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KG 심전도 청진음에 대한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KG 심전도 청진음에 대한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심전도
(1)정상소견
(2)영향요인
(3)검사 목적 및 적응증
(4)대상자준비
(5)과정
(6) 간호 및 문제해결 활동

청진음의 종류
(1)부수음
(2)정상/비정상

본문내용

주고 침습적인 다른 검사가 필요시 지지해 준다.
의사가 대상자에게 자세히 정보를 줄 수 있도록 하고 대상자의 의문사항에 응답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심박출량 감소 : 말초맥박, 피부색, 모세혈관 재충전 시간, 호흡곤란, 비정상적인 심음, 흉통 및 배뇨량 저하시 기록하고 보고한다. 처방된 산소와 약을 투여한다.
④ 부정맥 : 부정맥을 기록하고 보고한다. 산소투여, 혈과닝완제, 항부정맥제 등을 처방에 따라 투여한다.
※ 참고문헌
진단검사와 간호 . 수문사. p 349~357
간호사를 위한 검사 이야기 . 의학서원. p 29
< 부수음 >
건강사정-통합적 접근 . 수문사. p 201
< 청진음의 종류 >
정상
폐포음
(vesicular sound)
비교적 부드럽고 낮은 소리로 폐의 전반에서 청진된다.
흡기가 호기에 비교해 3:1정도로 현저하게 길며, 흡기와 호기사이에 pause가 없다.
호기가 흡기에 비해 매우 조용하며 거의 들을 수 없다.
기관지음
(broncheal sound)
크고 높은 소리로 속이 빈 파이프를 통해 공기가 빠져 나갈 때와 유사한 소리가 난다.
호기가 gm qrl에 비해 크고 길게 들린다.
흡기와 호기사이에 구분이 되는 pause가 있다.
정상적으로 manubrium 위에서만 들을 수 있다.
폐 부분에서 들리면 비정상이며 폐렴이나 무기폐시에 청진된다.
기관지 폐포음
(bronchovesicular sound)
폐포음이 섞이는 곳으로 정상적으로 흉곽의 전면에서는 제2늑간의 주기관지 부근에서 들리며 후면에서는 견갑골 사이에서 청진된다.
흡기와 호기의 비율은 1:1 정도이다.
비정상
악설음(crackles)
수액이나 염증이 있는 폐포나 기도에 공기가 지나갈 때 발생하며 거품이 부글부글 끓는 듯한 소리다.
천명음(wheeze)
분비물, 부종, 종양 등에 의해 좁아진 통로를 공기가 통과할 때 계속 발생하는 소리이다.
협착음(stridor)
큰 기도의 폐쇄가 있을 때 발생하는 소리다.
늑막마찰음
(pleural friction rub)
염증이나 거칠어진 늑막 표면이 서로 마찰되어 발생한다.
기관지성음
(bronchophony)
환자에게 ‘앙앙’이라고 말하게 한다.
정상보다 공기가 덜 차있는 부분에서 들리는 소리로 크고 명확하게 들린다.
산양음
(egophony)
환자에게 에- 라고 말하게 하면 아이-(우는 소리)처럼 들린다.
중환자 통합 실습교육. 정담미디어. p18

키워드

심전도,   EKG,   청진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0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