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0장 의학용어와 질병분류
1. 의학용어
2. 질병분류체계
(1) 질병분류의 목적
(2) 질병분류체계의 발전과정
3. 한국표준질병분류
4. 수술, 검사 및 처치 분류체계
5. CODING
6. Diagnosis Related Groups(DRG)
1. 의학용어
2. 질병분류체계
(1) 질병분류의 목적
(2) 질병분류체계의 발전과정
3. 한국표준질병분류
4. 수술, 검사 및 처치 분류체계
5. CODING
6. Diagnosis Related Groups(DRG)
본문내용
자가간 마찰 갈등요인의 해소 목적
2) DRG 실시의 기대효과
① 환자의 입장 : 실질적인 보험급여범위의 학대와 비급여범위의 축소로 환자본인부담금이 행위별수가 제보다 경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② 요양기관의 입장 : 진료의 자율성이 보장되고 진료비 청구업무가 간소화되어 행정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수가계산 방식이 간편화되고, 단순화되어 진료비에 대한 환자와의 마 찰을 줄일 수 있다.
③ 보험자의 입장 : 수가기준 관리가 쉬워지고, 불필요한 행위 및 약제 재료사용이 감소되어 재정보험 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3) 관련법령
4) DRG 대상 질환군
DRG 대상 7개 질환군은 질환군별로 주진단명, 연령, 기타 진단의 중증도 등에 따라 통 51개의 DRG로 구분
5) 우리나가 DRG 분류체계
외과적 질병군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6) DRG 환자 구분
입원환자의 입원일수와 진료비에 따라 구분
① 정상군 : 입원가간과 행위별 총진료비가 정상인 환자
② 하단 열외군 : 입원일수가 정상군의 하한 입원일수보다 짧은 자로서 입원기간이 상대적으로 짧 은 환자
③ 상단 열외군 : 입원일수가 정상군의 상한 입원일수보다 긴 자로서 입원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환자
④ 진료비 열외군 : 정상군 및 상 하단 열외군 진료비 산정 원칙에 따른 보험자부담과 본인부담 진료비보다 총 진료비가 일정금액을 초과한 환자
7)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DRG 지불제도 실시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를 예방하고 나아가요양기관의 질향상 활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즉 의료의 질 평가를 실시
2) DRG 실시의 기대효과
① 환자의 입장 : 실질적인 보험급여범위의 학대와 비급여범위의 축소로 환자본인부담금이 행위별수가 제보다 경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② 요양기관의 입장 : 진료의 자율성이 보장되고 진료비 청구업무가 간소화되어 행정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수가계산 방식이 간편화되고, 단순화되어 진료비에 대한 환자와의 마 찰을 줄일 수 있다.
③ 보험자의 입장 : 수가기준 관리가 쉬워지고, 불필요한 행위 및 약제 재료사용이 감소되어 재정보험 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3) 관련법령
4) DRG 대상 질환군
DRG 대상 7개 질환군은 질환군별로 주진단명, 연령, 기타 진단의 중증도 등에 따라 통 51개의 DRG로 구분
5) 우리나가 DRG 분류체계
외과적 질병군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6) DRG 환자 구분
입원환자의 입원일수와 진료비에 따라 구분
① 정상군 : 입원가간과 행위별 총진료비가 정상인 환자
② 하단 열외군 : 입원일수가 정상군의 하한 입원일수보다 짧은 자로서 입원기간이 상대적으로 짧 은 환자
③ 상단 열외군 : 입원일수가 정상군의 상한 입원일수보다 긴 자로서 입원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환자
④ 진료비 열외군 : 정상군 및 상 하단 열외군 진료비 산정 원칙에 따른 보험자부담과 본인부담 진료비보다 총 진료비가 일정금액을 초과한 환자
7)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DRG 지불제도 실시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를 예방하고 나아가요양기관의 질향상 활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즉 의료의 질 평가를 실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