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유의 역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Ⅱ. 우유의 제조 과정
Ⅲ. 우유의 가열에 의한 성분 변화
1. 피막의 형성
2. 갈색화 반응
3. 가열취
4. 유단백질의 변화
Ⅳ. 우유의 물리적 성질
1. 비중(Specific gravity)
2. 수소이온 농도(Hydrogen ion concentratration, pH)
3. 적정산도(Titratable acidity, TA)
4. 비열(Specific heat)
5. 빙점(Freezing point)
6. 끓는점(Boiling point)
7. 표면장력(Surface tension)
8. Creaming(우유지방의 떠오르는 성질)
9. 점도(Viscosity)
10. 굴절율(Refractive index)
11. 균질화(Homogenization)
Ⅴ. 우유를 마시는 방법
Ⅵ. 우유를 생산하는 젖소의 품종
1. 홀스타인종
2. 저어지종
3. 건지종
4. 에어셔종
5. 브라운 스위스종
6. 유용 쇼트혼종
참고문헌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Ⅱ. 우유의 제조 과정
Ⅲ. 우유의 가열에 의한 성분 변화
1. 피막의 형성
2. 갈색화 반응
3. 가열취
4. 유단백질의 변화
Ⅳ. 우유의 물리적 성질
1. 비중(Specific gravity)
2. 수소이온 농도(Hydrogen ion concentratration, pH)
3. 적정산도(Titratable acidity, TA)
4. 비열(Specific heat)
5. 빙점(Freezing point)
6. 끓는점(Boiling point)
7. 표면장력(Surface tension)
8. Creaming(우유지방의 떠오르는 성질)
9. 점도(Viscosity)
10. 굴절율(Refractive index)
11. 균질화(Homogenization)
Ⅴ. 우유를 마시는 방법
Ⅵ. 우유를 생산하는 젖소의 품종
1. 홀스타인종
2. 저어지종
3. 건지종
4. 에어셔종
5. 브라운 스위스종
6. 유용 쇼트혼종
참고문헌
본문내용
길어 나이가 들어도 왕성한 생산활동을 한다. 연간 산유량은 3,500-4,500kg정도이나 유지율이 5.0-5.5%정도로 높은 편이고 정고형분 함량도 높다. 또한 이 품종이 생산해내는 우유는 지방구의 크기가 커서 버터 및 아이스크림 제조에 적합하다.
3. 건지종
이 품종의 원산지는 영불해협에 있는 건지섬이다. 건지종 역시 Normandy종과 Bretone종으로부터 성립되어 오랫동안 순수번식을 통해 오늘날의 품종이 만들어졌다. 저어지종과 어느 정도 혈연관계가 있어 닮은 점이 많으나 저어지종에 비해 체격이 약간 큰 편이다. 성우평균체중은 암컷이 400-500kg, 수컷이 700-800kg정도이다. 모색은 황갈색 또는 담갈색의 바탕에 백색의 백반이 있으며 특히 안면, 사지, 아랫배, 꼬리끝 등에 백반이 많이 나타난다. 중구와 후구 및 유방이 발달한 편이며 성질은 온순하고 나쁜 기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연간 사유량은 4,000-5,000kg로 저지보다 다소 많은 편이며 유지율은 5%정도 이다. 이 품종이 생산하는 우유는 황색을 띠고 있으며 지방구가 커서 버터와 크림의 제조에 적합하다.
4. 에어셔종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어셔지방이 원산지로 에어셔 지방의 재래종에 저어지, 건지, 유용소트혼종 등 여러 품종의 교잡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모색은 백색 바탕에 적갈색 반문이 있는 것이 보통인데 반문의 색깔과 모양이 다양하다. 가슴이 깊고 넓으며 등선이 바르고 유방의 발달이 좋다. 뿔은 전상방으로 특이하게 자라 있는 것이 이소의 특징이다. 또한 이 품종은 조숙,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소 신경질작이나 체질이 강건하고 기추 풍토에 대한 적응력이 좋아 나쁜 환경에도 잘 견딘다. 성우의 평균체중은 암컷이450-55kg,수컷이 650-750kg정도이고 연간 산유량은 4,500-5,500kg, 우유의 평균 유지방 함량은 4%정도이다.
5. 브라운 스위스종
원산지는 스위스 북동부의 산악지로서 당초에는 유육역용의 겸용목적으로 사육되었으나 현재는 유육 겸용종 또는 육전용종으로만 사육하고 있다. 모색은 은회색에서 흑갈색까지 여러 가지 색의 단식으로 되어 있고 비경주위에 담색의 띠가 있으며, 비경, 혓바닥, 뿔의 끝, 꼬리끝이 흑색이다. 뼈가 굵고 다소 거친 감은 주지만 사지가 강건한 산악우 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유방은 용적이 넓고 형태가 좋다. 성질은 온순하고 조악한 사료와 나쁜 기후조건에 잘 견디며 만숙종이긴 하지만 장수하며 발정 및 수태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우의 평균체중은 암컷이 500-700kg, 수컷이700-1,000kg정도이며 연간 산유량은 4,500-5,500kg, 유지율은 4%정도이다.
6. 유용 쇼트혼종
원산지는 영국 잉글랜드의 Durham 및 Yorkshire주이다. 모색은 백색, 적색 또는 적색반등 다양하다. 체형은 앞가슴이 전방으로 돌출하고 흉심이 깊으며 늑골이 잘 발달되어 있는 등 육용형을 나타내지만 유방 발달이 좋다. 성질은 온순하고 비육성이 좋아 증체율, 육질, 도체율이 높다. 뿔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가 있다. 성우의 평균체중은 암컷이 600-700kg, 수컷이 1,000-1,200kg정도로 큰 편이며 연간산유량은 3,500-4,500kg, 유지율은 3.5-4.5%정도이다.
참고문헌
김영교외 2명(1986), 우유와 유제품의 과학, p 94 - 111
박승용(2003), 우유 생산과 가공, 서울 : 유한문화사
송계원외 1명(1998), 축산가공학, p 22 - 30
우순자(1998), 우유와 유제품의 영양학, 서울 : 효일
위오기, 낙농업의 성공과 실패
진혁석(2006), 아이의 식탁에서 우유를 지켜라, 랜덤하우스중앙
3. 건지종
이 품종의 원산지는 영불해협에 있는 건지섬이다. 건지종 역시 Normandy종과 Bretone종으로부터 성립되어 오랫동안 순수번식을 통해 오늘날의 품종이 만들어졌다. 저어지종과 어느 정도 혈연관계가 있어 닮은 점이 많으나 저어지종에 비해 체격이 약간 큰 편이다. 성우평균체중은 암컷이 400-500kg, 수컷이 700-800kg정도이다. 모색은 황갈색 또는 담갈색의 바탕에 백색의 백반이 있으며 특히 안면, 사지, 아랫배, 꼬리끝 등에 백반이 많이 나타난다. 중구와 후구 및 유방이 발달한 편이며 성질은 온순하고 나쁜 기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연간 사유량은 4,000-5,000kg로 저지보다 다소 많은 편이며 유지율은 5%정도 이다. 이 품종이 생산하는 우유는 황색을 띠고 있으며 지방구가 커서 버터와 크림의 제조에 적합하다.
4. 에어셔종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어셔지방이 원산지로 에어셔 지방의 재래종에 저어지, 건지, 유용소트혼종 등 여러 품종의 교잡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모색은 백색 바탕에 적갈색 반문이 있는 것이 보통인데 반문의 색깔과 모양이 다양하다. 가슴이 깊고 넓으며 등선이 바르고 유방의 발달이 좋다. 뿔은 전상방으로 특이하게 자라 있는 것이 이소의 특징이다. 또한 이 품종은 조숙,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소 신경질작이나 체질이 강건하고 기추 풍토에 대한 적응력이 좋아 나쁜 환경에도 잘 견딘다. 성우의 평균체중은 암컷이450-55kg,수컷이 650-750kg정도이고 연간 산유량은 4,500-5,500kg, 우유의 평균 유지방 함량은 4%정도이다.
5. 브라운 스위스종
원산지는 스위스 북동부의 산악지로서 당초에는 유육역용의 겸용목적으로 사육되었으나 현재는 유육 겸용종 또는 육전용종으로만 사육하고 있다. 모색은 은회색에서 흑갈색까지 여러 가지 색의 단식으로 되어 있고 비경주위에 담색의 띠가 있으며, 비경, 혓바닥, 뿔의 끝, 꼬리끝이 흑색이다. 뼈가 굵고 다소 거친 감은 주지만 사지가 강건한 산악우 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유방은 용적이 넓고 형태가 좋다. 성질은 온순하고 조악한 사료와 나쁜 기후조건에 잘 견디며 만숙종이긴 하지만 장수하며 발정 및 수태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우의 평균체중은 암컷이 500-700kg, 수컷이700-1,000kg정도이며 연간 산유량은 4,500-5,500kg, 유지율은 4%정도이다.
6. 유용 쇼트혼종
원산지는 영국 잉글랜드의 Durham 및 Yorkshire주이다. 모색은 백색, 적색 또는 적색반등 다양하다. 체형은 앞가슴이 전방으로 돌출하고 흉심이 깊으며 늑골이 잘 발달되어 있는 등 육용형을 나타내지만 유방 발달이 좋다. 성질은 온순하고 비육성이 좋아 증체율, 육질, 도체율이 높다. 뿔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가 있다. 성우의 평균체중은 암컷이 600-700kg, 수컷이 1,000-1,200kg정도로 큰 편이며 연간산유량은 3,500-4,500kg, 유지율은 3.5-4.5%정도이다.
참고문헌
김영교외 2명(1986), 우유와 유제품의 과학, p 94 - 111
박승용(2003), 우유 생산과 가공, 서울 : 유한문화사
송계원외 1명(1998), 축산가공학, p 22 - 30
우순자(1998), 우유와 유제품의 영양학, 서울 : 효일
위오기, 낙농업의 성공과 실패
진혁석(2006), 아이의 식탁에서 우유를 지켜라, 랜덤하우스중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