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1차 교육과정 (1954~1965) : 교과중심
▣ 제 2차 교육과정(1963~1969) : 경험중심
▣ 제 2차 교육과정 개정기 (1969~1973)
▣ 제 3차 교육과정(1973~1981) : 사회중심
▣ 제 4차 교육과정(1981~1987) : 학문중심
▣ 제 5차 교육과정(1987~1992) : 행동주의
▣ 제 6차 교육과정(1992~1997) : 인지주의
▣ 제7차교육과정(1997~현재) : 구성주의
▣ 제 2차 교육과정(1963~1969) : 경험중심
▣ 제 2차 교육과정 개정기 (1969~1973)
▣ 제 3차 교육과정(1973~1981) : 사회중심
▣ 제 4차 교육과정(1981~1987) : 학문중심
▣ 제 5차 교육과정(1987~1992) : 행동주의
▣ 제 6차 교육과정(1992~1997) : 인지주의
▣ 제7차교육과정(1997~현재) : 구성주의
본문내용
시간을 확보해서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은 주로 학생 스스로 학습활동을 주도해 나가는 것으로, 주제 탐구학습을 비롯하여 시. 도교육청이나 학교가 자기 주도 학습의 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학습활동을 전개한다. 기타 학교의 창의적인 교육 프로그램에는 특별활동의 보충 심화 활동과 학교, 교사, 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편성 운영 할 수 있다.
④ 질 관리 중심 교육과정 개념 도입
: 국가나 시. 도교육청에서 의도된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계속적으로 평가하는데 주안점을 두게 된다. 교육과정의 개정이 편성 운영상의 문서상 개정에 머물지 않고 교육의 현장에서 구체적이 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실제로 운영되는 모습이나 그 교육과정의 적용 결과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 성취에 대한 평과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질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즉,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인 학생 학력 평가, 학교평가, 교육과정 평가 체제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⑤ 특별활동의 내용 체계를 보완
: 자치활동(협의활동, 역할 분담활동, 민주시민 활동), 적응활동(기본생활 습관 형성 활동, 친교활동, 상담활동, 진로활동, 정체성 확립활동), 계발활동(학술 문예, 보건 체육, 실습노작, 여가 문화, 정보 통신, 청소년 단체 활동), 봉사활동(일손 돕기, 위문 캠페인, 자선 구호, 환경시설 보전 활동), 행사활동(의식행사, 학예행사, 보건 체육행사, 수련활동, 안전 구호, 교류 활동)
3) 문제점 : 수준에 따라 학생을 구분함으로써 수준의 차이를 두어 하위집단이 생겨나게 되고 이런 학생들은 열등감이나 학습의욕 상실 등의 부정적 정서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부모들은 높은 수준의 학생으로 만들기 위해 과외활동을 시키고, 사교육비의 문제를 낳게 되었다. 그리고 학생의 능력, 적성, 흥미를 최대한 고려해야할 수준별 교육과정이 학습, 속도의 차이만 둘뿐 교육내용은 같은 것 이여서 수준별교육의 취지를 제대로 이루어내지 못한 것 같다. 또한 교사들에게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수업의 질이 떨어지게 되었다.
▣ 제 8차 교육과정 : 맞춤교육의 실시, 특별활동 의무기간제 도입, 선택형 교육과정의 확대실시, 과목 유급제 도입, 정보화 교양 과정
④ 질 관리 중심 교육과정 개념 도입
: 국가나 시. 도교육청에서 의도된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계속적으로 평가하는데 주안점을 두게 된다. 교육과정의 개정이 편성 운영상의 문서상 개정에 머물지 않고 교육의 현장에서 구체적이 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실제로 운영되는 모습이나 그 교육과정의 적용 결과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 성취에 대한 평과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질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즉,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인 학생 학력 평가, 학교평가, 교육과정 평가 체제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⑤ 특별활동의 내용 체계를 보완
: 자치활동(협의활동, 역할 분담활동, 민주시민 활동), 적응활동(기본생활 습관 형성 활동, 친교활동, 상담활동, 진로활동, 정체성 확립활동), 계발활동(학술 문예, 보건 체육, 실습노작, 여가 문화, 정보 통신, 청소년 단체 활동), 봉사활동(일손 돕기, 위문 캠페인, 자선 구호, 환경시설 보전 활동), 행사활동(의식행사, 학예행사, 보건 체육행사, 수련활동, 안전 구호, 교류 활동)
3) 문제점 : 수준에 따라 학생을 구분함으로써 수준의 차이를 두어 하위집단이 생겨나게 되고 이런 학생들은 열등감이나 학습의욕 상실 등의 부정적 정서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부모들은 높은 수준의 학생으로 만들기 위해 과외활동을 시키고, 사교육비의 문제를 낳게 되었다. 그리고 학생의 능력, 적성, 흥미를 최대한 고려해야할 수준별 교육과정이 학습, 속도의 차이만 둘뿐 교육내용은 같은 것 이여서 수준별교육의 취지를 제대로 이루어내지 못한 것 같다. 또한 교사들에게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수업의 질이 떨어지게 되었다.
▣ 제 8차 교육과정 : 맞춤교육의 실시, 특별활동 의무기간제 도입, 선택형 교육과정의 확대실시, 과목 유급제 도입, 정보화 교양 과정
추천자료
(문화와교육)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촛불집회와 관련한 인터넷을 통해 사람들이 생...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및 특성과 변천과정요인
제7차교육과정 과학과의 개정중점, 제7차교육과정 과학과의 정보화와 탐구활동, 제7차교육과...
지역화 교육과정(교육과정 지역화)의 의미, 지역화 교육과정(교육과정 지역화)의 내용 원천, ...
우리나라 국가 수준 보육과정인(표준보육과정)의 특성을 설명하고 여섯 개의 영역에서 다루어...
Cross-curricula로서의 환경교육 (메타교육과정으로서의 환경교육)
[교과교육론 C]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 중 우리나라에 기초한 만 5세 단위활동 교육계획안을 ...
2016년 2학기 교과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H형(누리과정 생활주제 "우리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