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하는 것을 당면목표로 삼았다. ‘코민테른에 제출할 국내정세보고’는 노동자·농민계급의 동맹과 함께 농업혁명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농업혁명이 바로 토지혁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토지의 몰수를 주장한 것은 이전에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었다.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논강’에서도 일본제국주의와 봉건유제에 대한 혁명적 운동의 불가분성이 인식되고 사회혁명으로서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을 제창하였지만 역시 그것을 토지개혁 또는 토지혁명과 연결시키지는 않았다. 이에 비해 「12월테제」는 토지혁명을 제시했다.
결국 ‘코민테른에 제출할 국내정세보고’와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논강’은 민족문제, 정권의 형태, 토지·농민문제 등에서 「12월테제」의 정식으로 나아가는 과도적인 양상을 표현하고 있다.
결국 ‘코민테른에 제출할 국내정세보고’와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논강’은 민족문제, 정권의 형태, 토지·농민문제 등에서 「12월테제」의 정식으로 나아가는 과도적인 양상을 표현하고 있다.
추천자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조선 노동당의 성립과 유일체제 확립
조선의 실학사상
중국 정부가 바라보는 조선족과 조선족 정책, 탈북자 문제
조선 건국과 조선 초기의 한문학에 대한 이해와 고찰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조선 정국의 운영과 갈등 - 도학과 사화를 중심으로
조선중기 붕당 전개과정
조선 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의 대두
조선문학가동맹의 결성과 민주주의 민족문학 발전
조선의 메멘토모리 내용정리 및 느낀 점 _ 정구선 저
조선의 왕릉, 태강릉
[관직][명칭][신라][조선][고구려][백제][품계][관직체계][관직품계]관직과 명칭, 관직과 신...
[1920년대,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1920년대의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1920년대의 문화통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