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리튬전지란?
2. 1차리튬전지
3. 2차리튬전지
4. 요약
2. 1차리튬전지
3. 2차리튬전지
4. 요약
본문내용
다. 즉 전지속의 에너지가 소진되면 버리는 1회용 전지를 의미한다.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간의 상호변환이 가역적이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를 의미하며, 특히 소형2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컴퓨터, 캠코더, PDA, 전동공구등에 전원으로 사용된다. 2차전지로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1차리튬전지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리튬1차전지는 60년대들어 미국의 NASA에서 우주개발용 전 원으로 연구개발된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로서, 오늘날 본격적으로 실용화 가 되고 있는 것은 플루오르화 흑연·리튬전지와 이산화망간·리튬전지이다.
91년 소니 에너지테크가 개발한 2차전지로서, 리튬금속을 전극에 도입한 관계로 안전성면에서는 불완전한 형태로, 보호회로를 채용 해야 한다. 리튬이온전지는 높은 에너지 저장밀도와 소형, 박형화가 가능하며 소형 휴대용기기의 전원으로 채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와 유사하나 리튬이온전지의 전해액을 고분자물질로 대체하여, 안정성을 높인 것이 다른점이며, 원천기술을 만든 곳은 미국의 베일런스와 벨코어사등 벤처기업이다. 장점으로는 안전하고,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
정극재료 : 플루오르화 흑연, 이산화망간에 탄소 결착
부극재료 : 리튬
전해액 : r-부칠락톤, 1,2디메특시 에탄의 혼합 유기용매에 보론플루오 로와 리튬의 전해질을 용해시킨 액체
정극재료 : Li산화물(코발트산리튬, 망간산리튬, 니켈산리튬)
부극재료 : C
전해질 : Li-salf(유기용액)
REPORT
<리튬전지>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간의 상호변환이 가역적이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를 의미하며, 특히 소형2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컴퓨터, 캠코더, PDA, 전동공구등에 전원으로 사용된다. 2차전지로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1차리튬전지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리튬1차전지는 60년대들어 미국의 NASA에서 우주개발용 전 원으로 연구개발된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로서, 오늘날 본격적으로 실용화 가 되고 있는 것은 플루오르화 흑연·리튬전지와 이산화망간·리튬전지이다.
91년 소니 에너지테크가 개발한 2차전지로서, 리튬금속을 전극에 도입한 관계로 안전성면에서는 불완전한 형태로, 보호회로를 채용 해야 한다. 리튬이온전지는 높은 에너지 저장밀도와 소형, 박형화가 가능하며 소형 휴대용기기의 전원으로 채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와 유사하나 리튬이온전지의 전해액을 고분자물질로 대체하여, 안정성을 높인 것이 다른점이며, 원천기술을 만든 곳은 미국의 베일런스와 벨코어사등 벤처기업이다. 장점으로는 안전하고,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
정극재료 : 플루오르화 흑연, 이산화망간에 탄소 결착
부극재료 : 리튬
전해액 : r-부칠락톤, 1,2디메특시 에탄의 혼합 유기용매에 보론플루오 로와 리튬의 전해질을 용해시킨 액체
정극재료 : Li산화물(코발트산리튬, 망간산리튬, 니켈산리튬)
부극재료 : C
전해질 : Li-salf(유기용액)
REPORT
<리튬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