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의 목적과 동기
Ⅱ 문헌고찰
#1 폐암
#2 당뇨
Ⅲ 간호력
Ⅳ 진단검사
ⅤMedication
Ⅵ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Ⅱ 문헌고찰
#1 폐암
#2 당뇨
Ⅲ 간호력
Ⅳ 진단검사
ⅤMedication
Ⅵ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12일 설사 1번으로 줄고
3/13일은 약간 묽은 변이지만 심한 설사는 멈추었다.
# 방어능력 저하(Altered Protection)
♠ 사정
O.D : 활동이 줄고 계속 누워계심
3/12일 검사명 : CBC& Diff(11-15, 19, 21, 22)
WBC
1.30
X10E3/ul
▼
4-10
RBC
3.14
"
▼
4.2~6.3
HB
9.4
g/dl
▼
12~17
PLT
29
X 10E3/ul
▼
130~140
1. 백혈구의 주요 기능은 감염에 대항하고 이물질이나 조직에 대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백혈구
수의 감소는 여러 가지 형태의 골수부전(항암요법이나 방사선요법 후, 골수 침윤성 질환, 심한 감
염, 식이결핍, 그리고 자가면역 질환)에서 발생하며, 신체를 방어하는 능력이 저하됨을 알수 있다.
2. 적혈수 수치가 정상 수치보다 10%이상 감소될 때 빈혈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3. HB(hemoglobin ; 혈색소) 수치의 감소는 빈혈을 나타낸다.
4. PLT(혈소판 수치)가 매우 낮음 (29000으로 측정됨) 낮은 PLT는 출혈경향을 높이고 지혈, 응고시
간을 지연시킨다.
♠ 진단 : 낮은 혈액 수치로 인한 신체 방어능력 저하
♠ 목표
- 출혈과 감염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 계획
1. 감염 가능성을 줄이도록 한다. (백혈수 수치 저하로 감염위험 높음)
- 무균술을 적용한다. (수액주입시 마스크와 장갑 착용)
- 환자에게 마스크를 쓰도록 교육한다.
2. 출혈가능성을 줄이도록 한다. (PLT수치 저하로 혈액응고 어려움)
- 양치 금지 (가글로 구강세척하도록 함)
3. 활동을 제한한다.
- 너무 많이 활동하지 않도록 침상안정을 유도한다.
4. 수혈로 수치를 높인다. (낮은 백혈구와 혈소판 수치는 출혈과 감염에 노출되기 쉽다)
절차, 투여될 혈액물, 투여시간 등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5. V/S 측정한다. (수혈에 적합한 상태인지 관찰하기 위함. 체온이 높으면 수혈을 연기한다.)
6. 수혈중, V/S체크하고 수혈 후 변화되는 몸상태에 대해 사정한다.
(급성 수혈반응으로 알레르기, 오한, 홍조, 불안, 구토, 설사 등의 여러 반응이 있다.)
♠ 수행
1. 양치를 금지시키고 액체로 가글하여 구강세척 하도록 하였다.
2. 활동이 많을 경우 쓰러지거나 무리가 될 수 있으므로 침상안정 하도록 하였다.
3. 환자에게 마스크 착용하도록 하고 수액주입시 무균술에 의거하여 장갑착용, 마스크 착용후 시행
하며 수액의 기타 주입구에 소독된 거즈로 밀봉한다.
4. 수혈을 준비한다.
수혈전 V/S를 측정 (120/80 - 76 - 20 - 36.6)
환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수혈전 혈액형을 다시 환자에게 물어보고 대조하여 정확한 적합성을 확
인한 후 주입한다.(환자 자신이 알고있는 혈액형을 다르게 알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다시한번 수
혈전 혈액형을 확인하는 것이다.)
5. 혈액이 들어갈 때 불편감이 없는지 확인한다.
6. 수혈 전부터 15분마다 V/S을 측정한다. (급성 반응은 수혈을 하는 동안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1차(수혈직전) : 120/80 - 76 - 20 - 36.6
2차(수혈 15분 후) : 120/80 - 70 - 20 - 36.8
3차(수혈 30분 후) : 120/80 - 68 - 20 - 36.8
4차(수혈 1시간 후) : 130/90 - 68 - 20 - 36.6
7. 몸이 가렵거나 특별한 느낌이 없는지 수시로 V/S와 함께 사정한다.
8. 수혈 후에도 외출을 삼가고 침상 안정을 돕는다.
♠ 평가
3/15일 검사명 : 응급 CBC(11-15, 19, 21, 22)
WBC
3.18
X10E3/ul
▼
4-10
RBC
4.09
"
4.2~6.3
HB
12.0
g/dl
12~17
PLT
71
X 10E3/ul
▼
130~140
아직 전체적으로 혈구수치가 높지는 않으나 많이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비효율적 가족기능 (Altered Family Process)
♠ 사정
S.D : “원래는 집에서 있다가 항암주사 맞을때만 병원에서 있고 그랬지만 이제는 가족도 없고.
작년엔 마누라도 죽고.... 마누라 있을땐 귀찮다 싫다 그랬는데 막상 없으니.. 나혼자 집에있
으면 누가 밥을 챙겨주나 뭘하나.. 자식들이라도 잘 살면 어떻게 같이 지내기라도 할텐데
자식이라고 다들 형편도 자기들 살기도 힘들어.....”
O.D : 아들 친구가 빌려준 집에서 살고 계시며 아내가 죽고 홀로 chemo치료후 집으로 가는 것이
더 두렵고 외롭다고 말씀하심.
♠ 진단 : 외로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기능
♠ 목표 : 현재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긍정적으로 자가간호 할 수 있도록 한다.
♠ 계획
1. 필요에 따라 타기관 연결을 돕는다.
2. 감정을 이해하고 진심으로 위로한다.
3. 자신의 건강과 생명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 한다.
♠ 수행
1. 환자의 부탁에 따라 복지관 등록을 위한 서류를 준비하여 병원 우편서비스를 이용하여
보내드렸다.
2. 깊은 감정의 속내를 들어주고 이해한다 표현하며 위로한다.
3. 가족에게 솔직한 감정표현을 하도록 용기를 준다.
♠ 평가
- 필요시 간호사에게 도움을 청하고 같은 처지의 다른 환자와 교류하며 안정적으로 지냄
- 현실을 인정하고 퇴원후 스스로 해야할 일에 대해 계획을 세움.
Ⅶ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이영진 외 [최신 실전 임상가이드] 도서출판 한국의학 1998년 p611~616
Sinma Theta tau Lambda 편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7 p1055~1066
홍근표 외 [암간호 원리와 실제] 수문사 1997년 p85~10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1994년 p208~222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p44~47, p234~500
김선화 외 [진단검사 가이드북] 정담미디어
[2005 Drug Formulary 의약품집] 단국대학교병원
http://plaza.snu.ac.kr/~snucrc/lung.htm [폐암이란]
http://www.nursediary.net [널스다이어리 자료실 참고]
http://www.nurscape.net [널스케이프 자료실 참고]
3/13일은 약간 묽은 변이지만 심한 설사는 멈추었다.
# 방어능력 저하(Altered Protection)
♠ 사정
O.D : 활동이 줄고 계속 누워계심
3/12일 검사명 : CBC& Diff(11-15, 19, 21, 22)
WBC
1.30
X10E3/ul
▼
4-10
RBC
3.14
"
▼
4.2~6.3
HB
9.4
g/dl
▼
12~17
PLT
29
X 10E3/ul
▼
130~140
1. 백혈구의 주요 기능은 감염에 대항하고 이물질이나 조직에 대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백혈구
수의 감소는 여러 가지 형태의 골수부전(항암요법이나 방사선요법 후, 골수 침윤성 질환, 심한 감
염, 식이결핍, 그리고 자가면역 질환)에서 발생하며, 신체를 방어하는 능력이 저하됨을 알수 있다.
2. 적혈수 수치가 정상 수치보다 10%이상 감소될 때 빈혈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3. HB(hemoglobin ; 혈색소) 수치의 감소는 빈혈을 나타낸다.
4. PLT(혈소판 수치)가 매우 낮음 (29000으로 측정됨) 낮은 PLT는 출혈경향을 높이고 지혈, 응고시
간을 지연시킨다.
♠ 진단 : 낮은 혈액 수치로 인한 신체 방어능력 저하
♠ 목표
- 출혈과 감염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 계획
1. 감염 가능성을 줄이도록 한다. (백혈수 수치 저하로 감염위험 높음)
- 무균술을 적용한다. (수액주입시 마스크와 장갑 착용)
- 환자에게 마스크를 쓰도록 교육한다.
2. 출혈가능성을 줄이도록 한다. (PLT수치 저하로 혈액응고 어려움)
- 양치 금지 (가글로 구강세척하도록 함)
3. 활동을 제한한다.
- 너무 많이 활동하지 않도록 침상안정을 유도한다.
4. 수혈로 수치를 높인다. (낮은 백혈구와 혈소판 수치는 출혈과 감염에 노출되기 쉽다)
절차, 투여될 혈액물, 투여시간 등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5. V/S 측정한다. (수혈에 적합한 상태인지 관찰하기 위함. 체온이 높으면 수혈을 연기한다.)
6. 수혈중, V/S체크하고 수혈 후 변화되는 몸상태에 대해 사정한다.
(급성 수혈반응으로 알레르기, 오한, 홍조, 불안, 구토, 설사 등의 여러 반응이 있다.)
♠ 수행
1. 양치를 금지시키고 액체로 가글하여 구강세척 하도록 하였다.
2. 활동이 많을 경우 쓰러지거나 무리가 될 수 있으므로 침상안정 하도록 하였다.
3. 환자에게 마스크 착용하도록 하고 수액주입시 무균술에 의거하여 장갑착용, 마스크 착용후 시행
하며 수액의 기타 주입구에 소독된 거즈로 밀봉한다.
4. 수혈을 준비한다.
수혈전 V/S를 측정 (120/80 - 76 - 20 - 36.6)
환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수혈전 혈액형을 다시 환자에게 물어보고 대조하여 정확한 적합성을 확
인한 후 주입한다.(환자 자신이 알고있는 혈액형을 다르게 알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다시한번 수
혈전 혈액형을 확인하는 것이다.)
5. 혈액이 들어갈 때 불편감이 없는지 확인한다.
6. 수혈 전부터 15분마다 V/S을 측정한다. (급성 반응은 수혈을 하는 동안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1차(수혈직전) : 120/80 - 76 - 20 - 36.6
2차(수혈 15분 후) : 120/80 - 70 - 20 - 36.8
3차(수혈 30분 후) : 120/80 - 68 - 20 - 36.8
4차(수혈 1시간 후) : 130/90 - 68 - 20 - 36.6
7. 몸이 가렵거나 특별한 느낌이 없는지 수시로 V/S와 함께 사정한다.
8. 수혈 후에도 외출을 삼가고 침상 안정을 돕는다.
♠ 평가
3/15일 검사명 : 응급 CBC(11-15, 19, 21, 22)
WBC
3.18
X10E3/ul
▼
4-10
RBC
4.09
"
4.2~6.3
HB
12.0
g/dl
12~17
PLT
71
X 10E3/ul
▼
130~140
아직 전체적으로 혈구수치가 높지는 않으나 많이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비효율적 가족기능 (Altered Family Process)
♠ 사정
S.D : “원래는 집에서 있다가 항암주사 맞을때만 병원에서 있고 그랬지만 이제는 가족도 없고.
작년엔 마누라도 죽고.... 마누라 있을땐 귀찮다 싫다 그랬는데 막상 없으니.. 나혼자 집에있
으면 누가 밥을 챙겨주나 뭘하나.. 자식들이라도 잘 살면 어떻게 같이 지내기라도 할텐데
자식이라고 다들 형편도 자기들 살기도 힘들어.....”
O.D : 아들 친구가 빌려준 집에서 살고 계시며 아내가 죽고 홀로 chemo치료후 집으로 가는 것이
더 두렵고 외롭다고 말씀하심.
♠ 진단 : 외로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기능
♠ 목표 : 현재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긍정적으로 자가간호 할 수 있도록 한다.
♠ 계획
1. 필요에 따라 타기관 연결을 돕는다.
2. 감정을 이해하고 진심으로 위로한다.
3. 자신의 건강과 생명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 한다.
♠ 수행
1. 환자의 부탁에 따라 복지관 등록을 위한 서류를 준비하여 병원 우편서비스를 이용하여
보내드렸다.
2. 깊은 감정의 속내를 들어주고 이해한다 표현하며 위로한다.
3. 가족에게 솔직한 감정표현을 하도록 용기를 준다.
♠ 평가
- 필요시 간호사에게 도움을 청하고 같은 처지의 다른 환자와 교류하며 안정적으로 지냄
- 현실을 인정하고 퇴원후 스스로 해야할 일에 대해 계획을 세움.
Ⅶ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이영진 외 [최신 실전 임상가이드] 도서출판 한국의학 1998년 p611~616
Sinma Theta tau Lambda 편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7 p1055~1066
홍근표 외 [암간호 원리와 실제] 수문사 1997년 p85~10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1994년 p208~222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p44~47, p234~500
김선화 외 [진단검사 가이드북] 정담미디어
[2005 Drug Formulary 의약품집] 단국대학교병원
http://plaza.snu.ac.kr/~snucrc/lung.htm [폐암이란]
http://www.nursediary.net [널스다이어리 자료실 참고]
http://www.nurscape.net [널스케이프 자료실 참고]
추천자료
CRF 환자 투석 간호과정
신생아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과정
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과정
췌장손상 환자 간호과정
고혈압의 형태와 원인 증상 및 진단과 관리와 환자교육 및 간호과정
혈전성정맥염과 심부정맥혈전증의 형태와 원인 증상 및 진단과 관리와 환자교육 및 간호과정...
간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기초간호과학공통]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4가지형태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재활간호][실어증환자][관절염환자][뇌졸중환자][유방암]재활간호의 배경, 재활간호의 과정,...
91세 골절환자 낙상위험성 간호과정
수술 환자 간호과정 (수술 후, post OP) (통증, 감염위험성)
기초간호과학]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 종양의 병기 TNM분류방법 혈액응...
기초간호과학>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영향과 전신영향 종양의 병기 악성종양 TNM분류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