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의의
Ⅱ. 법률적 성질
Ⅲ. 대리인의 복임권과 책임
Ⅳ. 복대리인의 지위
Ⅴ. 복대리권의 소멸원인
Ⅱ. 법률적 성질
Ⅲ. 대리인의 복임권과 책임
Ⅳ. 복대리인의 지위
Ⅴ. 복대리권의 소멸원인
본문내용
표현대리 주장을 배척한 사례.(大判 1998. 3. 27. 97다48982)
2. 법정대리인의 복임권
(1) 선 임 : 언제나 선임가능(§122)
(2) 책 임 : ① 무조건 전 책임을 짐 ② 부득이한 사유 : 선임, 감독의 책임만(§122단서)
Ⅳ. 복대리인의 지위
1. 대리인에 대한 관계 : 대리인의 대리권의 존재 및 범위에 의존
2. 상대방에 대한 관계 : 대리인과 동일한 권리, 의무
3. 본인에 대한 관계 : 이론상 아무런 내부관계도 존재하지 않으나, 편의상 본인과 대리인 사이에서와 마찬가지의 내부관계가 생긴다고 규정(§123②)
4. 복대리인의 복임권 : 임의대리인과 마찬가지의 복임권 가짐.
Ⅴ. 복대리권의 소멸원인
1. 대리인과 복대리인간의 수권행위의 소멸
2. 모권인 대리인의 대리권 소멸
2. 법정대리인의 복임권
(1) 선 임 : 언제나 선임가능(§122)
(2) 책 임 : ① 무조건 전 책임을 짐 ② 부득이한 사유 : 선임, 감독의 책임만(§122단서)
Ⅳ. 복대리인의 지위
1. 대리인에 대한 관계 : 대리인의 대리권의 존재 및 범위에 의존
2. 상대방에 대한 관계 : 대리인과 동일한 권리, 의무
3. 본인에 대한 관계 : 이론상 아무런 내부관계도 존재하지 않으나, 편의상 본인과 대리인 사이에서와 마찬가지의 내부관계가 생긴다고 규정(§123②)
4. 복대리인의 복임권 : 임의대리인과 마찬가지의 복임권 가짐.
Ⅴ. 복대리권의 소멸원인
1. 대리인과 복대리인간의 수권행위의 소멸
2. 모권인 대리인의 대리권 소멸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구현과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공공부문노조의 긍정적 역할에 대한 연구
배아 줄기세포 연구 쟁점에 대한 다각적 분석과 나아갈 길
감사제도와 감사위원회제도에 대한 상법상 연구
근로기준법상 해고 전반에 대한 연구
아동학대 피해자에 대한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노동법상 쟁의행위 전반에 대한 연구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마케팅 활동에 대한 연구.
쟁의기간 중 근로관계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노조법상 법외노조의 지위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사의 발전적 방안에 대한 제도 연구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의 적용 가능성 연구
인권문제와 그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 제3세계 국민들의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