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無效의 意義
2. 無效인 法律行爲의 效果
3. 無效行爲의 追認
4. 法律行爲의 一部無效
5. 無效行爲의 轉換
2. 無效인 法律行爲의 效果
3. 無效行爲의 追認
4. 法律行爲의 一部無效
5. 無效行爲의 轉換
본문내용
나 一部의 同意欠缺의 경우에도 그 적용이 있다고 할 것이다.
5. 無效行爲의 轉換
(1) 전환의 법리(제138조)
① 무효인 법률행위가 다른 법률행위의 요건을 구비하고 당사자가 그 무효를 알았더라면 다른 법률행위를 하는 것을 意慾하였으리라고 인정될 때에는 다른 법률행위로서 효력을 가진다.
② 이것은 결국 무효인 법률행위 A가 다른 법률행위 B를 內包하고 있는 경우에 그것이 A행위로서 무효이더라도 B행위로서는 무효사유에 해당하지 않을 때에는, 당사자가 A행위의 무효를 알았더라면 B행위를 의욕하였으리라는 전제하에 B행위로서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2) 전환의 요건
① 법률행위가 무효일 것
② 다른 법률행위를 내포하고 있을 것
③ 당사자의 가상적 전환의사가 있을 것
* 참고로 延着된 承諾과 變更을 가한 承諾은 이를 새로운 請約으로 보고, 비밀증서에 의한 遺言이 無效인 경우에 이를 自筆證書에 의한 遺言으로의 전환을 인정하는 것은 민법이 직접 전환을 규정한 예이다.
* 판례가 인정한 전환의 예로는 입양아를 자기의 子로 출생신고한 경우에 입양신고로서의 효력을 인정하며, 혼인이 무효인 경우에 이미 婚生子出生申告가 있었을 때의 認知申告의 효력을 인정한다.
5. 無效行爲의 轉換
(1) 전환의 법리(제138조)
① 무효인 법률행위가 다른 법률행위의 요건을 구비하고 당사자가 그 무효를 알았더라면 다른 법률행위를 하는 것을 意慾하였으리라고 인정될 때에는 다른 법률행위로서 효력을 가진다.
② 이것은 결국 무효인 법률행위 A가 다른 법률행위 B를 內包하고 있는 경우에 그것이 A행위로서 무효이더라도 B행위로서는 무효사유에 해당하지 않을 때에는, 당사자가 A행위의 무효를 알았더라면 B행위를 의욕하였으리라는 전제하에 B행위로서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2) 전환의 요건
① 법률행위가 무효일 것
② 다른 법률행위를 내포하고 있을 것
③ 당사자의 가상적 전환의사가 있을 것
* 참고로 延着된 承諾과 變更을 가한 承諾은 이를 새로운 請約으로 보고, 비밀증서에 의한 遺言이 無效인 경우에 이를 自筆證書에 의한 遺言으로의 전환을 인정하는 것은 민법이 직접 전환을 규정한 예이다.
* 판례가 인정한 전환의 예로는 입양아를 자기의 子로 출생신고한 경우에 입양신고로서의 효력을 인정하며, 혼인이 무효인 경우에 이미 婚生子出生申告가 있었을 때의 認知申告의 효력을 인정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유동적 무효
민법상의 대리, 취소, 시효, 제척기간, 추인
행정행위의 무효확인소송
[친족상속법]친족상속법과 민법총칙의 관계(민법총칙규정 적용여부)
물권법 중간고사 자료 (등기청구권,명의신탁,무효등기의유용,물권적청구권,물권행위의유인성,...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법률적 검토
도시설계과정의 행위제한에 대하여(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주체, 내용, 절차, 형식의 무효원인과 취소원인
오인유발행위에 대한 검토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오인유발행위에 대한 판례 연구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노동자권리(근로자권리)의 정치성, 법률, 노동자권리(근로자권리)의 운동, 권리장전, 노동자...
[사회복지법제] 장애인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서 차별 행위와 차별 금지에 ...
[생활과 법률]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물권법 중간고사, 물권의 특질, 물권적 청구권, 물권행위와 등기의 관계, 법률규정에 의한 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