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회의 구성원으로서 본회의와 위원회 출석할 의무가 있다. 이는 의무이자 권리로서 의원이 사고로 인하여 의회에 출석하지 못하게 될 때에는 청가서를 미리 의장에게 제출하여 의장 또는 의회의 허가를 얻어야 하고, 의원이 사고가 있어 의회에 출석하지 못한 때에는 의장에게 결석계를 제출하여야 한다. 의원이 정당한 사유 없이 본회의 또는 위원회에 계속하여 2일 이상 결석한 때에는 의장 또는 위원장은 그 의원의 출석을 요구하여야 한다.
3. 겸직 등의 금지
지방의회의원은 일정한 직을 겸할 수 없고, 특정한 거래행위도 이를 금하고 있다. 겸직과 거래 등의 금지는 지방의회의원만이 아니라 모든 공직자에게 요구되고 있다. 그 내용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의원이 이를 어긴 때에는 퇴직 또는 징계사유가 된다.
⑴ 겸직의 금지
지방의원이 겸할 수 없는 직의 범위는 대체로 국회의원의 경우와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 다만 지방적 차원의 조직인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겸할 수 없는 직에 취임한 때에는 의원의 직에서 퇴직된다.
⑵ 거래 등의 금지
지방의원은 당해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거래를 할 수 없으며, 이와 관련된 시설 또는 재산의 양수인 또는 관리인이 될 수 없다. 의원이 이를 어긴 때에는 징계사유가 된다. 의원의 겸직 또는 거래 등의 금지는 의원의 신분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를 명예직으로 하는 경우에는 겸직 또는 거래 등을 금하는 범위가 좁고, 전업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범위가 넓으나, 우리나라 지방의원의 신분을 명예직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그 금지범위가 넓은 편이다.
3. 겸직 등의 금지
지방의회의원은 일정한 직을 겸할 수 없고, 특정한 거래행위도 이를 금하고 있다. 겸직과 거래 등의 금지는 지방의회의원만이 아니라 모든 공직자에게 요구되고 있다. 그 내용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의원이 이를 어긴 때에는 퇴직 또는 징계사유가 된다.
⑴ 겸직의 금지
지방의원이 겸할 수 없는 직의 범위는 대체로 국회의원의 경우와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 다만 지방적 차원의 조직인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겸할 수 없는 직에 취임한 때에는 의원의 직에서 퇴직된다.
⑵ 거래 등의 금지
지방의원은 당해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거래를 할 수 없으며, 이와 관련된 시설 또는 재산의 양수인 또는 관리인이 될 수 없다. 의원이 이를 어긴 때에는 징계사유가 된다. 의원의 겸직 또는 거래 등의 금지는 의원의 신분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를 명예직으로 하는 경우에는 겸직 또는 거래 등을 금하는 범위가 좁고, 전업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범위가 넓으나, 우리나라 지방의원의 신분을 명예직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그 금지범위가 넓은 편이다.
추천자료
중앙집관적 지방자치 - 지방자치의 현안과 한국지방자치의 발전방안
지방자치시대 지방정부의 복지불균형 실태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제 현황과 한국의 지방자치제
지방행정론 - 지방정부의 재무행정 레포트
지방정부와 지방의제21
지방권력구조와 지방정치과정에서 지방분권개혁의 변화
[지자체][지방자치단체]지자체(지방자치단체)의 영상물촬영지원, 지자체(지방자치단체)의 행...
[교육자치제]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가치와 변천과정, 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제도...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방지 방안 -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를 중심으로
지방세제와 지방세제 개선
지방재정파산제도의 개념 및 개선방향 (Concept and improvement of bankruptcy system for l...
지방차치제도의 의의, 장점, 단점, 지역사회복지의 의미, 발생배경, 지방자치제도가 지역사회...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지역복지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전망을 해보고 지방자치제의 긍정적 기능...
지방자치제도의 개선방안,지방행정제도의 개편,주민참여제도,대의민주주의의,직접민주주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