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명칭][신라][조선][고구려][백제][품계][관직체계][관직품계]관직과 명칭, 관직과 신라, 관직과 조선, 관직과 고구려 및 백제, 관직과 품계 분석(관직, 명칭, 신라, 조선, 고구려, 백제, 품계, 관직체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직][명칭][신라][조선][고구려][백제][품계][관직체계][관직품계]관직과 명칭, 관직과 신라, 관직과 조선, 관직과 고구려 및 백제, 관직과 품계 분석(관직, 명칭, 신라, 조선, 고구려, 백제, 품계, 관직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관직과 명칭

Ⅲ. 관직과 신라
1. 태대각간(太大角干)
2. 집사성(執事省)
3. 병부(兵部)
4. 조부(調俯)
5. 경성주작전(京城周作典)
6. 상대등(上大等)
7. 대각간(大角干)
8. 사천왕사성전(四天王寺成典)
9. 봉성사성전(奉聖寺成典)
10. 감은사성전(感恩寺成典)
11. 봉덕사성전(奉德寺成典)
12. 봉은사성전(奉恩寺成典)
13. 영묘사성전(永廟寺成典)
14. 영흥사성전(永興寺成典)
15. 창부(倉部)
16. 예부(禮部)
17. 승부(乘府)
18. 사정부(司正府)
19. 예작부(例作府)
20. 선부(船府)
21. 영객부(領客府)
22. 제감(弟監)
23. 감사지(監舍知)
24. 소감(少監)
25. 군사당주(軍師幢主)
26. 대장척당주(大匠尺幢主)
27. 삼천당주(三千幢主)
28. 주서(五洲誓)
29. 사신(仕臣)

Ⅳ. 관직과 조선

Ⅴ. 관직과 고구려 및 백제
1. 고구려의 관직
1) 수서
2) 신당서
3) 책부원귀
4) 본국고기
2. 백제의 관직
1) 북사
2) 수서
3) 당서
4) 본국고기

Ⅵ. 관직과 품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고, 기록이 모호하기 때문에 자세히 알 수가 없어 몇몇의 사서에 나타나는 들만 알아보겠다.
1. 고구려의 관직
고구려인들의 관위는 신문왕 6년에 고구려 사람들에게 중앙의 관위를 주되 본국에서의 관직과 위품을 참작해 주었다. 일길찬은 본국의 主簿에게 , 사찬은 본국의 大相에게, 급찬은 본국의 位頭大兄과 從大相에게, 나마는 본국의 小相과 狄相에게, 대사는 본국의 小兄에게, 사지는 본국의 諸兄에게, 길차는 본국의 先人에게, 오지는 본국의 自位에게 주었다.
1) 수서
고구려의 관직은 모두 12등급이며, 다시 내평(內評), 외평(外評), 5부의 욕살(褥薩)이 있었다.
등급
관직명
등급
관직명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태대형(太大兄)
대형(大兄)
소형(小兄)
대로(對盧)
의후사(意侯奢)
오졸(烏拙)
7등급
8등급
9등급
10등급
11등급
12등급
태대사자(太大使者)
대사자(大使者)
소사자(小使者)
욕사(褥奢)
예속(屬)
선인(仙人)
2) 신당서
등급
관직명
등급
관직명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대대로(大對盧){토졸(吐猝)}
울절(鬱折):호적과 문서 관장,
태대사자
조의두대형
대사자(大使者)
대형(大兄)
7등급
8등급
9등급
10등급
11등급
12등급
상위사자(上位使者),
제형(諸兄),
소사자(小使者),
과절(過節),
선인(先人),
고추대가(古鄒大加)
3) 책부원귀
고구려는 후한 시대에 그 나라에 관직을 두었는데 관직은 13등급이며,
상가(相加), 대로(對盧),패자(沛者), 고추대가(古鄒大加), 주부(主簿), 우태(優台), 사자(使者), 조의(衣), 선인(先人)이 있다. 일설에는 대관(大官), 소형(小兄), 의사사(意俟僿), 오졸(烏拙), 태대사자(太大使者), 소사자(小使者), 욕설(褥薩), 욕사(褥奢), 예속(屬), 선인(仙人)을 합해 모두 13등급이 있으며, 내평(內評)과 외평(外評)이 있어서 중앙과 지방의 업무를 나누어 관장한다.
4) 본국고기
좌보(左輔), 우보(右輔), 대주부(大主簿), 국상(國相), 구사자(九使者), 중외대부(中畏大夫) 등이 있다.
2. 백제의 관직
백제인들의 관위는 문무왕 13년에 백제에서 온 사람들에게 중앙과 지방의 관위를 주되 그 위계는 본국에서의 관직과 위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중앙 관위 대나마는 본국의 達率에게, 나마는 본국의 恩率에게, 대사는 본국의 德率에게, 사지는 본국의 率에게, 幢은 본국의 奈率에게, 大烏는 본국이 將德에게 주었고, 지방 관위 기간은 본국의 달솔에게, 선간은 본국의 은솔에게, 상간은 본국의 덕솔에게, 간은 본국의 한솔에게, 일벌은 본국의 나솔에게, 一尺은 본국의 장덕에게 주었다.
1) 북사
백제의 관직을 16품계로 나누었다.
등급
관직명
등급
관직명
1품
2품
3품
4품
5품
6품
7품
8품
좌평(佐平)
달솔(達率)
은솔(恩率)
덕솔(德率)
한솔(率)
나솔(奈率),
장덕(將德)
시덕(施德)
9품
10품
11품
12품
13품
14품
15품
16품
고덕(固德)
계덕(季德)
대덕(對德)
문독(文督)
무독(武督)
좌군(佐軍)
진무(振武)
극우(剋虞)
·
내관으로는 전내부(前內部), 곡내부(穀內部), 내경부, 외경부, 마부(馬部), 도부(刀部), 공덕부(功德部), 약부(藥部), 목부(木部), 법부(法部), 후궁부(後宮部)가 있고, 외관으로는 사군부(司軍部), 사도부(司徒部), 사공부(司空部), 사구부(司寇部), 점구부(點口部), 외사부(外舍部), 주부, 일관부(日官部), 시부(市部)가 있다.
2) 수서
등급
관직명
등급
관직명
1품
2품
3품
4품
5품
6품
7품
8품
좌평(佐平)
대솔(大率)
은솔(恩率)
덕솔(德率)
한솔(率)
나솔(奈率)
장덕(將德)
시덕(施德)
9품
10품
11품
12품
13품
14품
15품
16품
고덕(固德)
계덕(季德)
대덕(對德)
문독(文督)
무독(武督)
좌군(佐軍)
진무(振武)
극우(剋虞)
백제의 관직에는 16품계가 있다
3) 당서
백제가 설치한 내관으로서 내신좌평(內臣佐平)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고, 내두 좌평(內頭佐平)은 창고 업무를 관장하고, 내법좌평(內法佐平)은 의레에 관한 일 을 관장하고, 위사좌평(衛士佐平)은 숙위 군사에 관한 일을 관장하고, 조정좌평 (朝廷佐平)은 형벌과 감옥 사무를 관장하고, 병관좌평(兵官佐平)은 지방의 군사 업무를 관장한다.
4) 본국고기
좌보(左輔), 우보(右輔), 좌장(左將), 상좌평(上佐平), 북문두(北門頭)
Ⅵ. 관직과 품계
관직이란 정부 직제에 의한 직책을 말하는 것이며, 품계란 관리의 등급으로 위계(位階) 또는 관계라고 도 한다. 이는 중국 주나라 때부터 시행
되었으며 우리 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조선말까지 이어져 내려 왔다.
품계는 시대에 따라 다르며 문관과 무관에게 주는 명칭도 각기 달랐고,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의 향직에도, 9품의 상하 구분이 있었다.
신라 때는 골품제도를 바탕으로 한 귀족 연합의 전통위에 형성되어 1등급인 이벌찬에서 17등급인 조위까지로 구분하였고, 고려 때는 골품제를 폐지하고 당나라 제도를 본받아 중앙집권적 3省6部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는 종1품에서 종9품까지 인데 3품까지는 정종(正從) 2등급으로, 4품부터는 다시 상하로 구분하여 총 29계였으며, 이외에 왕의 최고 고문격인 삼사 삼공직이 있었는데 이 들은 정1품이었다.
조선 초기에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다가 점아 왕의 권한이 켜지면서 강력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갖추고 정1품에서 정9품까지 18계의 관계로 하였다.
참고문헌
1. 금경숙(2004), 고구려 전기 정치사 연구 (高句麗 前期 政治史 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
2. 김희만(2009), 신라 관직체계의 양상과 그 성격 (新羅 官職體系의 樣相과 그 性格), 동국대학교사학회
3. 임종국(2004), 분묘(墳墓)와 관직품계(官職品階), 괴산향토사연구회
구원
4. 정동준(2009), 백제 22부사체제의 성립과정과 그 기반, 한국고대사학회
5. 최창완(2006), 교린수지에 나타난 친족·관직명칭에 관한 연구, 일본어문학회
6. 한충희(2005), 조선 관계·관직·관아의 연원연구 (朝鮮 官階·官職·官衙의 淵源硏究), 안동사학회

키워드

관직,   신라,   조선,   고구려,   백제,   품계,   명칭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