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가출청소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가출청소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출청소년의 개념

2. 가출청소년의 유형
1) 가출 횟수에 따른 분류
2) 인원중심에 따른 분류
3) 준비성에 따른 분류
4) 가출 목적에 따른 분류


3. 가출의 동기
1) 개인적 차원
2) 환경적 차원
(1) 가정적 요인
(2) 또래 요인
(3) 학교적 요인 청
(4) 사회적 요인

4. 가출청소년의 실태
1) 청소년가출 발생 현황
2) 청소년의 가출 경험
3) 시설의 현황

5. 가출청소년의 특성과 당면과제
1) 정서적 문제
2) 고용 및 거주문제
3) 교육문제
4) 성문제와 건강문제
5) 비행문제
6) 가정 및 학대문제

6. 청소년 가출의 주요쟁점
1) 가출과 관련된 인권침해(아동학대)
(1) 청소년 가출에 대한 관점
(2) 아동학대의 실태
(3) 아동학대의 사례 및 대처방안
① 국내의 사례
② 외국의 사례
2) 관련 청소년보호법
(1) 청소년보호법의 목적
(2) 청소년보호법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지도
(3) 청소년 보호법의 개선점

7. 가출청소년 복지대책의 향후방향
1) 정책 및 제도적 측면
2) 서비스 체계의 확립
3) 개인적 측면
4) 가족적 측면
5) 교육적 측면
6) 사회적 측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다고 대답하였다. 청소년 보호법이 형사처벌이나 규제로 끝나지 않고 청소년들의 자율을 인정하면서 보호하고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와 가정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학부모와 사회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청소년 관련 담당자들의 실질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④ 청소년 보호법이 규제나 처벌 중심의 소극적인 보호법이 아닌 청소년 발달을 장려하고 청소년들의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보호법이 되어야 한다.
- 업주나 영업 분야의 규제처벌이나 청소년들을 유해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고 금지시키기보다는 청소년들의 활동이나 문화를 활성화하며 대안 문화공간이나 활동들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지원 정책이나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전제로 한다면 청소년 보호법이 더욱 본래의 취지를 살릴 수 있게 될 것이다.
7. 가출청소년 복지대책의 향후방향
1) 정책 및 제도적 측면 : 가출 청소년보호법의 제도화, 위기전화의 개설, 공공직업 소개소의 설치
- 청소년보호법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 가출 청소년보호법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이들이 유해환경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24시간 상담시설,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직업을 마련해 주어야한다. 특히 생존형, 목표달성형 등의 가출을 한 아이들에겐 안정된 직업이 필요하다.
2) 서비스 체계의 확립 : 청소년 쉼터의 활성화, 가출 청소년을 위한 거리활동 봉사자 활용, 사후지도
- 가출 청소년들을 방치한다면 부적절한 숙식과 길거리생활로 심각한 건강문제를 갖게 된다. 가출 청소년들은 남녀동거를 하거나 윤락행위를 하는 경우도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청소년들을 위한 쉼터가 활성화 되어야하며 자원봉사자들의 거리활동, 지도 등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3) 개인적 측면 : 지지적인 상담의 제공, 대처기술의 훈련, 독립된 생활의 준비
- 가출의 충동을 느꼈을 때 자기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도와주며 가출을 했을 때 상담을 통해 개인의 안정을 돕고 삶의 방향을 설정하도록 해준다.
4) 가족적 측면 : 가족 치료, 부모교육, 아동 학대의 예방
- 청소년 가출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은 아동학대이다.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가족전체의 변화와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5) 교육적 측면 : 학교에서의 가출 발생의 사전예방과 사후 조치, 문제 청소년의 처우 개선
- 청소년보호법을 알게 된 경로는 대중매체의 영향력이 컸다. 이에 비해 청소년들과 직접적인 유대관계를 맺고 있는 학교 선생님과 부모님의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직접적인 교육이 실생활에서 이루어진다면 우리 청소년들이 호기심에서 또는 충동적으로 가출하는 비율이 줄어들 것이다.
6) 사회적 측면 : 청소년 전용 이용 시설 확대, 지역사회 활용 방안
-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사회 구성원의 결속과 도덕심이 약화되어 있다. 유흥업소, 숙박업소 등은 청소년 가출의 유인요인이 되며, 또한 가출 후 생활 및 취업 장소로 활용되어 가출을 조장한다.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의 활동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 시급하다.
이제까지 가출청소년과 관련된 문제 전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청소년이 가출을 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가정의 학대와 방임에서 벗어나는 것과 즐거운 유흥을 찾아서 재미없는 일상생활에서 벗어나려는 것이다.
특히 아동학대로 인한 가출은 아동 개인의 심리적 상태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가정적 요인으로 부모의 학대에 의한 청소년의 탈선이다. 이는 아동에 대한 인권침해의 내용으로써 사회 전반적인 책임이 필요하고 이 외에도 앞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여러 원인의 가출청소년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 청소년들의 가출 충동 경험은 매우 높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재 가출률이 높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원조의 대상자로 보는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들을 지원할 근거법을 마련하고 지원을 담당할 주무부서를 설정하여 지원체계를 확립하며, 보호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요청된다. 또한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다양화가 필요하다. 특히 가출청소년을 접촉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들을 찾아가는 현장지원 서비스와 지역사회 자원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가출청소년의 이해, 김향초, 학지사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사업지침』, 1998
-서울YMCA <청소년보호법> 시행 1년 평가 보고서
* 참고싸이트
-http://www.cyberwelfare.or.kr/ind03/indmain03_hos10.htm
-http://childpsy.webpd.co.kr/runaway.htm
-http://www.samsunglife.com/community/teen/runaway_kind.html
-http://maria.peacenet.or.kr/si4.htm
-http://www.oneness.pe.kr/study/soc/청소년보호법.htm
-http://focus.seoul.go.kr/kor2000/administration/clering/welfare/99112601.html
-http://old.youthnet.re.kr/sosik/2000oct/sosik00_10_13.htm
-http://old.youthnet.re.kr/new/m1-3/k1592_01.htm
-http://friend.metro.seoul.kr/7/1/4/20001009/3.html -http://www.koreadrug.org/youthstatistic.htm
-http://www.kjpa.or.kr/sub2/data_room/s_data_room_l_002.html#runaway
-http://shelter.ymca.or.kr/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2.23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