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개발 모델(Locality development model : Model A)
1). 지역사회의 자주성 중시
2). 문제해결
3). 전문워커의 역할
2. 사회계획⋅정책모델(Social planning / policy model, Model B)
1). 사회계획의 배경
2). 지역사회의 이해와 갈등
3). Planner의 역할
4). 사회계획 모델의 활동내용
3. 사회행동 모델 (Social action model, Model C)
1). 워커의 역할
1). 지역사회의 자주성 중시
2). 문제해결
3). 전문워커의 역할
2. 사회계획⋅정책모델(Social planning / policy model, Model B)
1). 사회계획의 배경
2). 지역사회의 이해와 갈등
3). Planner의 역할
4). 사회계획 모델의 활동내용
3. 사회행동 모델 (Social action model, Model C)
1). 워커의 역할
본문내용
에 대응해 출현한 것이 사회행동모델이다. 새로운 사회운동은 지역전체가 아니라 지역 안에서 착취당하고 불리한 입장에 있는 주민층과 그들이 집단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 안고 있는 제 문제의 해결과 조직화에 한정한다는 기술체계이다. 갈등주의 입장에서 경제적 사회의 불평등구조에 대한 제도적인 변화르 추구하는 것으로 사회행동의 목표로서 보다 높은 수준의 자원과 서비스의 획득, 자원분배기구, 공적인 정책이 변혁, 입법과 법제의 개정과 같은 사회적 변혁을 중시하는 과제 중심의 목표의 성취, 그리고 착취당하는 주민층의 지역사회의사결정에 참가하고 그들이 자립적 힘의 증대(특정 집단의 이익을 신장시키려는 목표), 또 그들이 소외상황의 극복, 개선과 같은 과정목표의 달성이 동시에 중시된다.
1). 워커의 역할
워커의 역할은 중립적인 조력자(Enabler)보다는 소외되고 제권리를 침해 받기 쉬운 계층들의 이익을 옹호하여 때로는 그들을 대신해 그들의 권리실현을 주장하고 추진하는 대변자가 된다. 또한 대변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불우계층을 비롯한 착취당하는 주민층의 자발적 조직화와 그것의 지속적 발전을 측면에서 원조하는 조직가(Organizer)로서의 역할 또한 중시된다.
1). 워커의 역할
워커의 역할은 중립적인 조력자(Enabler)보다는 소외되고 제권리를 침해 받기 쉬운 계층들의 이익을 옹호하여 때로는 그들을 대신해 그들의 권리실현을 주장하고 추진하는 대변자가 된다. 또한 대변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불우계층을 비롯한 착취당하는 주민층의 자발적 조직화와 그것의 지속적 발전을 측면에서 원조하는 조직가(Organizer)로서의 역할 또한 중시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략적 가족치료와 해결중심 치료모델의 신념
지역사회복지의 세 가지 전통적 실천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11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r
2012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모형 정리
인터넷 비즈니스로서 웹사이트 성공요인 및 평가모델에 관한 고찰
2013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내가 살고 있는 우리지역의 사회복지사라고 가정했을 때, 우리 지역의 해결과제를 파악해서 ...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하여 각 학자들의 주장을 비교하여 제출하시오.
2014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지역사회복지 사례를 들고, Rothman의 지역사회 조직 모형 중 한 가지 모형에 맞게 분석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주된 지역사회문제는 무엇이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적절한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