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사례연구(cas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피부의 발적, 물집, 부정 등을 사정한다.
② 치료적 계획
- 1~2 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 체위변경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를 마사지해준다.
-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 압력 감소를 위해 공기나 물이 들어있는 매트리스를 사용하거나 패드 등을 대준다.
③ 교육적 계획
- 올바를 체위선열에 대해 교육한다.
- 체위변경과 환자 이동시 피부가 끌리지 않도록 환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 대상자의 압박되는 곳을 사정 →환자에게 직접 불편한 곳을 사정하고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움직임과 불편감 호소하는 곳과 정도를 사정
- 등마사지를 실시한다.
- 등쪽이 진무르지 않도록 자주 체위변경을 실시하고 보호자에게 교육시킴
- 피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원인으로 인한 신체변화와 체위변경을 해야하 는 이유를 설명한다.
→ 왜 체위변경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고 있음
- 등쪽이 아프지 않다고 말씀하신다.
- 정상적으로 피부가 유지된다. →등쪽의 붉은 것들이 없어진다.
- 자주 체위변경을 한다.
- 적절한 정보로 지식의 부족을 경감시키고 체위변경을 해야하는 이유를알게 된다.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적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1) 주관적 자료
“ 대변 보고 싶기는 한데 영 안나오네. 간호사, 나 약 좀 줘 ”
2) 객관적 자료
- 3일 전 대변 본 후 아직 못보고 있음
- 복부 팽만
#2.
장기적부동과
관련된 변비
환자의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회복한다.
① 진단적 계획
- 환자의 과거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 복부의 팽만 정도를 사정한다.
② 치료적 계획
-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분을 섭취하고 섬유질이 많은 식이를 섭취 하도록 한다.
- 배변을 유도하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 배변 시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 필요시 처방된 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 필요시 관장을 시행한다.
③ 교육적 계획
- 환자가 충분한 수분섭취를 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 평상시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갖도록 교육한다.
- 대상자의 대변의 빈도와 특성을 모니터한다.
-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고 모니터한다.
- 대상자가 하루에 복부마사지를 하도록 교육함.
→ 횡행과 하행결장을 따라 부드럽게 마사지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걷기, 다리 올리기, 복부-근육 스트레칭. Kegel운동과 같은 일상적인 운동을 수행한다.
- 고섬유질 식이의 섭취를 권장한다.
- 금기가 아니면 매일 6~8컵(240m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함.
- 평소보다 변을 보는 횟수가 증가
- 매일하는 장운동으로 인해 더 이상 변비약을 요구하지 않음.
- 굳고 건조한 변에서 부드러운 변을 배설함.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적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1) 주관적 자료
①“힘이없어~”
②“어질하고 머리아파”
2) 객관적 자료
①말씀을 처음에 거의 하시지 않음.
-고개만 끄덕이고 하심
②Rt.hemiplegia가 있음
③걸을 때 조금 절뚝 거리심
④식사시에도 보호자가 도와주심
#3.
반신쇠약과
반신마비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①대상자는 제한 범위 내에서 최적의 신체기동상태를 갖춘다.
②손상 환부의 사지움직임이 정상적이고 근력이 증진된다.
① 진단적 계획
- 환자의 자가간호 정도를 사정한다.
- 환자의 각 활동에 대한 기능 수준을 사정한다.
② 치료적 계획
- 환자와 함께 혼자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해 의논한다.
- 침상에서 활동시 손상이 없도록 side rail을 올려주고 자주 쓰는 물품은 환자 근처에 놓는다.
- 지지적이고 확고한 태도를 유지하고 환자에게 충분한 시간을 준 다.
- 오랫동안 환자를 혼자 방치하지 말고 호출기를 가까이 배치한다.
③ 교육적 계획
- 자가간호 수행의 중요성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 필요한 자가간호 활동에 대해 교육한다.
- 앉아서 하는 운동을 격려하고 회복과 관련된 희망과 최적감을 갖도록 돕는다.
→ 가능한 빨리 침대에서 일어나도록 대상자를 돕는다. 그러나 앉을시 기립성 저혈압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대상자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자가 간호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대상자가 자가 간호를 많이 수행하도록 돕는다.
- 대상자가 일상생활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어느 정도 기동력을 갖추시고 보호자와 함께 병실 밖으로 나가서 조 금씩 운동 하신다.
- 자가 간호를 잘 이해한다.
- 스스로 자가 간호를 한다. → 느리긴 하지만 혼자 하심(식사,화장실..)
- 앉아서 다른 분들과 이야기도 나누시고, 의사소통도 잘 하신다. → 처음에는 구음장애와 함께 말씀도 없으시고 움직임도 없으셨는데 지금은 조금씩 움직이시고 말씀도 하시며 질문을 해도 곧 잘 대답하신 다.
Ⅲ. 결 론
병동실습은 처음이라 많이 서툴렀지만 병동업무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는 기간이었다. 많은 환우 분들의 개인적 요구를 하나하나 듣고 수용하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았다. 또한 환우 분들에 비해 간호사분들의 수가 턱없이 적어보여서 간호사선생님들의 업무가 힘들어 보여서 안타까웠다. 그렇게 바쁜 업무와중에서도 간호업무나 임상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웃으면서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했다. 그래서 몸은 많이 힘들었지만 친절한 선생님들 덕분에 웃으면서 즐겁게 실습에 임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신경과와 관련된 환우 분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였고 이번 case study를 진행하면서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못한 신경과를 연구하면서 어려움도 있었지만 뇌경색이라는 질병에 관해서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아 매우 보람찼다.
< 참고문헌 >
강병철외 공저(2005),“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한우리
김명호 저(1997), “기초임상신경학”, 최신의학사
박충서 저(1983), “신경학”, 고문사
송미순외 공저(2001), “진단적 검사와 간호 (개정판)”, 현문사
이대희 저(2003), “임상 신경학”, 고려대학교출판부
전시자외 공저(2005),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Kenneth W.Lindsay 저(2006), “임상신경학”, 이퍼블릭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2.05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