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와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가들의 주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heory)의 기초를 수립한 레오니트 후르비츠는 폴란드계 유대인으로 1917년 8월 21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1938년 폴란드 바르샤바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고, 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포르투갈로 강제 이주당한 뒤 미국에 정착해 하버드 대학과 시카고 대학에서 공부했다.
레오니트 후르비츠가 처음으로 선보인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은, 정부가 좋은 의도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더라도 대중은 개인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당초의 정책 효과를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정부는 개인의 이기심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의 이기심이 사회적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중립적이고 효율적인 구조를 설계하는 데 힘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은 현대 경제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은 '게임 이론'의 하부 이론으로서 애덤 스미스(Adam Smith)가 내세운 '완전 경쟁 시장'이라는 비현실적인 개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1990년,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의 확립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국가사회과학메달을 받고, 2007년에는 스웨덴 한림원으로부터 경제학의 하위 분야인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의 기초를 확립해 현대 경제학과 정치학의 많은 분야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한 공로를 인정받아 에릭 매스킨, 로저 마이어슨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함께 받았다.
저서로는 ≪자원 배분 과정에 대한 연구≫(1978년, 공저), ≪사회적 목표와 사회적 조직화≫(1987년, 공저), ≪수학적 경제학의 진보≫(2003년, 공저) 등이 있고 (2007년 10월 기준) 미네소타 대학의 석좌교수로 일하고 있다.
Eric Maskin(1950.12.12.~ )
미국의 경제학자다. 레오니트 후르비치, 로저 마이어슨과 함께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50년 12월 12일 뉴욕에서 태어난 유대계 미국인이다. 1976년 하버드 대학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고, MIT와 케임브리즈 대학 등에서 연구했다.
2000년부터 프린스턴 대학 고등연구소에서 사회과학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에 대한 레오니트 후르비츠의 문제 의식을 '게임 이론'의 틀로 한층 정교하게 다듬은 공로를 인정 받아 레오니트 후르비츠, 로저 마이어슨과 함께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에릭 매스킨은 환경을 보호하거나 모든 시민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시장의 힘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며, 정책 수준의 적절한 선택과 메커니즘, 기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서로는 《Planning, shortage, and transformation : essays in honor of J'anos Kornai》(2000년, 공저) 《Recent development in game theory》(1999년) 등이 있다.
Roger Myerson(1951.3.29.~ )
미국의 경제학자. 레오니트 후르비치, 에릭 매스킨 등과 함께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51년 3월 29일 미국 보스턴에서 태어났다. 1976년 하버드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한 뒤 경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1982년에서 2001년까지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경제학 교수로 일했다.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mechanism design theory)’을 발전시킨 공로로 레오니트 후르비츠, 에릭 매스킨과 함께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은, 정부가 정책을 입안하거나 제도를 개혁할 때 이해 당사자 간의 충돌로 실행이 어려울 경우 제도를 어떻게 설계해야 당초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로저 마이어슨은 게임 이론 분야에서 협조적 게임, 비협조적 게임이라는 두 가지 분야를 연구해 '불완전한 정보의 가치'라는 개념을 세우고, 경매 제도와 관련한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을 만들면서 경제학 뿐 아니라 사회학, 법학 등 다양한 학문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07년부터 시카고 대학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Game Theory : Analysis of Conflict》(1991년), 《Probability Models for Economic Decisions》(2005년) 등이 있다.
2008년-폴 크루그먼
Paul Robin Krugman(1953.2.28. ~ )
미국 지식인, 경제학자, 컬럼니스트, 작가다. 프린스턴 대학교의 경제학과 국제학부 교수이며, 2000년부터 블로그와 2주에 한번 씩 ‘Op-ed’로 뉴욕 타임즈의 컬럼니스트로 활동했다.
크루그먼은 그의 교역 이론 및 신교역이론과 환율 위기에 대한 해설을 담은 그의 교과서로 학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그 저서는 기업과 나라가 규모의 경제 때문에 생산하고 거래하는 것에 관한 모델을 제시한다. 크루그만은 1990년대 후반 ‘뉴이코노미’지의 비평가였다. 그는 1997년 동아시아 재정위기가 닥치기 전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고정환율과, 타이의 경제정책을 비판했다. 그는 1998년 러시아 경제위기 직전에, 고정통화율의 유지에 이윤을 의존하는 LTCM (Long-Term Capital Management)와 같은 투자자들을 비판했다. 크루그먼은 일반적으로 신케인즈 경제학자로 평가되며, 그의 관점은 그의 저서 〈하찮은 번영 (Peddling Prosperity)〉에 요약된다. 크루그만의 〈국제경제학: 이론과 정치〉 (현재 8번째 개정판)은 미적분학을 포함하지 않는 국제경제학에 관한 표준적인 교과서다. 그는 1991년 미국경제학회에서 수여하는 존 베이트 클락 메달을 받았다.
경제학 연구논문학회 (IDEAS/RePEc)에 따르면 크루그만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50명의 경제학자 중 한 명이다. 2008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자다.
크루그먼은 정치적으로 사회자유주의 또는 진보주의자로 평가되며, 조지 W 부시 정권과 외교와 미국 내 정책의 열렬한 비평가다. 많은 다른 경제학 평론가들과는 달리, 그는 동료에게 학계의 중요한 공헌자로 평가된다.
  • 가격5,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9.01.2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