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술전간호
2. 수술후간호
2. 수술후간호
본문내용
도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분비물이나 점액을 배출하기 쉽게 해준다.
바. 배뇨상태
유치도뇨관의 연결부위와 배액여부 그리고 튜브가 꼬이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배액백은 방광아래에 놓이도록 한다. 소변의 색깔과 양 및 농도를 사정한다. 소변배설량이 30ml/hr이상이며 정상 신장 관류를 나타낸다.
유치도뇨가 없는경우는 빠른 배뇨를 권장하여 마취로 부터의 회복을 확인한다.
사. 배액상태
수술부위로부터 장액성, 혈성 분비물이나 화농성 분비물의 체류로 안한 수술 창상의 감염예방, 그리고 공기나 사강을 제거하기 위해 배액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모든 배액관은 꼬이지 않도록 하고, 배약량, 색깔, 냄새 등의 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아. 수액 및 수혈 공급 상태
정맥선의 개존 여부와 처방된 수액의 종류와 주입속도, 주사부위의 침윤 상태를 사정한다. 환자가 수혈중이라면 주입속도와 수혈로 인한 부작용을 사정하고 혈액형도 확인한다.
차. 수술부위 드레싱 관찰
환의 및 드레싱을 관찰하여 젖어있는지 그리고 색깔과 양, 냄새, 특성을 사정한다. 드레싱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분비물이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아래로 손을 넣어 출혈유무를 관찰한다. 봉합의 파열이나 혈관의 불안정한 결찰은 출혈의 원인이 된다.
카. 조기이상(early ambulation)
계속적인 부동자세는 폐렴과 무기폐 등의 호흡기계 질병이 올 수 있고 혈전정맥염, 소변정체등의 합병증이 올 수 있으므로 마취에서 깨어나면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 사지운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체위는 2시간마다 변경해야 하며, 체위변경을 함으로써 양쪽 폐의 상부가 최대한 확장된다.
바. 배뇨상태
유치도뇨관의 연결부위와 배액여부 그리고 튜브가 꼬이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배액백은 방광아래에 놓이도록 한다. 소변의 색깔과 양 및 농도를 사정한다. 소변배설량이 30ml/hr이상이며 정상 신장 관류를 나타낸다.
유치도뇨가 없는경우는 빠른 배뇨를 권장하여 마취로 부터의 회복을 확인한다.
사. 배액상태
수술부위로부터 장액성, 혈성 분비물이나 화농성 분비물의 체류로 안한 수술 창상의 감염예방, 그리고 공기나 사강을 제거하기 위해 배액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모든 배액관은 꼬이지 않도록 하고, 배약량, 색깔, 냄새 등의 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아. 수액 및 수혈 공급 상태
정맥선의 개존 여부와 처방된 수액의 종류와 주입속도, 주사부위의 침윤 상태를 사정한다. 환자가 수혈중이라면 주입속도와 수혈로 인한 부작용을 사정하고 혈액형도 확인한다.
차. 수술부위 드레싱 관찰
환의 및 드레싱을 관찰하여 젖어있는지 그리고 색깔과 양, 냄새, 특성을 사정한다. 드레싱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분비물이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아래로 손을 넣어 출혈유무를 관찰한다. 봉합의 파열이나 혈관의 불안정한 결찰은 출혈의 원인이 된다.
카. 조기이상(early ambulation)
계속적인 부동자세는 폐렴과 무기폐 등의 호흡기계 질병이 올 수 있고 혈전정맥염, 소변정체등의 합병증이 올 수 있으므로 마취에서 깨어나면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 사지운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체위는 2시간마다 변경해야 하며, 체위변경을 함으로써 양쪽 폐의 상부가 최대한 확장된다.
추천자료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기본간호학 - 수술
수술 중 간호
병원식이 / 유방암/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간호 및 주의사항 / 수술 후 I/O check하는 이유
[간호학]수술실 실습-담낭수술
[성인간호학] 외과적수술과 회장루술을 시행한 김씨에게 수행해야 할 간호 사정 - 장루 사정 ...
봉합사 및 봉합침의 종류 및 사용방법 - 간호실습 (성인간호학, 수술실)
가족출산계획,생식기계수술에 대한 문제 - 10장 가족의 출산계획 & 23장 생식기계 수술 ...
암환자간호(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암환자응급상황)
성인간호학 케이스 수술실케이스 복강경을 이용한 충수절제술 A+++ case study
암의 치료와 간호, 수술, 방사선 요법 A+( 1. 암치료의 목적 2. 수술요법 3. 방사선요법 4. ...
[간호학] 난청 및 귀 수술 대상자 간호
[간호학] 두부수술 종류 및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