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견인환자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견인환자간호

1. 골격견인 목적
2. 준비물
3. 간호수행


골반견인

1. 목적
2. 준비물
3. 간호수행


두경부견인

1. 목적
2. 준비물품
3. 간호수행


피부견인

1. 목적
2. 준비물품
3. 간호수행


석고붕대및 부목환자간호

1. 목적
2. 준비물
3. 간호수행


목발보행훈련

1. 목적
2. 간호

본문내용

이 가해지는것을 피하고 일상생활 동작을 확대하기위함이다.
① 적응증
- 건측 하지로 체중을 지탱하고, 평행을 유지하는것이 가능한 경우
- 양측 상지로 체중을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할수있을때
- 직립체위를 유지할수 있는 경우
② 체중부하
환측 다리를 디디는 정도를 말한다.
단계에 따라 NOn weight bearing, partial, weight, bearing, total weight bearing으로
나눌수 있다.
2. 간호
① 환자를 확인한후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② 목발의 길이를 측정하여 준비한다
- 신장 41cm 신장의 77%길이
- 겨드랑이에서 3·4 횡지까지 원위부에서 같은 쪽의 엄지발가락 끝 앞쪽의 바깥으로 14cm까지의 길이
- 겨드랑이에서 발밑까지의 5cm을 더한길이
③ 목발 손잡이 부분에서는 붕대를 감아주고 앞뒤가 막히고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도록한다
④손잡이는 엄지손가락을 안쪽으로 다른 네 개의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잡고 목발은 팔의
안쪽에 대고 팔꿈치관절을 30도로 굽혀서 지지하며 겨드랑이나 목발상단과의 사이는
2~3손가락의 틈을 둔다
⑤ 목발끝단을 발끝에서 앞으로 15cm 바깥쪽으로 15cm 전방에둔다.
⑥ 목발의 상부는 가슴에 밀어붙여 상완삼두근의 힘으로 신체를 들어 올리듯이 하여 손으로 목발로 체중을 옮긴다
겨드랑이로 체중을 가중해서는 안된다
겨드랑이 부위의 요골신경이 압박되어 마비를 일으킬수있기 때문이다.
⑦ 보행이 불안정할 경우 뒤쪽에서 앞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돕는다
⑧ 소아의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적잉및 안전을 위해 물리치료 의뢰를 통한 목발보행 연습을
하도록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09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