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actosemia cas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환자상태
3. 검사결과
4. 처방
5. I/O/WT
6. 환자상태변화
7. 간호과정

본문내용

:00 수면, 수유, 울음, 활동 양호
<10.31>
- AM 6:00 수면, 수유, 울음, 활동 양호
photo Tx 중임
- PM 2:00 수면, 수유, 울음, 활동 양호
수유 WM 60cc/회 bottle feeding 중임
Ⅶ. 간호과정
1) 질병과 관련된 설사
의미있는 자료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none
- 갈락토스혈증 검사상 19.0mg/dl→14.3mg/dl
- 기저귀 갈 때 무른 변 관찰
- WM 60cc/회
- 출생시 몸무게 3500g에서 3330g으로 감량됨
Analysis
질병과 관련된 설사
영역
배설
계획 및 수행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설사를 하지 않는다.
<단기적 목표> 대상자는 적절한 수분을 섭취한다.
전해질이 적절한 상태를 유지한다.
1. 환아의 피부탄력상태와 건조함을 자주 사정한다.
⇒ 환아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2. 환아의 전해질 상태를 사정한다.
⇒ 피검사상 Na, K, Cl 수치를 확인함
3. 환아의 I/O를 check 한다.
⇒ 매일 환아의 I/O를 check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4. 환아의 배변양상을 매일 사정한다.
⇒ 10.28 2회 10.29 4회 10.30 2회
기저귀를 갈 때마다 사정하였다.
5. 설사로 인한 피부발진이 있는지 관찰한다.
⇒ 기저귀 갈 때 마다 발진을 확인하였다.
6. 피부발진을 예방하기 위해서 건조함을 유지한다.
⇒ 목욕 후 잘 닦고 습기가 차지 않게 기저귀를 느슨하게 하여 통풍이 잘 되게 하였다.
7. 수분섭취를 늘린다.
8. 부모에게 galactosemia에 맞는 식이를 제공할수 있도록 교육한다.
⇒ galactosemia는 체내에서 유당을 흡수하지 못하고 축적하여 구토, 설사, 성장지연 등이 나타나는 질병으로 두유, 대두분유 같이 유당이 함유되지 않은 식이를 하여야하며 아이가 커서도 우유나 유제품이 포함된 음식은 피할 것을 교육한다.
평가
galactosemia에 대한 검사결과가 나오지 않고 설사도 아주 심한 편이 아나라 whole milk 수유를 하고 있다. 피부 발진은 관찰되지 않았다.
Na는 140.3, K는 5.43으로 약간 높게 나왔고 Cl은 108.9로 정상 수치였다.
2) 설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의미있는 자료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none
- 체중변화 3500g→3330g
- 구토는 잘 보이지 않으나 설사 양상보임
- WM60cc 하고 있음
- 한번에 60cc를 다 먹지 못하고 자주 나눠서 먹고 있음
Analysis
설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영역
영양
계획 및 수행
<장기 목표>대상자는 입원기간 내 체중증가를 보인다.
<단기 목표>대상자는 2주 이내 구토, 설사를 보이지 않는다.
1. 몸무게가 생리적으로 줄어든 것인지 질병때문인지 정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매일 I/O, 체중을 측정한다.
→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초로 하여 수유량을 증가하고 결정하기 때문이다.
2. 구토, 대변양상을 관찰한다.
⇒ 무른 변, 설사를 보임
3. 탈수 증상이 보이는지 관찰한다.
⇒ 피부의 탄력상태는 보통이다.
4. Lab 상 T-protein, albumin, RBC 수치를 사정한다.
⇒ T-protein 5.5(L), albumin 4.3(L), RBC 4.74
5. 하루 정해진 수유량을 지킨다.
⇒ 60cc이상 먹이기 위해 틈틈이 수유를 하였다.
6. 연령에 적절한 발달 중재를 제공한다.
7. 필요시 TPN을 실시한다.
평가
체중이 27g 증가하여 3357g이 되었으나 생리적인 현상인지 질병 때문인지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차후에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구토는 보이지 않았으며 대변양상은 지속적으로 무른 변 양상을 보이고 수유는 대체적으로 양호하게 잘 하고 있다.
날짜
I/O
BW
10.28
240/90
3330g
10.29
450/219
-
10.30
500/265
3357g
T-protein 5.5(L), albumin 4.3(L), RBC 4.74
3) 광선 치료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의미있는 자료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none
T. bilirubin
15.35
0.3-1.3
mg/dl

D. bilirubin
1.58
0.05-0.4
mg/dl

- 입원당시 사정 피부색: pinkish, jaundice
- 10.29부터 photo Tx중임
- photo Tx 하고부터 얼굴이 울긋불긋하게 변함
- 눈에 안대를 하고 있음
Analysis
광선 치료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영역
안전/보호
계획 및 수행
<장기목표> 대상자는 피부 손상이 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눈, 생식기에 광선이 노출되지 않는다.
대상자는 피부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한다.
1.눈의 보호를 위해 안대를 해주며 위치를 확인하며 안대를 붙이기 위해 테이프를 붙여놓은 피부부분과 눈을 자주 점검한다.
⇒ 자주 환아의 안대위치를 확인하고 이틀에 한번 목욕시 안대를 갈아 주며 테이프로 인한 손상은 없었는지 확인하였다.
2.8시간 간격으로 BT를 check 하여 광선요법으로 인한 체온의 상승을 점검한다.
⇒ 8시간 마다 체크한 V/S에서 환아의 BT는 37℃-37.2℃-37.1℃로 유지되었다.
3.환아의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오랜 광선 치료는 피부의 낙설을 유발 할 수 있다.)
⇒ 환아의 피부를 자주 관찰하였다.
4.목욕 후 얼굴과 몸에 보습을 유지하기 위해 로션을 발라준다.
⇒ 목욕 후 엉덩이에 오일을 발라주었다. 기저귀로 가려진 부분만 바르고 광선이 닿는 부분은 피부가 탈수 있으므로 바르지 않도록 했다.
5.한 곳에만 광선이 집중되지 않도록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환아를 뒤집어 놓아 한 곳에 광선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였다.
6.빛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
⇒ 빛과의 거리를 20-30cm로 유지하였다.
평가
안대나 테이프로 인한 피부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환아의 체온은 정상적으로 잘 유지되었다.
4~5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하고 빛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photp기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켜놓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2.19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