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Ⅱ-Ⅰ. 평범한 일상
Ⅱ-Ⅱ. 조작된 현실
Ⅱ-Ⅲ. 점점 조여 오는 미디어의 횡포
Ⅱ-Ⅳ. 정체성을 찾아서
Ⅲ. 맺음말
Ⅱ. 본론
Ⅱ-Ⅰ. 평범한 일상
Ⅱ-Ⅱ. 조작된 현실
Ⅱ-Ⅲ. 점점 조여 오는 미디어의 횡포
Ⅱ-Ⅳ. 정체성을 찾아서
Ⅲ. 맺음말
본문내용
오게 된다.
Ⅲ. 맺음말
이 영화를 보고나니 요즘 방송에서 인기리에 방영되는 몰래 카메라식 오락프로그램들이 떠올랐다. 사람들의 훔쳐보고 싶어 하는 호기심을 이용한 이런 오락프로그램들의 사생활 침해 수준은 이미 도를 넘어섰고, 이런 프로그램들은 내가 보기엔 트루먼쇼와 다를 바가 없어 보였다. 침해의 정도만 다를 뿐이지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몰래 보여줌으로써 대중들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고, 자기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올리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케이블의 한 방송에서는 몰래카메라를 설치해 두고 매혹적인 이성이 유혹했을 때 그 사람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하는 프로그램도 있고, 또 잘생긴 남자들이 잠자리를 함께 할 여성을 구해오는 과정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우리 사회에서 미디어의 사생활 침해 수준이 심각한 지경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비단 이런 프로그램들이 아니라 해도 점점 더 과학이 발달하고 정보화 사회로 치닫고 있는 요즘 미디어를 통한 횡포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매스컴은 거짓도 사실처럼 보이게 할 수 있는 파워를 가지고 있고, 우리들의 삶 곳곳엔 CCTV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우린 어느 정도의 사생활을 허용한 채 살아가고 있다. CCTV로 인한 사생활침해의 예를 들자면 얼마 전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목욕탕 CCTV를 들 수 있다. 도난방지용으로 필요하다고 하지만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우리들의 모습이 녹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불쾌하기 그지없는 일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목욕탕뿐만이 아니라 요즘은 이제 웬만한 공공장소에 CCTV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이며, 한 통계에 따르면 도시에서 한 사람이 출근에서 퇴근할 때까지 자신도 모르게 수도 없는 감시카메라에 의해 거의 모든 행적이 녹화된다고 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렇게 무서운 현실 앞에서도 사람들이 이런 매스컴이나 미디어의 횡포에 대해 무감각하다는 사실이다. 매스컴의 보도내용은 진리인양 그대로 믿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자신의 사생활 침해는 원하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의 사생활은 훔쳐보고 싶어 하는 심리를 가진 사람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미디어의 희생양이 바로 내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며, 앞으로 더욱 발전해 가는 정보화 사회에서 인간은 편리함의 대가로 더욱 더 많은 사생활을 포기하는 대가를 치러야 함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영화 속의 트루먼이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찾기 위해 멋진 용기를 보여줬던 것처럼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미래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도 알아야 할 것이다. 어쨌든 이 영화는 신선한 소재로 나로 하여금 많은 것을 깨닫게 해준 소중한 영화였다.
※이 자료의 모든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음을 밝히며, 이 자료를 무단으로 복제, 복사, 전재한 후 사익을 위하여, 인터넷상에서 재판매하거나, 새로운 자료 형태로 재편집하여 무단으로 배포하는 행위를 할 경우, 저작권법 제 97조 5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Ⅲ. 맺음말
이 영화를 보고나니 요즘 방송에서 인기리에 방영되는 몰래 카메라식 오락프로그램들이 떠올랐다. 사람들의 훔쳐보고 싶어 하는 호기심을 이용한 이런 오락프로그램들의 사생활 침해 수준은 이미 도를 넘어섰고, 이런 프로그램들은 내가 보기엔 트루먼쇼와 다를 바가 없어 보였다. 침해의 정도만 다를 뿐이지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몰래 보여줌으로써 대중들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고, 자기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올리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케이블의 한 방송에서는 몰래카메라를 설치해 두고 매혹적인 이성이 유혹했을 때 그 사람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하는 프로그램도 있고, 또 잘생긴 남자들이 잠자리를 함께 할 여성을 구해오는 과정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우리 사회에서 미디어의 사생활 침해 수준이 심각한 지경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비단 이런 프로그램들이 아니라 해도 점점 더 과학이 발달하고 정보화 사회로 치닫고 있는 요즘 미디어를 통한 횡포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매스컴은 거짓도 사실처럼 보이게 할 수 있는 파워를 가지고 있고, 우리들의 삶 곳곳엔 CCTV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우린 어느 정도의 사생활을 허용한 채 살아가고 있다. CCTV로 인한 사생활침해의 예를 들자면 얼마 전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목욕탕 CCTV를 들 수 있다. 도난방지용으로 필요하다고 하지만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우리들의 모습이 녹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불쾌하기 그지없는 일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목욕탕뿐만이 아니라 요즘은 이제 웬만한 공공장소에 CCTV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이며, 한 통계에 따르면 도시에서 한 사람이 출근에서 퇴근할 때까지 자신도 모르게 수도 없는 감시카메라에 의해 거의 모든 행적이 녹화된다고 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렇게 무서운 현실 앞에서도 사람들이 이런 매스컴이나 미디어의 횡포에 대해 무감각하다는 사실이다. 매스컴의 보도내용은 진리인양 그대로 믿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자신의 사생활 침해는 원하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의 사생활은 훔쳐보고 싶어 하는 심리를 가진 사람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미디어의 희생양이 바로 내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며, 앞으로 더욱 발전해 가는 정보화 사회에서 인간은 편리함의 대가로 더욱 더 많은 사생활을 포기하는 대가를 치러야 함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영화 속의 트루먼이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찾기 위해 멋진 용기를 보여줬던 것처럼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미래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도 알아야 할 것이다. 어쨌든 이 영화는 신선한 소재로 나로 하여금 많은 것을 깨닫게 해준 소중한 영화였다.
※이 자료의 모든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음을 밝히며, 이 자료를 무단으로 복제, 복사, 전재한 후 사익을 위하여, 인터넷상에서 재판매하거나, 새로운 자료 형태로 재편집하여 무단으로 배포하는 행위를 할 경우, 저작권법 제 97조 5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추천자료
조경가 스즈끼 쇼도우
KTF SHOW(쇼) 마케팅사례분석
경기 국제 보트 쇼 및 코리아 매치컵
서평: 버나드 쇼의 피그말리온(Review: Pygmalion by George Bernard Shaw)
사랑에 관한 영어 토크쇼
KT SHOW 쇼 광고분석과 향후전략
수제 초콜릿 전문 카페-쇼콜라페(chocolafe) 사업계획서[A+ 평가 레포트★★★★★]
아무 것도 치유하지 못한 버라이어티 매지컬쇼
[문화선교] 쇼 프로그램
[문화선교] 쇼, 오락프로그램과 문화선교
[독후감] 얼 쇼리스(Earl Shorris)의 『희망의 인문학(Riches for the poor)』을 읽고 나서
존 브래드 쇼 가족家族 감상문(나를 찾는 심리여행,가족체계 이해)
종교의 이해-인간들의 쇼SHOW
[독후감] 쇼(SHOW) - 스토리로 배우는 경제경영 시리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