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습목적
2. 실습공구
3. 실습 대상물
4. 전장품
(1)알터네이터(AC: Alternating Current)
a. 알터네이터란?
b. 부품의 명칭과 역할
- 스테이터
- 로터
- 브러시
c. 작동순서 및 작동원리
(2)점화코일(Ignition Coil)
a. 점화코일이란?
b. 작동원리
- 자기유도작용
-상호유도작용
c. 작동순서
(3) 배전기(Distributor)
(4) 스타팅 모터
a. 스타팅 모터란?
b. 부품의 명칭 및 역할
- 필드 코일
- 아마츄어
- 마그네틱 스위치
c. 작동순서
5. 토의
2. 실습공구
3. 실습 대상물
4. 전장품
(1)알터네이터(AC: Alternating Current)
a. 알터네이터란?
b. 부품의 명칭과 역할
- 스테이터
- 로터
- 브러시
c. 작동순서 및 작동원리
(2)점화코일(Ignition Coil)
a. 점화코일이란?
b. 작동원리
- 자기유도작용
-상호유도작용
c. 작동순서
(3) 배전기(Distributor)
(4) 스타팅 모터
a. 스타팅 모터란?
b. 부품의 명칭 및 역할
- 필드 코일
- 아마츄어
- 마그네틱 스위치
c. 작동순서
5. 토의
본문내용
랜지가 당겨지게 되면 플레이트 레버의 아랫부분을 밀게 되어 피니언 기어가 엔진의 플라이휠의 링기어와 물리게 되고 엔진의 시동이 걸림
5. 토의
마지막 시간으로 우리 조는 전장품에 대해 실습 했다. 전장품에 대해서는 책으로 읽기는 했으나 정확한 원리나 작동순서를 이해 할 수는 없었고, 아직 수업에서 이론을 통해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 실습을 통해 완전히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알터네이터에서 로터는 자성을 띄고 있었고 그 부분에서 양극과 음극이 생긴 교류가 다이오드로 들어와 직류로 바뀌는 순서를 분해해 알 수 있었다. 다이오드는 총 8개 2행 4열로 되어 있었는데 첫 번째 행은 양극 두 번째 행은 음극을 띄는 것을 직접 전류계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습을 통해 관찰한 배전기는 접점식 구형 배전기였다. 요즘은 배전기가 없는 대신 ECU를 이용하여 전자 배전 방식을 사용한다고 한다. 그래도 배전기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스타팅 모터는 배터리를 연결해 직접 작동하는 것을 보았는데 그 중 부드럽게 돌지 않는 것이 하나 있었다. 원리를 먼저 이해하고 그 스타팅 모터를 직접 분해하여 고쳐 보면서 완전히 이해 할 수 있었다.
5. 토의
마지막 시간으로 우리 조는 전장품에 대해 실습 했다. 전장품에 대해서는 책으로 읽기는 했으나 정확한 원리나 작동순서를 이해 할 수는 없었고, 아직 수업에서 이론을 통해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 실습을 통해 완전히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알터네이터에서 로터는 자성을 띄고 있었고 그 부분에서 양극과 음극이 생긴 교류가 다이오드로 들어와 직류로 바뀌는 순서를 분해해 알 수 있었다. 다이오드는 총 8개 2행 4열로 되어 있었는데 첫 번째 행은 양극 두 번째 행은 음극을 띄는 것을 직접 전류계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습을 통해 관찰한 배전기는 접점식 구형 배전기였다. 요즘은 배전기가 없는 대신 ECU를 이용하여 전자 배전 방식을 사용한다고 한다. 그래도 배전기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스타팅 모터는 배터리를 연결해 직접 작동하는 것을 보았는데 그 중 부드럽게 돌지 않는 것이 하나 있었다. 원리를 먼저 이해하고 그 스타팅 모터를 직접 분해하여 고쳐 보면서 완전히 이해 할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