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선태식물 ▣
1. 우산이끼
가. 수그루와 암그루
1) 수기탁
2) 암기탁
나. 엽상체
1)기실공
2) 엽상체 종단면
다. 무성아
1. 우산이끼
가. 수그루와 암그루
1) 수기탁
2) 암기탁
나. 엽상체
1)기실공
2) 엽상체 종단면
다. 무성아
본문내용
손잡이, 차 바퀴살 같이 생김
- 암기탁의 우산살 뒷 부분에는 장란기가 줄지어서 배열되어 있으며 하나의 장란기에는 하나의 난자를 포함
나. 엽상체
- 자라면서 2갈래로 갈라져 Y자형의 모습을 나타냄
- 가운데는 세포 30개 정도의 두께, 가장자리는 세포 10개 정도의 두께임
1) 기실공
- 엽상체의 위쪽 표면은 6각형 모양의 구획으로 나뉘어지는데 기실공은 구획이 이루어진 각각의 방 한 가운데 있음
- 고등한 식물의 경우 공변세포가 있어 수분을 조절하지만 우산이끼의 경우 그러한 능력이 없어 기실공은 항상 열려 있음
2) 엽상체 종단면
▶ 기실 - 선인장으로 덮여진 정원 같은 모양
- 습기를 저장할 수 있어 쉽게 건조하는 것을 막아줌
▶ 수직벽 - 각 개체를 독립적인 공간으로 만들어 줌
▶ 가근과 비늘 - 세포 아래층 표피에서 하나의 세포가 변형되어 생성됨
다. 무성아
▶ 무성아는 엽상체에서 떨어져 나오게 된 조직의 매우 작고 렌즈같이 생긴 부분
▶ 무성아는 비가 오면 배상체에서 나와 1m 보다도 더 멀리 튈 수 있음
▶ 무성아들이 컵 밖으로 나오자마자 각각의 무성아들은 빠르게 새로운 엽상체로 성장할 수 있으며 배상체 속에서는 산이 무성아의 발달을 억제함
- 암기탁의 우산살 뒷 부분에는 장란기가 줄지어서 배열되어 있으며 하나의 장란기에는 하나의 난자를 포함
나. 엽상체
- 자라면서 2갈래로 갈라져 Y자형의 모습을 나타냄
- 가운데는 세포 30개 정도의 두께, 가장자리는 세포 10개 정도의 두께임
1) 기실공
- 엽상체의 위쪽 표면은 6각형 모양의 구획으로 나뉘어지는데 기실공은 구획이 이루어진 각각의 방 한 가운데 있음
- 고등한 식물의 경우 공변세포가 있어 수분을 조절하지만 우산이끼의 경우 그러한 능력이 없어 기실공은 항상 열려 있음
2) 엽상체 종단면
▶ 기실 - 선인장으로 덮여진 정원 같은 모양
- 습기를 저장할 수 있어 쉽게 건조하는 것을 막아줌
▶ 수직벽 - 각 개체를 독립적인 공간으로 만들어 줌
▶ 가근과 비늘 - 세포 아래층 표피에서 하나의 세포가 변형되어 생성됨
다. 무성아
▶ 무성아는 엽상체에서 떨어져 나오게 된 조직의 매우 작고 렌즈같이 생긴 부분
▶ 무성아는 비가 오면 배상체에서 나와 1m 보다도 더 멀리 튈 수 있음
▶ 무성아들이 컵 밖으로 나오자마자 각각의 무성아들은 빠르게 새로운 엽상체로 성장할 수 있으며 배상체 속에서는 산이 무성아의 발달을 억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