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 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오락 프로그램 가운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바로 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다양한 소재와 많은 사람들의 지지에 힘입어 수많은 프로그램이 현재 방영되고 있다.
KBS 동물들을 소재로 한 ‘주주클럽’, 지식을 쌓으며 웃음을 선사하는 ‘가족오락관’, ‘도전주부가요스타’, ‘상상플러스’, ‘퀴즈 대한민국’, ‘스타 골든벨’ 등이 있다. 건강 상식을 중심으로 다루는 ‘비타민’과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주는 ‘위기탈출 넘버원’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쇼 파워 비디오’, ‘해피 선데이’, ‘해피투게더 - 프랜즈’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또 연예정보 프로그램인 ‘연예가 중계’가 있다. MBC에는 교육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는 ‘느낌표’가 있고,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무한도전’과 ‘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경제상식과 건강상식 등을 알려주는 ‘일요일일요일밤에’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연예가 중계’와 같은 연예정보 프로그램인 ‘섹션 TV 연예통신’이 있다. 만원으로 연예인들이 일주일을 살아가는 처절한 프로그램인 ‘행복주식회사’와 놀라운 소재를 매번 보여주는 ‘TV 특종 놀라운 세상’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SBS에는 시청자의 설문을 통해 문제를 풀어보는 ‘야심만만’, 독특한 사람들을 찾아서 방송하는 ‘진실게임’, 맛있는 음식들을 소개하는 ‘결정! 맛대맛’ 같은 프로그램이 있다. 그리고 천방지축의 아이가 얌전하고 예의바른 아이로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는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라는 훈훈한 프로그램 또한 있다. 또 많은 웃음과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일요일이 좋다 - X맨’, 새로 시작한 ‘헤이헤이헤이 시즌2’ 등이 있다. ‘섹션 TV 연예통신’과 같은 ‘생방송 TV 연예’가 SBS의 연예정보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고 있다.
(4) 케이블 TV 프로그램
요즘은 공중파만이 인기 있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의 인기도 만만치 않다. 전혀 뜰 것 같지 않았던, 비호감 프로그램이었던 ‘재용이의 순결한 19’는 그 전에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너무나(?) 솔직한 방송과 연예인들의 낱낱이 파헤쳐진 정보로 사람들의 관심을 사고 있다. 그 밖에 KM TV나, Mnet, MTV, 등의 음악 방송 들의 인기도 꾸준하다. 다른 공중파에서는 없는 하루 왠 종일 음악이 방송되어 자신의 선호에 따라 음악을 보면서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영화를 시청할 수 있는 OCN이나, 다소 성인 방송이 많이 나오는 HBO 등이 있다.
3.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기 있는 이유?
(1) 시청률
전국 시청률을 조사했을 때, KBS의 ‘개그 콘서트’가 22.6%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요즘의 청소년들뿐만이 아니라, 2, 30대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코미디 프로그램인 ‘개그 콘서트’는 사람들의 하루 일과에서 오는 피로와 짜증을 날려버릴 수 있는 주말 코미디 프로그램이라서 이와 같은 사랑을 받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개그맨들의 신선한 개그 소재와 오랜 전통으로 탄탄한 개그맨 선배들의 뒷받침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뒤로 9위에 머물고 있는 KBS의 ‘상상플러스’는 19.5%를 차지했다. MC들의 재치와 순발력에 기존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아나운서의 오락프로그램 도입으로 큰 화제를 몰았다. 또한 침체되었던 우리말 찾기를 중심 소재로 하여 우리말의 사용을 대폭적으로 늘리고, 우리말과 더욱더 가까워질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이기에 대중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오락프로그램 순위 3위에는 ‘해피 투게더 - 프렌즈’가 18.4%로 전국 시청률 순위 10위에 자리 잡고 있다. 친구를 찾는 신선한 소재로 많은 이들의 추억을 되살리는 즐거운 프로그램이다. 유재석과 이효리의 탄탄한 호흡을 맞추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이 두 MC의 맛깔스런 진행과 꾸밈없는 진행, 연예인들의 오랜 추억 속의 친구들을 찾는 훈훈한 프로그램으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 뒤로 MBC의 '일요일 일요일 밤에‘, ’무한도전‘ KBS의 ’스타골든벨‘ 등이 있다.
(2) MC
요즘 많은 이들의 관심 대상이었던 유재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오락 프로그램이 살고 죽느냐는 재미있고, 진행 잘하는 MC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MC로서 많은 사랑과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신동엽, 김용만, 이경규, 유재석, 서경석, 강호동, 이혁재, 박수홍 등을 보게 되면 알 수 있다. 프로그램의 진행이 지루해지지 않게 하고, 매끄러우면서도 톡톡 튀게 만드는 MC들의 역할이 인기의 이유가 된다. 이러한 MC들의 선호가 자칫 많은 프로그램의 중복된 캐스팅이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지만, 프로그램이 살려면 어쩔 수 없는 실정이다.
(3) 시대의 문제점, 이슈 등을 소재로 사용 함
오락프로그램도 시대의 흐름과 사건에 큰 영향을 받는다. 정치적, 외교적인 사건을 소재로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코미디를 하기도 하고, 연예계의 핫 이슈를 다루는 연예전보 프로그램, 해외 유출 문화재를 되찾기 위한 ‘느낌표’의 코너 ‘74434’등이 이러한 모습들을 보여준다. 시청자들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기에 그 어떤 시대의 사람들보다도, 지금 현재의 모습에 관심이 있고, 접하기 마련이다. 방송에서는 이러한 점을 이용해야 한다. 시청자들의 사랑과 관심을 받지 못하는 프로는 존속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4) 초호화 연예인들 캐스팅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MC만 있어서는 안 된다. 프로그램에 매주 캐스팅 될 연예인들이 필요하다. 요즘의 많은 프로그램에는 서로 인기 연예인들을 캐스팅하기 위해 바쁘다. 흥행하고 있는 영화배우나, 이슈가 되고 있는 가수, 탤런트 등을 섭외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엄청나게 크기 때문이다. 그 연예인들을 보기 위해서 시청하는 젊은 청소년들이 많기 때문이다. TV 시청하는 연령층을 따지 보았을 때, 10대가 압도적으로 많다. 그러기에 10대들이 선호하는 꽃미남 연예인들과 인기 있는 개성파 배우들을 캐스팅하는 것에 따라 시청률이 좌지우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오늘날의 인기 있는 오락프로그램이 왜 인기가 있는지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으면 한다.
오락 프로그램 가운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바로 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다양한 소재와 많은 사람들의 지지에 힘입어 수많은 프로그램이 현재 방영되고 있다.
KBS 동물들을 소재로 한 ‘주주클럽’, 지식을 쌓으며 웃음을 선사하는 ‘가족오락관’, ‘도전주부가요스타’, ‘상상플러스’, ‘퀴즈 대한민국’, ‘스타 골든벨’ 등이 있다. 건강 상식을 중심으로 다루는 ‘비타민’과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주는 ‘위기탈출 넘버원’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쇼 파워 비디오’, ‘해피 선데이’, ‘해피투게더 - 프랜즈’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또 연예정보 프로그램인 ‘연예가 중계’가 있다. MBC에는 교육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는 ‘느낌표’가 있고,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무한도전’과 ‘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경제상식과 건강상식 등을 알려주는 ‘일요일일요일밤에’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연예가 중계’와 같은 연예정보 프로그램인 ‘섹션 TV 연예통신’이 있다. 만원으로 연예인들이 일주일을 살아가는 처절한 프로그램인 ‘행복주식회사’와 놀라운 소재를 매번 보여주는 ‘TV 특종 놀라운 세상’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SBS에는 시청자의 설문을 통해 문제를 풀어보는 ‘야심만만’, 독특한 사람들을 찾아서 방송하는 ‘진실게임’, 맛있는 음식들을 소개하는 ‘결정! 맛대맛’ 같은 프로그램이 있다. 그리고 천방지축의 아이가 얌전하고 예의바른 아이로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는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라는 훈훈한 프로그램 또한 있다. 또 많은 웃음과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일요일이 좋다 - X맨’, 새로 시작한 ‘헤이헤이헤이 시즌2’ 등이 있다. ‘섹션 TV 연예통신’과 같은 ‘생방송 TV 연예’가 SBS의 연예정보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고 있다.
(4) 케이블 TV 프로그램
요즘은 공중파만이 인기 있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의 인기도 만만치 않다. 전혀 뜰 것 같지 않았던, 비호감 프로그램이었던 ‘재용이의 순결한 19’는 그 전에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너무나(?) 솔직한 방송과 연예인들의 낱낱이 파헤쳐진 정보로 사람들의 관심을 사고 있다. 그 밖에 KM TV나, Mnet, MTV, 등의 음악 방송 들의 인기도 꾸준하다. 다른 공중파에서는 없는 하루 왠 종일 음악이 방송되어 자신의 선호에 따라 음악을 보면서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영화를 시청할 수 있는 OCN이나, 다소 성인 방송이 많이 나오는 HBO 등이 있다.
3.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기 있는 이유?
(1) 시청률
전국 시청률을 조사했을 때, KBS의 ‘개그 콘서트’가 22.6%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요즘의 청소년들뿐만이 아니라, 2, 30대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코미디 프로그램인 ‘개그 콘서트’는 사람들의 하루 일과에서 오는 피로와 짜증을 날려버릴 수 있는 주말 코미디 프로그램이라서 이와 같은 사랑을 받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개그맨들의 신선한 개그 소재와 오랜 전통으로 탄탄한 개그맨 선배들의 뒷받침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뒤로 9위에 머물고 있는 KBS의 ‘상상플러스’는 19.5%를 차지했다. MC들의 재치와 순발력에 기존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아나운서의 오락프로그램 도입으로 큰 화제를 몰았다. 또한 침체되었던 우리말 찾기를 중심 소재로 하여 우리말의 사용을 대폭적으로 늘리고, 우리말과 더욱더 가까워질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이기에 대중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오락프로그램 순위 3위에는 ‘해피 투게더 - 프렌즈’가 18.4%로 전국 시청률 순위 10위에 자리 잡고 있다. 친구를 찾는 신선한 소재로 많은 이들의 추억을 되살리는 즐거운 프로그램이다. 유재석과 이효리의 탄탄한 호흡을 맞추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이 두 MC의 맛깔스런 진행과 꾸밈없는 진행, 연예인들의 오랜 추억 속의 친구들을 찾는 훈훈한 프로그램으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 뒤로 MBC의 '일요일 일요일 밤에‘, ’무한도전‘ KBS의 ’스타골든벨‘ 등이 있다.
(2) MC
요즘 많은 이들의 관심 대상이었던 유재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오락 프로그램이 살고 죽느냐는 재미있고, 진행 잘하는 MC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MC로서 많은 사랑과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신동엽, 김용만, 이경규, 유재석, 서경석, 강호동, 이혁재, 박수홍 등을 보게 되면 알 수 있다. 프로그램의 진행이 지루해지지 않게 하고, 매끄러우면서도 톡톡 튀게 만드는 MC들의 역할이 인기의 이유가 된다. 이러한 MC들의 선호가 자칫 많은 프로그램의 중복된 캐스팅이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지만, 프로그램이 살려면 어쩔 수 없는 실정이다.
(3) 시대의 문제점, 이슈 등을 소재로 사용 함
오락프로그램도 시대의 흐름과 사건에 큰 영향을 받는다. 정치적, 외교적인 사건을 소재로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코미디를 하기도 하고, 연예계의 핫 이슈를 다루는 연예전보 프로그램, 해외 유출 문화재를 되찾기 위한 ‘느낌표’의 코너 ‘74434’등이 이러한 모습들을 보여준다. 시청자들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기에 그 어떤 시대의 사람들보다도, 지금 현재의 모습에 관심이 있고, 접하기 마련이다. 방송에서는 이러한 점을 이용해야 한다. 시청자들의 사랑과 관심을 받지 못하는 프로는 존속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4) 초호화 연예인들 캐스팅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MC만 있어서는 안 된다. 프로그램에 매주 캐스팅 될 연예인들이 필요하다. 요즘의 많은 프로그램에는 서로 인기 연예인들을 캐스팅하기 위해 바쁘다. 흥행하고 있는 영화배우나, 이슈가 되고 있는 가수, 탤런트 등을 섭외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엄청나게 크기 때문이다. 그 연예인들을 보기 위해서 시청하는 젊은 청소년들이 많기 때문이다. TV 시청하는 연령층을 따지 보았을 때, 10대가 압도적으로 많다. 그러기에 10대들이 선호하는 꽃미남 연예인들과 인기 있는 개성파 배우들을 캐스팅하는 것에 따라 시청률이 좌지우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오늘날의 인기 있는 오락프로그램이 왜 인기가 있는지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으면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과교육으로서의 독서와 독서교육지도방안
제7차 초등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문제점과 대안)
수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 -국어과 수행평가
현재 초등학교 문법교육의 문제점과초등 문법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 모색
매체교육을 활용한 국어교육 수용방안 연구 (비교 중심)
[동사][품사][국어][힌디어][독일어][중국어][일본어]국어 품사 동사의 정의, 국어 품사 동사...
직접교수(직접교수법, DI)의 의의와 이론적 배경, 직접교수(직접교수법, DI)의 기본절차, 직...
[표준말][표준어]표준말(표준어)의 역사, 표준말(표준어)의 자연성, 표준말(표준어)의 기능, ...
국어논술연습_국어
요약과 주제 확정의 4원칙 분석 자료
지식교육의 실제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둘째마당 한걸음 더. 되돌아보기
문학 영역 &#8228; 문학 과목
[국어교육] 인쇄매체언어와 국어교육 _ 인쇄매체언어의 개념과 연구의 범주, 인쇄매체언어 특...
2016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국어의 계통 저서나 논문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