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공산당의 재건과 혁명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당 중앙의 재건과 대표성

2) 정세인식과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론

본문내용

. 조선공산당의 박헌영을 비롯한 사회주의자들은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과 프롤레타리아혁명을 구분하는 성장전화론·단계론에 따라 혁명론을 이해하고 있었다. 조선공산당은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론에서 토지개혁을 전제조건으로 사고하여 조선에서 토지문제를 해결한 뒤에야 반자본주의 과제의 해결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요컨대, 조선공산당은 혁명론에서 반제반봉건 과제와 반자본주의, 사회주의 과제를 기계적으로 구분하여 단계론적으로 사고하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지점에서 조선공산당의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론에 따른 성장전화노선이 문제되는 것이다. 곧 조선공산당이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론에 바탕한 단계론적 인식에 따라 반제반봉건 과제를 반자본주의·사회주의 과제를 분리하고, 대중운동의 수준을 조절할 경우, 해방직후 좌파운동·대중운동이 지닌 다양한 전망을 제대로 결합시켜 내지 못할 한계를 안고 있었다. 이는 조선공산당이 반자본주의 과제와 결합된 노동자 공장관리문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현실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선공산당의 혁명론은 노동운동의 가능성을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의 틀안에 묶어두어 규격화하고, 노동운동의 영역에서 당과 대중, 당 운동과 대중운동을 분리시킬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