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왕생가>硏究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원왕생가>연구

1. 서
2. <원왕생가>와 설화
3. 작자논쟁의 맥락
4. 문학적 해석
5. 결

본문내용

-------------+------------+-----------+----------+----------------+
| '德'자의 독법 |一德(한분) 德(광덕) | | |
-+--------------------+------------+-----------+----------+----------------+
| '有'자의 해석 | 作歌 | 作歌 | X X |
+--------------------+------------+-----------+---------------------------+
| '此身'의 주체 | 광덕처 | 광덕 | 원효 미상 |
+--------------------+------------+-----------+----------+----------------+
| 설화와 노래의 관계 | 밀접하다 | 밀접하다| X X
+--------------------+------------+-----------+----------+----------------
| 수렴방향 | 광덕설 | 작자미상설(민간전승설)
+--------------------+------------------------+---------------------------+
| 창작방식 | 개인적 서정시 | 집단적 가요 |
+--------------------+------------------------+---------------------------|
| 성격 | 불교적 | 민간신앙적 |
+--------------------+------------------------+---------------------------+
5.結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이 복잡한 논쟁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수렴할 것인가를 생각해 봐야할 필요가 있다. 향가의 작자 문제는 그 전승 관행의 특수성에 비추어 문면의 정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데서 출발해야 가장 논리적인 설득력을 얻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원왕생가>를 작자미상이라고 보기 보다는 광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작자가 광덕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해도 여전히 문학적 해석에서의 논의의 여지는 남는다. 왜냐하면 작자미상설에서 도출되는 집단전승설 역시 그 기저에는 알지 못할 뿐인 작자의 존재가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광덕설에서도 개인적 발원만이 아니라 당대 기층민의 집단적 발원까지 함께 담는 중층성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아직 이러한 논의를 세부적으로 연구거론한 경우는 없으나 이 둘의 대립적 견해는 통합의 여지가 분명히 있다. 그것은 표면적으로는 두 이론이 대립하고 있으나 서로 층위가 다른 주장이기에 하나의 전후맥락으로의 연결이 어렵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종우, 불교의 왕생사상과 그의 문학,1967
김동욱, 신라정토사상의 전개와 원왕생가,1957
황패강, 원왕생가 연구,1982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1990
성기옥, 원왕생가의 생성배경,1984
성기옥, 원왕생가,1993
윤영옥, 원왕생가,1981
신동익, 원왕생가의 작자,1986
나경수, 원왕생가 작가고,1995
  • 가격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7.30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9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