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안민가>의 장르적 구분 및 세부 분석
3. 시대적 배경을 통해 분석한 <안민가>
4. <안민가>에 나타난 사상적 측면
2. <안민가>의 장르적 구분 및 세부 분석
3. 시대적 배경을 통해 분석한 <안민가>
4. <안민가>에 나타난 사상적 측면
본문내용
이로부터 점차 작자에 대한 이해와, 향가의 특성상 배경설화의 의미 파악, 당시 사회적 상황과의 연관성을 확대적으로 파악하려 한 것이다.
이미 앞에서도 말했거니와, 향가는 향찰로 기록되어 있는 특성상 아직도 그 완전한 작품의 모습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느 한 해독이 옳다거나 그에 따른 작품 해석이 정설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향가의 연구 방향은 언어학적 객관성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하며, 예외적인 것을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구성해 나가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즉 정설이란 진실에 가까운 허구로서 언제든 수정 가능한 이론임을 우리는 끊임없이 자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성기옥, 「향가의 형식, 장르, 향유기반」, 국문학연구 제6호
김학성, 「향가의 장르체계론」,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서철원, 「鄕歌와 高麗俗謠의 장르적 차이를 통해 본 轉變 樣相의 단서」, 韓國詩歌硏究 第23輯
이연숙, 「향가의 장르고」, 東義語文論集 第10輯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박노준, 『신라가요의 연구』, 열화당,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3판, 지식산업사, 1994.
이미 앞에서도 말했거니와, 향가는 향찰로 기록되어 있는 특성상 아직도 그 완전한 작품의 모습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느 한 해독이 옳다거나 그에 따른 작품 해석이 정설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향가의 연구 방향은 언어학적 객관성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하며, 예외적인 것을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구성해 나가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즉 정설이란 진실에 가까운 허구로서 언제든 수정 가능한 이론임을 우리는 끊임없이 자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성기옥, 「향가의 형식, 장르, 향유기반」, 국문학연구 제6호
김학성, 「향가의 장르체계론」,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서철원, 「鄕歌와 高麗俗謠의 장르적 차이를 통해 본 轉變 樣相의 단서」, 韓國詩歌硏究 第23輯
이연숙, 「향가의 장르고」, 東義語文論集 第10輯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박노준, 『신라가요의 연구』, 열화당,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3판, 지식산업사, 1994.
추천자료
신라향가 안민가(安民歌) 분석
[향가][안민가][신라 향가][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시대) 안민가의 유래와 향가(신라시대) ...
[향가]향가 도솔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처용가(통일신라시대)...
[신라시대 향가][안민가][신라 향가][향가 안민가][신라][신라시대]신라 향가 안민가의 배경,...
[신라시대 향가][신라 향가][안민가][안민가 해독][안민가 작품이해]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
제망매가(통일신라시대, 향가), 도솔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처용가(통일신라시대, 향가), ...
[통일신라시대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향가(도솔가), 통일신라시대...
[통일신라 향가]향가의 개념, 작품, 형식, 의의 고찰과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통일신...
신라시대의 향가(서동요), 신라시대의 향가(회소곡), 신라시대의 향가(혜성가)와 통일신라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