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육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교육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현대판 맹모삼천지교

Ⅱ. 교육현실
1. 사교육비의 증가
2. 입시 지옥

Ⅲ. 개선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모님들의 허리띠도 풀어 드릴 수 있다. 그런데 또 한 가지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기도 한다. 그것은 바로 경제의 활성화 이다. 사교육비가 줄어들고 대학의 평준화로 전 대학의 등록금이 평균적으로 인하될 것인데 어떻게 경제가 활성화 되겠느냐고 반문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분명히 경제가 활성화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어릴 적부터 보아왔고 들어왔지만 경제가 어렵더라도 학생들의 주머니는 쉽사리 비지 않기 때문에 학교 근처의 가게들은 불황을 모른다는 이야기가 있다. 학생들이 전국에 골고루 분포하게 되면 학교 주변가의 경기가 좋아지고, 이곳에서 경제가 풀리기 시작한다면 시너지효과로서 지역 경제도 살아 날 수 있다. 지방에 학생들이 많아지게 되면 이와 연계된 출판사, 서점, 옷가게, 음식점 등등이 많아지게 되고 이것이 파급효과가 되어 경제는 반드시 좋아지리라 전망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해결책으로 인해 생길 아주 소박한 즐거움 하나를 소개한다. 필자는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다. 기숙사는 으레 그렇듯이 지방에서 온 학생들이 기거하고 있다. 필자가 3년간 기숙사 생활을 해오면서 많은 학생들과 대화를 해본 결과, 타지에서의 생활로 인해 자신의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집을 떠나와서 사는 것이기 때문에 늘 마음이 긴장되어 있고, 좀처럼 여유를 내기 힘들다는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따뜻한 밥 한 끼를 그리워하는 학생들도 많다. 집에만 가면 다시 푸근해 지는 마음이 학교로 돌아올 생각만 하면 차디차게 변해 긴장을 해야 하는 생활을 싫어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그래도 수도권에 있는 대학을 다니기 위해서 모두가 감수하고 있다. 요즘 대학생들이 철저한 이기주의와 개인주의에 산다는 평가를 받는데 바로 이런 점들이 개인주의적인 대학생을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지 않나 싶다. 지방에 있을 때처럼 나누고 베풀면서 살고 싶어도 지방에서 올라온 학생들은 가계에 이중적인 부담을 주고 있기 때문에 무얼 하나 마음 놓고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그야말로 나만 알게 되어 가는 이러한 현실에서의 탈피도 대학의 평준화라는 방안이 줄 수 있는 소박한 기쁨이 아닐까 싶다. 하루 빨리 학생, 부모, 교사 모두가 교육 지옥에서 빠져나와 공부할 맛 나는, 살맛이 나는 새로운 교육 공화국으로 가기를 간절히 바란다.
<참고문헌>
안재오(2007) 교육공화국: 공화주의 교육으로 미친 나라를 바로 세우자, 얼과알
연합뉴스
한국일보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1.17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