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데이터
2. 데이터베이스
3.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하는 이유
1). 기술적 측면
2). 기업적 측면
4. 데이터데이스의 장점
5. 데이터 베이스의 설계 단계
6.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2. 데이터베이스
3.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하는 이유
1). 기술적 측면
2). 기업적 측면
4. 데이터데이스의 장점
5. 데이터 베이스의 설계 단계
6.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본문내용
/Seoul';
이 문법에서 SYSTEM01.DBF 데이터 파일은 SYSTEM 테이블스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구조를 표현한 것이며, UNDO01.DBF 는 UNDOTBS 테이블스페이스, TEMP01.DBF는 TEMPORARY 테이블스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구조를 표현한 것 입니다.
3) 세그멘트
데이터베이스 내에 생성되는 모든 객체( 테이블, 인덱스, 뷰, 시퀀스, 시노늄 등)들을 세그멘트(Segment) 라고 합니다. 다음 문법을 보시는 것처럼, 하나의 세그멘트는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에 저장되는 하나의 구성요소입니다.
SQL> CONNECT system/manager
SQL> CREATE TABLESPACE insa
DATAFILE 'C:\ORACLE\ORADATA\ORA92\test01.dbf' size 10M;
SQL> CONNECT scott/tiger
SQL> CREATE TABLE test
(a NUMBER(2), b CHAR(10))
TABLESPACE insa;
← TEST 테이블(세그멘트)는 INSA 테이블스페이스에 생성됩니다.
4) 익스텐트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가 여러 개의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하나의 세그멘트도 여러 개의 익스텐트(Extent)가 모여서 구성됩니다. 하나의 테이블을 생성하면 처음부터 아주 큰 하나의 저장공간이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에는 익스텐트라는 공간이 할당되고, 이 공간이 모두 사용되면 다시 익스텐트를 할당 받아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는 것 입니다.
SQL> CONNECT scott/tiger
SQL> CREATE TABLE test1
CREATE TABLE test1
a NUMBER(2), b VARCHAR2(10))
TABLESPACE insa
STORAGE ( INITIAL 10K ← 테이블의 최초 크기를 결정합니다.
NEXT 10K ← 최초 크기가 모두 사용된 후
다음 크기를 결정합니다.
MINEXTENT 1
MAXEXTENT UNLIMITED
PCTINCREASE 50);
결론적으로, 하나의 테이블은 하나의 연속적인 공간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익스텐트라는 작은 구성요소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블록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작은 저장구조를 블록(Block)이라고 합니다. 앞에서 소개 드린 익스텐트 구조는 사실은 하나의 연속적인 공간이 아니라 블록구조가 여러 개 모여 만들어지는 하나의 공간입니다. 결국, 여러 개의 블록이 모여 하나의 익스텐트를 만들게 됩니다.
그렇다면, 하나의 익스텐트를 왜 여러 개의 작은 구성요소로 만들었을까요 ??
만약, 하나의 익스텐트를 하나의 연속적인 공간으로 만들었다면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을 때 한번에 많은 데이터를 읽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번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저장과 관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연속적인 데이터를 여러 개의 블록구조로 쪼개서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게 되는 것 입니다.
이 문법에서 SYSTEM01.DBF 데이터 파일은 SYSTEM 테이블스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구조를 표현한 것이며, UNDO01.DBF 는 UNDOTBS 테이블스페이스, TEMP01.DBF는 TEMPORARY 테이블스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구조를 표현한 것 입니다.
3) 세그멘트
데이터베이스 내에 생성되는 모든 객체( 테이블, 인덱스, 뷰, 시퀀스, 시노늄 등)들을 세그멘트(Segment) 라고 합니다. 다음 문법을 보시는 것처럼, 하나의 세그멘트는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에 저장되는 하나의 구성요소입니다.
SQL> CONNECT system/manager
SQL> CREATE TABLESPACE insa
DATAFILE 'C:\ORACLE\ORADATA\ORA92\test01.dbf' size 10M;
SQL> CONNECT scott/tiger
SQL> CREATE TABLE test
(a NUMBER(2), b CHAR(10))
TABLESPACE insa;
← TEST 테이블(세그멘트)는 INSA 테이블스페이스에 생성됩니다.
4) 익스텐트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가 여러 개의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하나의 세그멘트도 여러 개의 익스텐트(Extent)가 모여서 구성됩니다. 하나의 테이블을 생성하면 처음부터 아주 큰 하나의 저장공간이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에는 익스텐트라는 공간이 할당되고, 이 공간이 모두 사용되면 다시 익스텐트를 할당 받아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는 것 입니다.
SQL> CONNECT scott/tiger
SQL> CREATE TABLE test1
CREATE TABLE test1
a NUMBER(2), b VARCHAR2(10))
TABLESPACE insa
STORAGE ( INITIAL 10K ← 테이블의 최초 크기를 결정합니다.
NEXT 10K ← 최초 크기가 모두 사용된 후
다음 크기를 결정합니다.
MINEXTENT 1
MAXEXTENT UNLIMITED
PCTINCREASE 50);
결론적으로, 하나의 테이블은 하나의 연속적인 공간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익스텐트라는 작은 구성요소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블록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작은 저장구조를 블록(Block)이라고 합니다. 앞에서 소개 드린 익스텐트 구조는 사실은 하나의 연속적인 공간이 아니라 블록구조가 여러 개 모여 만들어지는 하나의 공간입니다. 결국, 여러 개의 블록이 모여 하나의 익스텐트를 만들게 됩니다.
그렇다면, 하나의 익스텐트를 왜 여러 개의 작은 구성요소로 만들었을까요 ??
만약, 하나의 익스텐트를 하나의 연속적인 공간으로 만들었다면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을 때 한번에 많은 데이터를 읽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번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저장과 관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연속적인 데이터를 여러 개의 블록구조로 쪼개서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게 되는 것 입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장
스포츠 리그를 위해 팀들과 게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DB Design Project ( 삼국지 개념의 국가, 인재, 성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DB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수립과 성공케이스 분석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 SQL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젝트 보고서 인터넷 영화 예매 시스템 구축
[특허][이중출원][웹데이터베이스][표준화][진보성]특허의 개념, 특허의 분류, 특허의 요건,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database marketing)의 의의와 목적 및 장단점
데이터베이스 설계 최종 보고서 3조
데이터베이스, c언어
데이터베이스, c언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논리구조
인터넷 정보검색효율의 측정방법,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최적화,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