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emaker [인공심박동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acemaker [인공심박동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acemaker

1. 인공심박동기의 구조

2. 사용기간과 목적에 따른 분류

3. 방실 인공 심박동기 혹은 생리적 박동기(Physiologic pacing)와 관련한 기호의 의미

4. 인공심박동기의 형태

5. 시술준비와 과정

6. 시술후 과정

7. 환자교육

본문내용

우심실 또는 심방에 도달하도록 조작된다.
⑥피부를 국소 마취하고 실시하므로 피부삽입시에 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는 없다.
6. 시술후 과정
①시술부위의 피부봉합이 끝나면 압박 붕대로 감아 지혈시킨다.
②완전하고 세밀한 치료와 간호를 위해 중환자실로 이송된다.
③삽입된 박동산출기 및 도선의 적절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24-48시간후 흉부 X-선 촬 영(전면 혹은 측면)을 실시한다.
④상처가 아물기 위해 최소한 3일 이상은 안정 상태로 지내야 한다.
⑤입원 기간동안 심전도 측정을 주기적으로 하며, 박동기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래밍도 실 시된다.
7. 환자교육
①퇴원 후 8주 정도는 박동기의 고정을 위해 가급적 신체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왼팔(또는 오른팔)의 과격한 운동을 피한다.
②목욕은 가능하며, 가벼운 산책, 여행, 일, 성생활도 의사와 상의 후에 실시할 수 있다.
③만일 호흡곤란, 전신부종, 어지러움증, 의식소실 등의 증세가 있으면 즉시 병원이나 의사 를 방문하여야 하며, 이상이 없는 경에도 병원 외래 진찰을 주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⑤매일 환자 스스로 본인의 맥박을 기록하고 병원 추후방문시 가져오도록 한다.
⑥현재의 전자 박동기는 가정용 전자제품, 일반 X-선촬영기, 공항의 신체검색기등에는 영 향을 받지 않으나 자기공명 촬영(MRI)을 하게 될 때는 방사선과 의사에게 그 사실을 꼭 알리도록 주지시킨다.
⑦박동기내 밧데리의 수명이 5년내지 10년이므로 이 기간이 가까워지면 더욱 자주 정기점 검을 위하여 병원방문을 하며, 밧데리 교환시에는 다시 입원해야 함을 강조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7.08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5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