의 수립을 최대 강령으로 선명하게 밝히고 있었다.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대립은 강령이나 노선 상의 차이보다는 통일전선의 대상과 관련된다. 첫 번째 대립은 상해임정 참여 문제였다. 상해파는 고심 끝에 임정 참여를 결정하지만 이르쿠츠크파는 이에 반대하고 대한국민의회 계열과 상해임정과의 ‘타협’을 거부했다. 또 상해파는 베르흐네우진스크의 통합대회에서 통일전선의 대상으로 민족주의진영내의 점진적 문화운동론자를 포함하였으나 이르쿠츠크파는 이들에 대해 고립화 정책을 취했다.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대립은 강령이나 노선 상의 차이보다는 통일전선의 대상과 관련된다. 첫 번째 대립은 상해임정 참여 문제였다. 상해파는 고심 끝에 임정 참여를 결정하지만 이르쿠츠크파는 이에 반대하고 대한국민의회 계열과 상해임정과의 ‘타협’을 거부했다. 또 상해파는 베르흐네우진스크의 통합대회에서 통일전선의 대상으로 민족주의진영내의 점진적 문화운동론자를 포함하였으나 이르쿠츠크파는 이들에 대해 고립화 정책을 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