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황순원의 생애
2. 황순원 작품 변화의 흐름
3. 황순원 문학의 경향과 일반적 시대 정신
4. 황순원의 작품 분석 - 별, 카인의 후예
5. 결론
2. 황순원 작품 변화의 흐름
3. 황순원 문학의 경향과 일반적 시대 정신
4. 황순원의 작품 분석 - 별, 카인의 후예
5. 결론
본문내용
우리 민족의 힘에 의해서가 아니라, 2차 대전 중 일본과 대항해 싸웠던 연합국의 힘에 의해서 이루어 진 것이었다. 그리하여 일본이 항복하자 연합국을 대표해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에 군대를 진주시켰다. 한반도 안에 있는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시킨다는 명목이었다. 그러나 일본군 무장해제가 완료된 뒤에도 연합군은 한반도에서 철수하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소련군이 진주한 삼팔선 이북 지역에서는 서방식 자유 민주주의 및 자본주의 체제가 태동했다. 변혁은 급격했다. 해방 이듬해에 접어들자 인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세운다는 명목을 내세워 이른바 ‘인민의 적’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공산주의자들이 정한 인민의 적은 지주, 자본가, 일제 시대의 관리, 무당, 점쟁이, 종교인, 지식인 등이었다.소련의 군정이 급조해 놓은 이북의 임시 정권은 1946년 3월 5일 전격적으로 토지개혁을 발표해 지주들의 토지를 무상으로 몰수했다. 이처럼 이 소설은 해방 직후 삼팔선 이북에 세워진 공산주의 정권이 정한 인민의 적 숙청과 토지 개혁의 소용돌이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3. ‘카인’
‘카인의 후예’는 소설의 주제를 강하게 암시하는 제목이다. 카인은 하나님이 창조한 최초의 인간인 아담과 이브의 두 아들 중 맏이이다. 그리고 아우인 아벨을 죽임으로써 인류 역사상 최초의 살인을 저지른 인물이다. ‘카인의 후예’란 최초의 살인자이며 형제를 질투하고 증오한 카인의 피를 받은 후손이라는 뜻이다. 박훈의 고향 마을 사람들은 낯선 이념의 도입으로 인해 질투하고 증오하고 살인을 저지르게된다. 그것은 형제와 다름없는 한 마을 사람들 사이에 일어난 범죄이다. 그러나 이러한 범죄는 박훈의 고향 마을에 국한되지 않는다. 삼팔선 이북 지역 전체에서 일어난 일이며, 나아가 삼팔선을 사이에 두고 대치한 우리 민족 안에서 빚어진 질투, 증오, 살인인 것이다. 결국 ‘카인’은 광복과 좌우익의 싸움, 토지개혁의 상황이 만들어낸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 민족 안에서 빚어진 이런 비극과 범죄는 카인과 아벨, 아담과 이브에게로 소급되어 인류의 원죄와 연결된다. 그런 의미에서 『카인의 후예』는 해방 직후 평안도의 한 시골 마을에서 벌어진 사건을 인류의 원죄까지 연결시키고, 또 거꾸로 인류의 원죄라는 거대한 주제를 평안도 시골 마을의 조그만 사건으로 상징화시킨 작품인 것이다.
3. 개성적인 인물
이 작품에 빛을 더해 주는 것은 등장인물의 성격묘사이다. 『카인의 후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뚜렷한 개성을 지녔다. 주인공 격인 박훈은 전형적인 지식인의 한 유형이다. 대지주의 아들이지만 가난한 시골 사람들을 위해 야학을 개설하고, 정직하고 검소한 생활을 한다. 그러나 자신이 사랑하는 오작녀와 한 지붕 밑에서 3년을 함께 지냈으면서도 속마음을 고백하지 못하고 우유부단함 속에 갇혀 지낸다.
또 한 사람의 주인공 격인 오작녀는 사랑하는 박훈에게는 온순하고 헌신적이면서 박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모든 위험에 용감하게 맞서는 당찬 여인이 된다.
오작녀의 아버지 도섭 영감은 냉혈한 기회주의자이다. 박훈네 집 토지를 관리하는 마름일 때는 소작인에게는 냉혹하면서도 지주에게는 충성스럽더니, 해방이 되고 세상이 뒤집어져 지주가 괄시받고 매도되는 상황이 되자 주저없이 공산당에 붙어 과거의 주인인 박훈을 앞장서서 비난하고 매도한다.
한편, 오작녀의 남편은 건달이면서도 나름대로 멋과 의리를 지닌 사내다.
박훈의 삼촌 박용제는 토지를 몰수당하고 끌려가 광산에서 막노동을 하다가 탈출해 고향으로 돌아온다. 자신이 주도해 건설하다가 끝을 맺지 못한 상태로 있는 저수지를 못 잊어서였다. 어떤 사업을 일으키면 그것에 빠져들고야 마는 뛰어난 장인 같은 인물이다.
박훈의 사촌인 혁은 울분을 참지 못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적극적 성격의 인물이다.
그 밖에 고전적 도리의 인물 당손이 할아버지, 이중 성격의 기회주의자 흥수, 말 없이 단순하고 힘센 곰 같은 청년 삼득이, 전형적인 공산당 조직의 하수인인 공작원 등 수 많은 등장인물의 다양한 성격을 뚜렷하게 색색으로 구별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 소설이 마치 정말로 일어났던 일을 기록한 듯 실감 나는 것은 등장 인물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각기 맡은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5. 결론
작가 황순원이 끊임없이 역사와 현실을 응시하면서 이들을 그의 작품 속에 내면화시키려고 노력하였음을 증명한다. 황순원은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와 시대 속에서 갈등하였으며 이 갈등이 구체화된 것이 변별성을 가진 그의 작품 군이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황순원 문학은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생명주의, 인도주의, 자유주의, 영원주의를 지향하고 있으며, 형이상학적 요소를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황순원은 일제하라는 암울한 시대상황 속에서도 모국어를 갈고 닦으며 잃어가는 한국적 이미지와 전통문학과의 접맥을 통하여 한국의 얼을 고양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그 문학적 소산으로 단편집『늪』과 『기러기』를 들 수 있다.
특히 황순원이 농민의 문제와 인류의 보편적 문제라 할 수 있는 가난의 양상을 작품 속에서 내면화시키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점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인간구원으로서의 사랑이 개체적 개인적 사랑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공동운명체적 사랑과 인류애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황순원 문학의 포괄성과 보편성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황순원의 문학은 일부에서 비판하듯이 역사와 현실로부터 유리된 문학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의 제반 모순과 부조리를 직시하고 인식하면서 부정적인 현실을 극복하려는 작가의 능동적 의지의 소산이었던 것이다.
참고자료
황순원의 단편소설 1 -해방전의 작품을 중심으로-
http://myhome.naver.com/qseo/
황순원 사이버 문학관 http://www.soonone.com/main/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shequeen?Redirect=Log&logNo=70009095737
황순원 문학연구, 장현숙, 푸른사상, 2005
중학독서평설125, 지학사, 2004, 5
黃順元全集, 黃順元, 文學과 知性社, 2000
3. ‘카인’
‘카인의 후예’는 소설의 주제를 강하게 암시하는 제목이다. 카인은 하나님이 창조한 최초의 인간인 아담과 이브의 두 아들 중 맏이이다. 그리고 아우인 아벨을 죽임으로써 인류 역사상 최초의 살인을 저지른 인물이다. ‘카인의 후예’란 최초의 살인자이며 형제를 질투하고 증오한 카인의 피를 받은 후손이라는 뜻이다. 박훈의 고향 마을 사람들은 낯선 이념의 도입으로 인해 질투하고 증오하고 살인을 저지르게된다. 그것은 형제와 다름없는 한 마을 사람들 사이에 일어난 범죄이다. 그러나 이러한 범죄는 박훈의 고향 마을에 국한되지 않는다. 삼팔선 이북 지역 전체에서 일어난 일이며, 나아가 삼팔선을 사이에 두고 대치한 우리 민족 안에서 빚어진 질투, 증오, 살인인 것이다. 결국 ‘카인’은 광복과 좌우익의 싸움, 토지개혁의 상황이 만들어낸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 민족 안에서 빚어진 이런 비극과 범죄는 카인과 아벨, 아담과 이브에게로 소급되어 인류의 원죄와 연결된다. 그런 의미에서 『카인의 후예』는 해방 직후 평안도의 한 시골 마을에서 벌어진 사건을 인류의 원죄까지 연결시키고, 또 거꾸로 인류의 원죄라는 거대한 주제를 평안도 시골 마을의 조그만 사건으로 상징화시킨 작품인 것이다.
3. 개성적인 인물
이 작품에 빛을 더해 주는 것은 등장인물의 성격묘사이다. 『카인의 후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뚜렷한 개성을 지녔다. 주인공 격인 박훈은 전형적인 지식인의 한 유형이다. 대지주의 아들이지만 가난한 시골 사람들을 위해 야학을 개설하고, 정직하고 검소한 생활을 한다. 그러나 자신이 사랑하는 오작녀와 한 지붕 밑에서 3년을 함께 지냈으면서도 속마음을 고백하지 못하고 우유부단함 속에 갇혀 지낸다.
또 한 사람의 주인공 격인 오작녀는 사랑하는 박훈에게는 온순하고 헌신적이면서 박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모든 위험에 용감하게 맞서는 당찬 여인이 된다.
오작녀의 아버지 도섭 영감은 냉혈한 기회주의자이다. 박훈네 집 토지를 관리하는 마름일 때는 소작인에게는 냉혹하면서도 지주에게는 충성스럽더니, 해방이 되고 세상이 뒤집어져 지주가 괄시받고 매도되는 상황이 되자 주저없이 공산당에 붙어 과거의 주인인 박훈을 앞장서서 비난하고 매도한다.
한편, 오작녀의 남편은 건달이면서도 나름대로 멋과 의리를 지닌 사내다.
박훈의 삼촌 박용제는 토지를 몰수당하고 끌려가 광산에서 막노동을 하다가 탈출해 고향으로 돌아온다. 자신이 주도해 건설하다가 끝을 맺지 못한 상태로 있는 저수지를 못 잊어서였다. 어떤 사업을 일으키면 그것에 빠져들고야 마는 뛰어난 장인 같은 인물이다.
박훈의 사촌인 혁은 울분을 참지 못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적극적 성격의 인물이다.
그 밖에 고전적 도리의 인물 당손이 할아버지, 이중 성격의 기회주의자 흥수, 말 없이 단순하고 힘센 곰 같은 청년 삼득이, 전형적인 공산당 조직의 하수인인 공작원 등 수 많은 등장인물의 다양한 성격을 뚜렷하게 색색으로 구별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 소설이 마치 정말로 일어났던 일을 기록한 듯 실감 나는 것은 등장 인물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각기 맡은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5. 결론
작가 황순원이 끊임없이 역사와 현실을 응시하면서 이들을 그의 작품 속에 내면화시키려고 노력하였음을 증명한다. 황순원은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와 시대 속에서 갈등하였으며 이 갈등이 구체화된 것이 변별성을 가진 그의 작품 군이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황순원 문학은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생명주의, 인도주의, 자유주의, 영원주의를 지향하고 있으며, 형이상학적 요소를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황순원은 일제하라는 암울한 시대상황 속에서도 모국어를 갈고 닦으며 잃어가는 한국적 이미지와 전통문학과의 접맥을 통하여 한국의 얼을 고양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그 문학적 소산으로 단편집『늪』과 『기러기』를 들 수 있다.
특히 황순원이 농민의 문제와 인류의 보편적 문제라 할 수 있는 가난의 양상을 작품 속에서 내면화시키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점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인간구원으로서의 사랑이 개체적 개인적 사랑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공동운명체적 사랑과 인류애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황순원 문학의 포괄성과 보편성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황순원의 문학은 일부에서 비판하듯이 역사와 현실로부터 유리된 문학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의 제반 모순과 부조리를 직시하고 인식하면서 부정적인 현실을 극복하려는 작가의 능동적 의지의 소산이었던 것이다.
참고자료
황순원의 단편소설 1 -해방전의 작품을 중심으로-
http://myhome.naver.com/qseo/
황순원 사이버 문학관 http://www.soonone.com/main/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shequeen?Redirect=Log&logNo=70009095737
황순원 문학연구, 장현숙, 푸른사상, 2005
중학독서평설125, 지학사, 2004, 5
黃順元全集, 黃順元, 文學과 知性社, 2000
추천자료
현대소설론
(한국현대소설작가론) 김영하론
[현대소설]마르셀 프루스트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작품 분석 및 비평
현대소설작가 서영은에 대해서
현대소설작가 최인훈론
현대소설작가 박완서에 대해서
[현대소설론] '통도사 가는 길' 비평
[현대소설]헤밍웨이의 `살인자들` 서사구조 분석
2010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한국 현대소설의 이해와 역사
[현대소설감상] 김유정-만무방
2014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현대소설 작가연구] 기억에 의존하는 (체험의 형상화를 지향하는) 작가 김소진
[현대소설론 공통] 다음 작품 중 두 편을 선택하여 읽고, 작품에 드러난 아버지상과 이를 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