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
Ⅰ.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
Ⅱ. 미.소의 한반도 점령과 정치세력의 동향
1. 남한지역
(1) 미군정의 정책
(2) 각 정치세력의 활동
2. 북한지역
(1) 소련군의 점령정책과 북조선 분국의 결성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와 토지개혁
Ⅲ. 모스크바 삼상회의 이후 정치적 분열과 대립
1.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반응
2.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3. 좌우합작운동의 전개
4. 9월총파업과 10월봉기
Ⅳ. 단정수립과 민족의 분단
1. 단정수립 정책과 반대운동
2. 제주 4․3봉기와 5․10선거
Ⅰ.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
Ⅱ. 미.소의 한반도 점령과 정치세력의 동향
1. 남한지역
(1) 미군정의 정책
(2) 각 정치세력의 활동
2. 북한지역
(1) 소련군의 점령정책과 북조선 분국의 결성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와 토지개혁
Ⅲ. 모스크바 삼상회의 이후 정치적 분열과 대립
1.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반응
2.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3. 좌우합작운동의 전개
4. 9월총파업과 10월봉기
Ⅳ. 단정수립과 민족의 분단
1. 단정수립 정책과 반대운동
2. 제주 4․3봉기와 5․10선거
본문내용
월 26일 유엔소총회 결의 : 가능한 지역에서 선거 실시.
- 단독선거 반대 : 김구 한독당, 김규식의 민족자주연맹, 남로당, 근로인민당 등
- 단독선거 적극지지 : 이승만과 한민당 등 우익세력 --> 총선거대책위원회 결성.
- 남로당과 전평 : ‘27투쟁’
: 단선단정반대, 미소양국 군대 철수 요구
외세를 배제한 상태에서 우리 민족의 자주적 힘으로 정부수립 주장.
2. 제주 43봉기와 510선거
▶제주 43봉기
- 단선단정 반대투쟁
- 수만명의 희생자.
▶ 남북협상
- 김구, 김규식 등 북한과의 협상 시도.
- 1948년 4월 19일 북한과 연석회의 개최.
회의에 참석한 남북의 56개 정당과 사회단체 대표 659명의 공동성명서 발표.
: 미소 양국 군대 철수, 단독정부 수립 반대.
▶ 510선거
- 김구, 김규식 등 선거 불참 선언.
- 이승만과 한민당 세력, 중간파 인물들 참여.
- 무소속 85석, 독촉국민회 54석, 한민당 29석, 대동청년단 12석, 민족청년단 6석 등.
- 제헌국회. 이승만 대통령, 이시영 부통령 선출--> 8월 15일 대한민국 수립.
- 북한 : 8월 25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 단독선거 반대 : 김구 한독당, 김규식의 민족자주연맹, 남로당, 근로인민당 등
- 단독선거 적극지지 : 이승만과 한민당 등 우익세력 --> 총선거대책위원회 결성.
- 남로당과 전평 : ‘27투쟁’
: 단선단정반대, 미소양국 군대 철수 요구
외세를 배제한 상태에서 우리 민족의 자주적 힘으로 정부수립 주장.
2. 제주 43봉기와 510선거
▶제주 43봉기
- 단선단정 반대투쟁
- 수만명의 희생자.
▶ 남북협상
- 김구, 김규식 등 북한과의 협상 시도.
- 1948년 4월 19일 북한과 연석회의 개최.
회의에 참석한 남북의 56개 정당과 사회단체 대표 659명의 공동성명서 발표.
: 미소 양국 군대 철수, 단독정부 수립 반대.
▶ 510선거
- 김구, 김규식 등 선거 불참 선언.
- 이승만과 한민당 세력, 중간파 인물들 참여.
- 무소속 85석, 독촉국민회 54석, 한민당 29석, 대동청년단 12석, 민족청년단 6석 등.
- 제헌국회. 이승만 대통령, 이시영 부통령 선출--> 8월 15일 대한민국 수립.
- 북한 : 8월 25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추천자료
국가의 국민관리체계와 인권- 호적과 주민등록제도를 중심으로
국민국가와 민주주의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의 제정과 운용
국가 인권위원회의 설립의의와 활동 및 독립성과 실효성에대하여
국가 인권 위원회
[국가보안법][][국가보안법 내용][국가보안법 폐지 관련 찬반론][국가보안법 철폐 당위성]국...
[국가안보][국방비][인간안보][다자간 경제체제][APEC]국가안보와 국방비, 국가안보의 현실, ...
국가보안법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 개념, 국가보안법 특징]국가보안법의 개념, 국가보안법의 특징, 국...
하나의 민족국가를 수립하자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
사회복지) 대한민국, 한국 복지국가로의 지향: OECD국가들과 비교하여 (A+)
[국가정보론] 중국의 정보기구 - 국가안전부 (Ministry of State Security)
[사회복지정책론] 복지국가 분석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