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존주의 (perennialism)
2. 이상주의 (idealism)
3. 사실주의 (realism)
4. 실험주의 (experimentalism)
5. 실존주의 (existentialism)
2. 이상주의 (idealism)
3. 사실주의 (realism)
4. 실험주의 (experimentalism)
5. 실존주의 (existentialism)
본문내용
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영적인 존재이며 불멸의 성격을지닌다. 이상주의에서 개인을 보편적인 존재의 한 부분으로 본다. 개인은 타인의 마음과 관계를 맺으면서 보편적인 마음에 도달한다고 생각한다.
이상주의의 형이상학에 기초하여 학교교육을 통하여 강조해야할 주요점
- 우주는 영적이며 정신적인 것이고, 비 물질적인 궁극적 실체이다.
- 정신적인 실체들은 개별적인 것이다.
- 우주는 총화를 이룬 단일한 존재이며 낱낱의 개체들은 완전한 실재 세계의 부분들이다.
2) 이상주의의 인식론과 교육
이상주의에셔 절대 정신은 영원하며 소우주인 인간은 절대 정신적인 존재로서 영적인 존재로 취급니다. 앎의 과정은 이미 개인의 마음에 가지고 있었던 것을 회상시키거나 재생시키는 일로 인식된다. 이상주의의 기본 논리로서 형이상학을 강조하며 인식 과정이란 부분과 전체를 관계지우는 일이 된다. 이상주의의 진리 형성의 원리는 일관성이 있고 체계적이며 질서 정연한 관계성이 있어야 한다. 논리의 정합성이 중요하다. 교육의 주된 목적은 학습자가 절대 정신과 대우주를 완전히 인식하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학습과정은 포괄적인 안목과 통찰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학습자의 정신적인 인식 수준을 높여서 학습자의 자아가 우주나 절대 정신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상주의자는 여러 과목이 체계적으로 상호 연관성을 지닐 수 있도록 조직된 교과중심 교육과정을 주장한다. 개념적 체제와 상호관계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3) 이상주의의 가치론
이들의 가치는 실재하며 그것은 본질적으로 우주의 구조 속에 내재하고 있다 . 가치 경험은 본질적으로 절대 정신이 반영되어 있는 절대선의 모방이다. 가치는 절재적이고 불변하며 영원하고 보편적이다. 진, 선, 미 자체가 우주적 구조 속에 속한다.
5. 이상주의의 교육 원리
1) 교육 목적
- 교수- 학습 과정은 학생이 자신에 내재되어 있는 고유한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사회가관으로서 학교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문화 유산이 갖고 있는 지혜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서 나누어 갖고 그것을 확대 보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학교와 교육과정
기본적으로 개념화하고 관념화한 지식위주의 교육 과목이나 학습 내용이 된다. 위계적이며 가장 잘 통합을 이룬 고도의 일반화된 과목으로 귀착된다.
3) 교육방법과 교사
- 프뢰벨(유치원 창시자) : 학습자 자신의 활동(selr-activity)- 학습자의 흥미 중시,
-소크라테스 대화법: 단순 암기보다 사고 촉진.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있는 공동의 관심거리
4)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교사 중심, 교사는 문화적 전망을 가지고 있어야함 , 여러가지 가치체계를 통합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함, 학습자 능력 최대한 발휘하도록 최대한 지원해야함, 교사의 위치 중요시 여김
5) 교사상
- 학생에게 문화와 실재 세계를 구현
- 인간 특성에 대하여 전문적이어야 함
- 학습과정에서 숙달된 전문가로서 전문적인 의견을 종합할 수 있어야 함
- 학생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해야함
- 완전한 인간성을 달성하기 위한 도덕성을 보여야 함
- 각 세대가 문화적으로 재 탄생할 수 있도록 헌신해야 함
- 전문가, 온화한 인품, 예술적이면서 과학적이어야 함
6. 종합( 교육적 시사)
1) 교육은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이끌어내서 계발하는 과정이다.
2) 학습은 자신의 마음속에 현재하고 있는 진리를 회상시킬 수 있도록 독려하는 탐구과정이다.
3) 교사는 도덕적 , 문화적으로 한 전형이 되어야하며 , 인간 성장과 발전의 모범적인 가치체계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출처 : 교육의 역사와 철학 -- 동문사, 박의수 외 3인
인간은 본질적으로 영적인 존재이며 불멸의 성격을지닌다. 이상주의에서 개인을 보편적인 존재의 한 부분으로 본다. 개인은 타인의 마음과 관계를 맺으면서 보편적인 마음에 도달한다고 생각한다.
이상주의의 형이상학에 기초하여 학교교육을 통하여 강조해야할 주요점
- 우주는 영적이며 정신적인 것이고, 비 물질적인 궁극적 실체이다.
- 정신적인 실체들은 개별적인 것이다.
- 우주는 총화를 이룬 단일한 존재이며 낱낱의 개체들은 완전한 실재 세계의 부분들이다.
2) 이상주의의 인식론과 교육
이상주의에셔 절대 정신은 영원하며 소우주인 인간은 절대 정신적인 존재로서 영적인 존재로 취급니다. 앎의 과정은 이미 개인의 마음에 가지고 있었던 것을 회상시키거나 재생시키는 일로 인식된다. 이상주의의 기본 논리로서 형이상학을 강조하며 인식 과정이란 부분과 전체를 관계지우는 일이 된다. 이상주의의 진리 형성의 원리는 일관성이 있고 체계적이며 질서 정연한 관계성이 있어야 한다. 논리의 정합성이 중요하다. 교육의 주된 목적은 학습자가 절대 정신과 대우주를 완전히 인식하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학습과정은 포괄적인 안목과 통찰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학습자의 정신적인 인식 수준을 높여서 학습자의 자아가 우주나 절대 정신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상주의자는 여러 과목이 체계적으로 상호 연관성을 지닐 수 있도록 조직된 교과중심 교육과정을 주장한다. 개념적 체제와 상호관계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3) 이상주의의 가치론
이들의 가치는 실재하며 그것은 본질적으로 우주의 구조 속에 내재하고 있다 . 가치 경험은 본질적으로 절대 정신이 반영되어 있는 절대선의 모방이다. 가치는 절재적이고 불변하며 영원하고 보편적이다. 진, 선, 미 자체가 우주적 구조 속에 속한다.
5. 이상주의의 교육 원리
1) 교육 목적
- 교수- 학습 과정은 학생이 자신에 내재되어 있는 고유한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사회가관으로서 학교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문화 유산이 갖고 있는 지혜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서 나누어 갖고 그것을 확대 보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학교와 교육과정
기본적으로 개념화하고 관념화한 지식위주의 교육 과목이나 학습 내용이 된다. 위계적이며 가장 잘 통합을 이룬 고도의 일반화된 과목으로 귀착된다.
3) 교육방법과 교사
- 프뢰벨(유치원 창시자) : 학습자 자신의 활동(selr-activity)- 학습자의 흥미 중시,
-소크라테스 대화법: 단순 암기보다 사고 촉진.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있는 공동의 관심거리
4)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교사 중심, 교사는 문화적 전망을 가지고 있어야함 , 여러가지 가치체계를 통합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함, 학습자 능력 최대한 발휘하도록 최대한 지원해야함, 교사의 위치 중요시 여김
5) 교사상
- 학생에게 문화와 실재 세계를 구현
- 인간 특성에 대하여 전문적이어야 함
- 학습과정에서 숙달된 전문가로서 전문적인 의견을 종합할 수 있어야 함
- 학생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해야함
- 완전한 인간성을 달성하기 위한 도덕성을 보여야 함
- 각 세대가 문화적으로 재 탄생할 수 있도록 헌신해야 함
- 전문가, 온화한 인품, 예술적이면서 과학적이어야 함
6. 종합( 교육적 시사)
1) 교육은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이끌어내서 계발하는 과정이다.
2) 학습은 자신의 마음속에 현재하고 있는 진리를 회상시킬 수 있도록 독려하는 탐구과정이다.
3) 교사는 도덕적 , 문화적으로 한 전형이 되어야하며 , 인간 성장과 발전의 모범적인 가치체계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출처 : 교육의 역사와 철학 -- 동문사, 박의수 외 3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