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배경설화
Ⅱ. 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원문
Ⅲ. 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Ⅱ. 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원문
Ⅲ. 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신라시대 향가 안민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적 기저를 불교에서 찾는 논의가 결코 무의미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충담사에게 <안민가>를 지으라고 명한 경덕왕이 전제왕권 강화책으로서 화엄사상을 신봉하였으며 경덕왕 집권기가 바로 불국사와 석굴암과 같은 佛事를 일으켰던 신라문화의 절정기였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안민가>에 내재되어 있을 불교관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또 경덕왕이 경덕왕 19년(760)에 월명사에게 <도솔가>를 짓게 하고, 24년에는 충담사에게 <안민가>를 짓게 한 사실을 보면 당시의 정치 상황이 매우 불안했음을 알 수가 있는데, 경덕왕은 그 타개책을 불교적 세계관에 두었던 것이다. 그리고 충담사가 승려라는 사실과 관련지어 신라 護國佛敎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彌勒信仰의 佛國土思想을 이념적 기반으로 볼 수가 있음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주(2003) / 한국고전시가사, 조선대학교출판부
구사회 외(1998) / 새로 읽는 향가 문학, 아세아문화사
김승찬(1986) / 향가 문학론, 새문사
나경수(2004) / 향가의 해부, 민속원
박노준(1983) / 신라가요의 연구, 이우인쇄사
윤영옥 / 한국의 고시가
최철(1990) /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참고문헌
김정주(2003) / 한국고전시가사, 조선대학교출판부
구사회 외(1998) / 새로 읽는 향가 문학, 아세아문화사
김승찬(1986) / 향가 문학론, 새문사
나경수(2004) / 향가의 해부, 민속원
박노준(1983) / 신라가요의 연구, 이우인쇄사
윤영옥 / 한국의 고시가
최철(1990) /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