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에서 나타나는 노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유사에서 나타나는 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어쨌든 문맥상 위의 예시문에 나타나는 간자는 중요한 물건이라고 할 수 있다. 예시문에서는 이것을 던져서 찾아내는 행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연상되는 놀이가 있다. 바로 보물찾기다. 현대의 보물찾기와는 그 형태가 조금 다르지만 전체적인 행동의 양상은 비슷하게 나타난다. 간자가 중요한 것을 적어두는 일종의 쪽지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지금 하는 보물찾기는 생각 외로 옛날에는 심지의 간자설화를 떠올리며 행동을 따라하는 풍습으로 신성한 행동이었을지도 모른다. 그것이 점차 널리 퍼지면서 지금의 보물찾기로 변한 것이다. 놀이가 언제 어떤 유래로 전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노래가 만들어진 배경과 목적 등, 그 정서와 형식은 면밀히 이어 내려왔다고 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번 발표문 작성을 계기로 삼국유사에서 나타나는 노래들을 정리하고 분류하면서 옛날부터 노래는 다양한 목적과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난 것을 직접 느껴보았다. 우리는 옛날 노래를 고전시가라고 부르며 해제를 외워야 하는 양 배워왔다. 고전시가라는 영역을 지금의 노래(일반 가요를 비롯하여 시 등을 포함)와 다른 차원의 문학영역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심지가 진표조사의 뒤를 잇다\'에서 나오는 노래처럼 그 모습이 알게 모르게 우리의 일상 속의 놀이로써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놀이 말고도 삼국유사에서 나타나는 옛 노래들은 면면히 이어져서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삼국유사(1, 2), 1997, 솔, 서울, 일연 등, 이재호 옮김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