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호수요이론과 헥셔오린이론
제 1장. 상호수요이론
1. 밀의 상호수요이론
① 주요 내용
② 가정
③ 양국의 교역
⑤ 최적교역조건
④ 무역이익
⑥ 결론
⑦ 공헌
⑧ 문제점
제2장. 헥셔오린이론
1. 헥셔-오린의 무역모형
1) 기본가정
① 가정 1 : 생산재화 및 생산 요소
② 가정 2 : 생산요소의 부존도
③ 가정 3 : 2국의 요소부존도(상대적인 차이) 다르다
④ 가정 4 : 두 나라에서 두 재화의 요소집약도
⑤ 가정 5 : 각국에서 두 재화의 생산함수
⑥ 가정 6 : 두 나라의 소비자기호 및 선호의 동일(수요조건 동일)
⑦ 가정 7 : 생산요소의 완전고용과 재화시장 및 요소시장의 완전경쟁 가정
⑧ 가정 8 : 재화의 국제적 이동에 따르는 제비용(운송비, 관세 등) 존재하지 않는 다. →국내에서는 완전이동 가능
⑨ 가정 9 : 불완전특화를 가정한다.
2) 헥셔-오린 정리 설명
① A(노동풍부), B국(자본풍부)
a. A국
b. B국
3) 요소부존도와 요소집약도의 차이에 따른 생산가능곡선의 모양
① 각국의 요소부존도의 차이
② 노동이 풍부한 A국
③ 자본이 풍부한 B국
④ 상대적인 요소부존도
d. A국 - 노동(L) 풍부국, B국 자본(K) 풍부국
① 무역이전
② 무역이후(양국의 생산량, 소비량, 무역량의 변동은 ?)
③ 무역이후의 결과
참고자료
제 1장. 상호수요이론
1. 밀의 상호수요이론
① 주요 내용
② 가정
③ 양국의 교역
⑤ 최적교역조건
④ 무역이익
⑥ 결론
⑦ 공헌
⑧ 문제점
제2장. 헥셔오린이론
1. 헥셔-오린의 무역모형
1) 기본가정
① 가정 1 : 생산재화 및 생산 요소
② 가정 2 : 생산요소의 부존도
③ 가정 3 : 2국의 요소부존도(상대적인 차이) 다르다
④ 가정 4 : 두 나라에서 두 재화의 요소집약도
⑤ 가정 5 : 각국에서 두 재화의 생산함수
⑥ 가정 6 : 두 나라의 소비자기호 및 선호의 동일(수요조건 동일)
⑦ 가정 7 : 생산요소의 완전고용과 재화시장 및 요소시장의 완전경쟁 가정
⑧ 가정 8 : 재화의 국제적 이동에 따르는 제비용(운송비, 관세 등) 존재하지 않는 다. →국내에서는 완전이동 가능
⑨ 가정 9 : 불완전특화를 가정한다.
2) 헥셔-오린 정리 설명
① A(노동풍부), B국(자본풍부)
a. A국
b. B국
3) 요소부존도와 요소집약도의 차이에 따른 생산가능곡선의 모양
① 각국의 요소부존도의 차이
② 노동이 풍부한 A국
③ 자본이 풍부한 B국
④ 상대적인 요소부존도
d. A국 - 노동(L) 풍부국, B국 자본(K) 풍부국
① 무역이전
② 무역이후(양국의 생산량, 소비량, 무역량의 변동은 ?)
③ 무역이후의 결과
참고자료
본문내용
자본 1단위와 결합하는 노동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노동의 실질가격(w)이 낮다.→A국 노동의 가격 낮다 →노동집약적 X재 생산비 낮다.
③ 자본이 풍부한 B국
노동 1단위와 결합하는 자본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자본의 실질가격(r)이 낮다.→B국 자본의 가격 낮다 →자본집약적 Y재 생산비 낮다.
④ 상대적인 요소부존도의 차이가 클수록 두 나라의 PPC 모양은 달라진다.
재화간 요소집약도의 차이 →재화간 생산함수 또는 생산방법의 차이를 반영한다.
b. 요소부존도와 재화간 요소집약도의 차이
→국가간 생산가능곡선의 차이(공급조건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기본요인
c. 가정 6(수요조건 동일)에 따라
→양국의 소비자기호 동일 →양국의 무차별곡선 모양 동일
∴ 무역의 발생원인이 되는 재화가격비율의 차이는 PPC의 차이가 결정
d. A국 - 노동(L) 풍부국, B국 자본(K) 풍부국 X재 L집약재, Y재 K집약재
① 무역이전
a. PPC인 AA와 SICⅠ이 접하는 PA1에서(B국의 경우 PB1에서) 생산점과 소비점이 일치 Y재
b. A, B양국의 후생수준은 SICⅠ으로 표시된다.
c. PA1을 지나는 직선(접선)은 A국에서 두 재화의 가격비율(PX/PY)A를 나타내고
PB1을 지나는 직선(접선)은 B국에서 두 재화의 가격비율(PX/PY)B를 나타낸다.
d. 이때 (PX/PY)A < (PX/PY)B 이기 때문에 X재의 상대가격은 A국이 더 낮다
→ A국은 L집약적인 X재에 비교우위, B국은 K집약적인 Y재에 비교우위
② 무역이후(양국의 생산량, 소비량, 무역량의 변동은 ?)
a. 무역이후의 두 재화의 가격비율은 양국에 동일(교류에 의해)하게 되므로, 균형 교역조건(PX/PY)T은 양국에 공통되게 그려진다.
b. 무역이후 A국
X재생산에 비교우위 갖는 A국은 X재생산에 특화 →X재 생산점은 PA1 에서 PA2로 이동하여 X재생산을 증가
c. 무역이후 B국
Y재생산에 비교우위 갖는 B국은 Y재생산에 특화
→Y재 생산점은 PB1 에서 PB2로 이동하여 Y재생산을 증가
d. 균형교역조건을 나타내는 직선은 결국 PA2, PB2 에서 A, B 양국의 PPC곡선이 접하게 된다.
e. (PX/PY)T 선상에서 SIC2와 접점을 이루는 C점에서 양국의 소비점이 결정된다.
* H-O 무역모형의 가정에 의하면, 양국의 수요조건이 동일하고(SIC가 동일), 각국의 국내재화가격비율은 무역을 통하여 일정한 국제재화가격비율(PX/PY)T에 수렴하게 되므로, 양국의 소비점은 C점에서 공통되어 있다.
③ 무역이후의 결과
a. 소비점 C가 SIC1보다 높은 SIC2에 위치하므로 A국과 B국은 무역을 통하여 더 높은 후생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참고자료
1. 고영호『새경제학원론』, 형설출판사, 1998, pp.702-703.
2. 정연중『21세기 경제학원론』, 법문사, 1997. pp.1217-1227.
3. 이남구『세계지역경제』, 무역경영사, 1999, pp.197-259.)
4. 정용균「WTO체제의 출범과 국제무역 질서」, 외국학종합연구센터, 1998.
③ 자본이 풍부한 B국
노동 1단위와 결합하는 자본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자본의 실질가격(r)이 낮다.→B국 자본의 가격 낮다 →자본집약적 Y재 생산비 낮다.
④ 상대적인 요소부존도의 차이가 클수록 두 나라의 PPC 모양은 달라진다.
재화간 요소집약도의 차이 →재화간 생산함수 또는 생산방법의 차이를 반영한다.
b. 요소부존도와 재화간 요소집약도의 차이
→국가간 생산가능곡선의 차이(공급조건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기본요인
c. 가정 6(수요조건 동일)에 따라
→양국의 소비자기호 동일 →양국의 무차별곡선 모양 동일
∴ 무역의 발생원인이 되는 재화가격비율의 차이는 PPC의 차이가 결정
d. A국 - 노동(L) 풍부국, B국 자본(K) 풍부국 X재 L집약재, Y재 K집약재
① 무역이전
a. PPC인 AA와 SICⅠ이 접하는 PA1에서(B국의 경우 PB1에서) 생산점과 소비점이 일치 Y재
b. A, B양국의 후생수준은 SICⅠ으로 표시된다.
c. PA1을 지나는 직선(접선)은 A국에서 두 재화의 가격비율(PX/PY)A를 나타내고
PB1을 지나는 직선(접선)은 B국에서 두 재화의 가격비율(PX/PY)B를 나타낸다.
d. 이때 (PX/PY)A < (PX/PY)B 이기 때문에 X재의 상대가격은 A국이 더 낮다
→ A국은 L집약적인 X재에 비교우위, B국은 K집약적인 Y재에 비교우위
② 무역이후(양국의 생산량, 소비량, 무역량의 변동은 ?)
a. 무역이후의 두 재화의 가격비율은 양국에 동일(교류에 의해)하게 되므로, 균형 교역조건(PX/PY)T은 양국에 공통되게 그려진다.
b. 무역이후 A국
X재생산에 비교우위 갖는 A국은 X재생산에 특화 →X재 생산점은 PA1 에서 PA2로 이동하여 X재생산을 증가
c. 무역이후 B국
Y재생산에 비교우위 갖는 B국은 Y재생산에 특화
→Y재 생산점은 PB1 에서 PB2로 이동하여 Y재생산을 증가
d. 균형교역조건을 나타내는 직선은 결국 PA2, PB2 에서 A, B 양국의 PPC곡선이 접하게 된다.
e. (PX/PY)T 선상에서 SIC2와 접점을 이루는 C점에서 양국의 소비점이 결정된다.
* H-O 무역모형의 가정에 의하면, 양국의 수요조건이 동일하고(SIC가 동일), 각국의 국내재화가격비율은 무역을 통하여 일정한 국제재화가격비율(PX/PY)T에 수렴하게 되므로, 양국의 소비점은 C점에서 공통되어 있다.
③ 무역이후의 결과
a. 소비점 C가 SIC1보다 높은 SIC2에 위치하므로 A국과 B국은 무역을 통하여 더 높은 후생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참고자료
1. 고영호『새경제학원론』, 형설출판사, 1998, pp.702-703.
2. 정연중『21세기 경제학원론』, 법문사, 1997. pp.1217-1227.
3. 이남구『세계지역경제』, 무역경영사, 1999, pp.197-259.)
4. 정용균「WTO체제의 출범과 국제무역 질서」, 외국학종합연구센터,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