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개념,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원인과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증상 및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예방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개념,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원인과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증상 및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예방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개념

Ⅲ.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원인

Ⅳ.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증상
1. 인체전체에 미치는 영향
2. 근골결계에 미치는 영향
3. 시각계통에 미치는 영향
4. 호흡기계통의 영향

Ⅴ. VDT증후군(컴퓨터단말기증후군)의 예방
1. 작업시간 및 휴식시간
2. 작업기기
3. 작업자세
4. 스트레칭 하기
5. 평소 지켜야 할 지침
1) 기본 지침
2) 눈을 위하여
3) 목과 어깨를 위하여
4) 손과 손목을 위하여
5) 허리를 위하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단하고 그때마다 휴식을 취한다. 휴식 시간에는 짧은 시간이라도 피로한 근육을 풀기 위한 체조나 운동을 하도록 한다. 컴퓨터 사용 공간은 한 시간에 한 번씩 환기를 시킨다. 가습기 등을 활용하여, 작업 공간이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모니터나 컴퓨터는 전자파가 적게 나오는 기종의 것을 선택한다. 검증된 전자파 차단 장비를 사용한다.
2) 눈을 위하여
모니터와 눈의 거리는 최소한 50 cm, 가능하다면 80 cm 이상의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한다. 글이 작아져 안 보인다면, 폰트를 크게 조정하도록 한다. 모니터를 깨끗이 닦아 얼룩이나 먼지로 인한 반사가 없도록 한다. 창에 블라인드나 커튼을 이용하여 모니터에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한다. 모니터는 커질수록 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적당한 크기를 선택한다. 모니터의 밝기를 불편하지 않을 정도에서 어둡게 하여 사용한다. 다소 비용을 투자해서라도 쓸만한 무광택 보안경(Filter)을 사용한다. 근시나 노안이 있는 경우에, 의사의 처방을 받아 VDT 작업용 안경을 착용한다. 모니터의 바탕 화면이나 프로그램의 바탕을 눈에 자극이 되지 않는 색으로 조정한다. 작업을 한동안 중단할 경우엔 모니터라도 꺼둔다. 스크린세이버라는 너무 밝거나 빠른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선택한다.
필요하지 않은 경우엔, 모니터에 스크롤 되는 것에서 시선을 돌린다. 눈이 피로하면 잠깐이라도 휴식을 취한다. 눈이 아프거나, 시리고, 눈곱이 많이 끼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에서 진료를 받는다.
3) 목과 어깨를 위하여
모니터를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작업할 서류는 눈높이로 바로 옆에 두어 가능한 고개를 많이 돌리지 않도록 한다. 의자를 조정하여 모니터보다 눈의 높이를 높여 약간 내려보는 자세를 취한다. 전화를 목으로 누른 채 받지 않는다. 목과 어깨가 피로하면 근육을 풀기 위해 가벼운 운동을 한다. 키보드의 위치는 가능한 낮게 위치하여 어깨를 들어올리지 않도록 한다. 키보드와 몸과의 거리를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게 위치 시켜, 어깨와 팔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4) 손과 손목을 위하여
하루의 키보드 작업은 4만타를 넘지 않도록 하고, 시간당 1만 2천타 이상은 좋지 않다. 반복적으로 키보드 작업만을 해야 하는 경우 자주 쉬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손을 올려 키보드를 사용 시 손목 받침대를 사용하여, 손등이 뒤로 꺽이지 않도록 한다.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키보드가 편안하다면 사용해 보는 것도 좋다. 키보드를 낮추어 팔을 무릎 위로 떨어뜨려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하다면 책상에 부착하는 보조 장비를 사용한다. 팔 굽는 각도는 너무 굽히지도 펴지도 않은 90도 전후가 좋다.
5) 허리를 위하여
책상을 당겨 엉덩이를 넣고 깊이 앉고 허리를 세운다. 허벅지는 바닥과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의자를 조정한다. 발은 바닥에 붙이고 편안히 힘을 뺀다. 다리를 꼬는 것은 좋지 않다. 현재 사용하는 의자가 불편하다면, 과감히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은 의자로 바꾼다. 이에 대한 투자는 전혀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의자를 책상 가까이 당겨 앉아 허리를 펴도록 한다. 짐을 들거나 하는 허리에 하중이 걸리는 운동을 할 경우에는 허리의 자세를 고정시키고, 다리의 힘을 많이 이용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 김화중(1991), 산업간호학, 수문사
▷ 김모임(1997), 대상자 중심의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 이윤근(1999), 우리나라 직업성질환의 발생현황과 특성 -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노동부
▷ 직업병진단 사례집(2002), 한국 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홍윤철 외(1998), 산업보건서비스, 한학문화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1.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