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질문에 벌써 나는 말문이 막혔다. 내가 이제껏 배워온 중학교때의 도덕과 같은 것일까? 덕이란 인간행동의 최상위 개념인 행복을 이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정의를 내린 것을 찾아 볼수 있었다. 행복을 이룩하기 위한 덕목이라...... 행복을 이룩하기 위한 덕목이 지식이라는 것! 너무 철학적인 관점이 아닐까 하지만 훗날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되고픈 내게는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 싶다. 반대로 생각하면 지식이 있어야 덕이 실천된다는 것이다.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행복할 수 있다는 것.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들은 해를 입게 되어 있다. 일상 생활을 살아가면서 지식을 가지고 어떤 현상에 대해서 어떤 것이 잘못 된 것인가 잘 된 것인가 판단을 하면서 잘못된 일은 행하지 않도록 노력을 하고 잘 된 것이라 판단 되는 것을 행하도록 나의 생활 기준을 잡아간다면 덕이야 말로 우리가 배우고 가져야 하고 필수적으로 따라야 하는 지식과도 같은 것이다. 덕을 모르는 것이야 말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없으며 덕을 지식으로서 겸비하면서 살아간다면 정말 조화롭고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짧은 소견이지만 이렇게 생각했다.
키워드
추천자료
듀이 (John Dewey)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
도산 안창호 선생의 교육사상과 현 교육과의 비교 고찰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신라인의 화랑정신과 화랑도 교육사상의 교육사적 의의
[교육학]루소의 계몽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고찰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의 강조점 및 아동중심교육사상
[페스탈로치]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교육이론
[교육학]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에 대하여
프뢰벨(생애, 시대상황, 사상, 인간관, 유아관, 교육사상, 영향)
우리나라 보육발전에 영향을 준 주요사상가들의 교육사상과 방법을 네 가지 유형, 흥미중심, ...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을 정리하고 현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17C 실학주의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적용 (실학주의 등장배경·특징·유형, 감각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