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L-tube insertion
1. 삽입 목적
2. 준비물품
3. 방법
4. 합병증을 위한 사정
1). 체액결핍
2). 폐 합병증
3). 관과 관련된 자극
4). 관의 제거
Ⅱ. L-tube irrigation
1. 목 적
2. 적응증
3. 세척방법
4. 합병증
Ⅲ. L-tube feeding
1. 목적
2. L-tube feeding 시 간호
Ⅳ. L-tube drainage
1. 삽입 목적
2. 준비물품
3. 방법
4. 합병증을 위한 사정
1). 체액결핍
2). 폐 합병증
3). 관과 관련된 자극
4). 관의 제거
Ⅱ. L-tube irrigation
1. 목 적
2. 적응증
3. 세척방법
4. 합병증
Ⅲ. L-tube feeding
1. 목적
2. L-tube feeding 시 간호
Ⅳ. L-tube drainage
본문내용
을 준비해서 대상자에게 간다.
2). 대상자에게 위관영양에 대한 절차를 설명한다.
3). 환자의 상태가 허락하면 45°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하고, 보릿차물(15~30cc)→처방난 용액→보릿차물(30~60cc)의 순으로 공급한다. 공급 후 30분~1시간은 같은 자세를 취해준다.
- 주입 전 residual volume을 체크해서 성인인 경우 125cc 이상이 나오거나, 소아인 경우 주입한 양의 1/2이상이 나오면 의사에게 알려 계속 주입 여부를 확인한다.
4). 손을 씻는다.
5). 위관의 위치를 확인한다.
-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해 본다.
이론적 근거 : 초록색이거나 노란색 분비액이 나와야 한다.
- pH테스트 종이에 위 내용물을 떨어뜨려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위액은 pH가 1~4이고 장액은 5~7이며, 늑막액은 7~8이다.
- 대상자의 왼쪽 상복부 사분원에 청진기를 대고 위관을 통해 공기를 10 ~ 20ml 주입하 면서 가글 소리를 들어본다.
이론적 근거 : 식도나 폐로부터 가글음이 들리면 주의하고 튜브가 공장이나 십이지장에 있으면 매우 부드럽게 들린다.
6). 잔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위 내용물을 흡인해 본 후 다시 위로 집어넣는다.
이론적 근거 : 잔유량이 100ml이상이면 의사에게 알린다. 체액과 전해질의 손실을 막기위함이다.
- 구토, 위팽만, 설사 ,오심, fever, 기침, 갈증, 변비 등의 증상이 있을 시에는 의사에게 알린다.
- 구강점막의 건조와 갈라짐을 막기 위해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 위관영양을 위해 장기적으로 관을 삽입하고 있는 경우 2주일마다 교환하도록 한다, 교 환시 삽입 위치를 바꾸어 주도록 한다.
- 삽입되어 있는 피부 주위에 피부 손상이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7). 처방된 유동식을 준비한다.
- 캔으로 된 유동식을 사용 시에는 날짜 확인을 하고 캔의 뚜껑을 딴다.
- 만약 혼합된 유동식을 사용한다면 혼합된 날짜와 시간 등을 정확히 확인한다.
Ⅳ. L-tube drainage
- 배액 시키는 관은 투명한 PVC tube를 사용한다.
- 환자 이동시에는 잠그고 돌아오면 반드시 풀어 준다.
- NPO인 환자에게 약만 투약(NPO except medication)해야 할 경우에는 투약 후 적어도 30분~1시간 정도 retention time을 갖도록 한다.
- 환의나 침상에 고정 시에는 환자의 활동이 제한받지 않도록 여유 있게 고정한다.
2). 대상자에게 위관영양에 대한 절차를 설명한다.
3). 환자의 상태가 허락하면 45°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하고, 보릿차물(15~30cc)→처방난 용액→보릿차물(30~60cc)의 순으로 공급한다. 공급 후 30분~1시간은 같은 자세를 취해준다.
- 주입 전 residual volume을 체크해서 성인인 경우 125cc 이상이 나오거나, 소아인 경우 주입한 양의 1/2이상이 나오면 의사에게 알려 계속 주입 여부를 확인한다.
4). 손을 씻는다.
5). 위관의 위치를 확인한다.
-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해 본다.
이론적 근거 : 초록색이거나 노란색 분비액이 나와야 한다.
- pH테스트 종이에 위 내용물을 떨어뜨려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위액은 pH가 1~4이고 장액은 5~7이며, 늑막액은 7~8이다.
- 대상자의 왼쪽 상복부 사분원에 청진기를 대고 위관을 통해 공기를 10 ~ 20ml 주입하 면서 가글 소리를 들어본다.
이론적 근거 : 식도나 폐로부터 가글음이 들리면 주의하고 튜브가 공장이나 십이지장에 있으면 매우 부드럽게 들린다.
6). 잔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위 내용물을 흡인해 본 후 다시 위로 집어넣는다.
이론적 근거 : 잔유량이 100ml이상이면 의사에게 알린다. 체액과 전해질의 손실을 막기위함이다.
- 구토, 위팽만, 설사 ,오심, fever, 기침, 갈증, 변비 등의 증상이 있을 시에는 의사에게 알린다.
- 구강점막의 건조와 갈라짐을 막기 위해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 위관영양을 위해 장기적으로 관을 삽입하고 있는 경우 2주일마다 교환하도록 한다, 교 환시 삽입 위치를 바꾸어 주도록 한다.
- 삽입되어 있는 피부 주위에 피부 손상이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7). 처방된 유동식을 준비한다.
- 캔으로 된 유동식을 사용 시에는 날짜 확인을 하고 캔의 뚜껑을 딴다.
- 만약 혼합된 유동식을 사용한다면 혼합된 날짜와 시간 등을 정확히 확인한다.
Ⅳ. L-tube drainage
- 배액 시키는 관은 투명한 PVC tube를 사용한다.
- 환자 이동시에는 잠그고 돌아오면 반드시 풀어 준다.
- NPO인 환자에게 약만 투약(NPO except medication)해야 할 경우에는 투약 후 적어도 30분~1시간 정도 retention time을 갖도록 한다.
- 환의나 침상에 고정 시에는 환자의 활동이 제한받지 않도록 여유 있게 고정한다.
추천자료
충수염(appendicitis)에 대하여
흉부좌상 케이스(성인간호)
병원 장비(기구)의종류와 사용방법
구조 계획 및 설계의 기본고려사항에대하여..
응급실 실습과제(간호사 역할, 응급약물, 데일리, 검사기구)
갑상선 위기(thyroid storm) 간호 진단 중재 케이스
중환자실 레포트
CBD STONE
CASE STUDY-NICU Diffuse axonal injury 간호과정
간호 신경외과 case ICH(뇌내출혈)
Organizational Culture - 조직문화,기업의조직문화,강한조직문화,약한조직문화,조직문화의성...
croup (급성 폐쇄성 후두염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소아 case
전남대학교 8A 사전학습 {수술 전후 간호, 수술환자의 pre op. medication 약물의 종류와 사...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실습 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