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를 통해 본 낙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유사를 통해 본 낙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은 것을 들 수있다. 그리고 고려태조가 신라마지막 왕 김부에게 보내는 딸을 낙랑공주라고 일컫은데서 알 수 있다. 신라에게 보내는 딸을 낙랑공주라고 하는 것은 그만큼 신라와 낙랑이 관련이 크다는 것을 있기 때문이다.
위의 기록과 합하여 정리하여보면 주로 낙랑의 영토는 고구려에게 흡수되고 그 유민들은 신라로 건너간 것을 알수 있다.
고구려와 관련된 기록을더 찾아보면 대무신왕때 낙랑의 영토를 군현으로 삼은 점과 (7)에서 하늘과 산천에 지내는 중요한 제사를 낙랑에서 지내는 것에서 알 수있다. 물론 (7)의 낙랑은 낙랑을 일컫을때와 한자도 같다.
이렇듯 낙랑은 고구려 신라 백제와 모두에게 사료에 적힐 만큼의 영향을 미친것이다. 이 기록만 보면 낙랑은 영토도 우리나라 안에 있고 민족도 항복하여서 우리 민족에게 융화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낙랑은 고조선이 멸망하고 중국이 세운 한 4군중 하나로 중국의 영향권에 있는 곳 이었다. 그래서 중국문물을 전해주는 역할도 하였지만 동시에 우리 민족국가들과 지속적인 잦은 분쟁이 있었다. 삼국의 모든 나라들과 분쟁한 사료가 남아있다.
그러나 일부 낙랑인들은 우리나라에 융합되어서 신라유민으로 건너가는등 우리민족과 융합도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