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고의 또는 중과실에 대한 면책특약의 무효(제1호)
3. 손해배상범위의 제한 또는 위험의 이전(제2호)
4. 담보책임의 배제 또는 제한 등(제3호)
5. 관련 판례
2. 고의 또는 중과실에 대한 면책특약의 무효(제1호)
3. 손해배상범위의 제한 또는 위험의 이전(제2호)
4. 담보책임의 배제 또는 제한 등(제3호)
5. 관련 판례
본문내용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입여부 또한 자유로우므로 일반적으로 사적자치의 원칙이 적용되는 영역에 속한다 할 것이고, 피보험자나 운전자의 배우자 등이 사고로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그 가정 내에서 처리함이 보통이고 손해배상을 청구하지 않는 것이 사회통념에 속한다고 보이며, 이러한 경우의 보호는 별도의 보험인 자손사고보험에 의하도록 하고 있는 점(따라서 대인배상보험에는 피보험자나 운전자의 배우자 등이 손해를 입은 경우의 보상에 관한 전보책임이 인수되어 있지 아니하고, 보험료에도 위 책임에 따른 보험료는 내포되어 있지 아니하다) 등으로 미루어 보면, 위 약관규정이 약관의규제에관한법률 제7조 제2호에 위반된다거나 경제적인 강자인 보험자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규정에 해당하여 무효라고 할 수는 없다”고 판시하고 있다.
추천자료
무역보험론
영화속 제품배치(ppl)에 대한 연구
인보험에 대한 것
사교육과 공교육에 대한 고찰
[공정공시제도][공정공시제도 평가][미국 공정공시제도 사례]공정공시제도의 추진배경과 공정...
현행 노동법상 복수노조 설립 문제에 대하여
현행 노동법상 복수노조 개요
노동조합 설립과 가입의 자유 (판례 중심 검토)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
쟁의행위의 목적의 정당성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학교폭력 예방] 학교폭력문제 방지에 대한 법과 정책 및 문제점 개선방향
핸드폰에 대한 보조금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바람직한 제도설정
독도문제에 대한 나의 독창적인 견해
모방광고와 표절광고 법안으로 보는 규제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