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공산당 창당준비과정
2. 제 1,2 차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3. 제 3,4차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참고문헌
2. 제 1,2 차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3. 제 3,4차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락션 공작도 활발히 진행했다. 신간회 32개 지회에서 당원들이 활동하고 있었으며 근우회내에도 조원숙(趙元淑)을 책임자로 하는 야체이카가 조직되어 있었다. 기관지도 더욱 확보하여 일본에서 『청년조선』, 만주에서 『혁명』·『불꽃』을 추가로 간행했다. 제4차 조선공산당은 코민테른과의 관계도 밀접했다. 운동자금의 도입, 코민테른과 프로핀테른대회에 대표파견, 코민테른의 지침수령과 코민테른에 보고문 제출 등이 그러한 증거이다.
그러나 제4차 조선공산당은 조직된 지 채 5개월도 안되어 대규모 검거사태에 직면했다. 1928년 7∼10월에 걸쳐 170여 명이 검거됨으로써 제4차 조선공산당은 사실상 해체상태에 들어갔다. 코민테른의 「12월테제」(「조선의 혁명적 노동자 농민에게」)가 제시한 새로운 방침하에서 조선공산당을 재건해야 했다.
참고문헌
서중석, 「일제시기 사회주의자들의 민족관과 계급관」,『한국근현대의 민족문제연구』, 지식산업사, 1989.
오미일 편,『식민지시대 사회성격과 농업문제』, 풀빛, 1991.
장상수, 「일제하 1920년대의 민족문제논쟁」,『한국의 근대국가 형성과 민족문제』, 문학과지성사, 1986.
지수걸,『일제하 농민조합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3.
한국역사연구회 1930년대 연구반,『일제하 사회주의운동사』, 한길사, 1991.
유재천, 「일제하 한국 잡지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동아연구』15, 1988.
윤석수, 「조선공산당 2차 재건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성균관대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9.
이균영, 「신간회연구」, 한양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0.
그러나 제4차 조선공산당은 조직된 지 채 5개월도 안되어 대규모 검거사태에 직면했다. 1928년 7∼10월에 걸쳐 170여 명이 검거됨으로써 제4차 조선공산당은 사실상 해체상태에 들어갔다. 코민테른의 「12월테제」(「조선의 혁명적 노동자 농민에게」)가 제시한 새로운 방침하에서 조선공산당을 재건해야 했다.
참고문헌
서중석, 「일제시기 사회주의자들의 민족관과 계급관」,『한국근현대의 민족문제연구』, 지식산업사, 1989.
오미일 편,『식민지시대 사회성격과 농업문제』, 풀빛, 1991.
장상수, 「일제하 1920년대의 민족문제논쟁」,『한국의 근대국가 형성과 민족문제』, 문학과지성사, 1986.
지수걸,『일제하 농민조합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3.
한국역사연구회 1930년대 연구반,『일제하 사회주의운동사』, 한길사, 1991.
유재천, 「일제하 한국 잡지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동아연구』15, 1988.
윤석수, 「조선공산당 2차 재건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성균관대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9.
이균영, 「신간회연구」, 한양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