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입법적 통제(추상적 사전적 억제)
III. 사법적 통제(구체적억제)
II. 입법적 통제(추상적 사전적 억제)
III. 사법적 통제(구체적억제)
본문내용
1586; 96도561].
다만, 위법한 함정수사에 기초한 공소제기의 경우에는 그 위법의 정도가 극히 중대하고 이를 억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법 제327조 제2호의 공소기각판결 사유가 된다는 것이 다수설, 판례의 입장이다.
한편, 영장주의에 위배하여 위법한 압수수색으로 획득된 증거물의 증거능력에 대해, 판례는 “압수물은 압수절차가 위법하다 하더라도 물건 자체의 성질형상에 변경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므로 그 형상 등에 관한 증거가치에는 변함이 없다 할 것이므로 증거능력이 있다[93도3318]”고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증명력을 근거로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므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의해 증거능력을 부정하는 학설의 태도가 타당하다.
2) 당해 형사절차 외에서의 구제에 있어서도 위와 동일하다.
다만, 위법한 함정수사에 기초한 공소제기의 경우에는 그 위법의 정도가 극히 중대하고 이를 억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법 제327조 제2호의 공소기각판결 사유가 된다는 것이 다수설, 판례의 입장이다.
한편, 영장주의에 위배하여 위법한 압수수색으로 획득된 증거물의 증거능력에 대해, 판례는 “압수물은 압수절차가 위법하다 하더라도 물건 자체의 성질형상에 변경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므로 그 형상 등에 관한 증거가치에는 변함이 없다 할 것이므로 증거능력이 있다[93도3318]”고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증명력을 근거로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므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의해 증거능력을 부정하는 학설의 태도가 타당하다.
2) 당해 형사절차 외에서의 구제에 있어서도 위와 동일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소시효 제도에 대한 형사소송법상 연구
공소제기의 효과에 대한 형사소송법상 연구
증거재판주의에 대한 형사소송법상 검토
2011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법학] 형사소송법 총정리
2016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형사소송법]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의 의의와 적용범위 및 불이익변경금지의 내용
[형사소송법] 재판의 기본개념 - 재판의 의의와 종류 및 재판의 성립과 구성 및 방식
[형사소송법] 상소의 의의와 종류 및 상소권(상소권자, 상소권의 발생과 소멸 및 철회)에 대...
[형사소송법] 종국재판 - 유죄판결의 의의와 종류, 무죄판결의 의의와 사유, 관할위반과 공소...
2017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