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amp 정류회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전압이 걸렸다.
(2) 다음의 그림 11.2의 회로를 구성하라. V3는 VSIN을 이용하고 크기는 1V, 주파수는 1kHz로 하라. 3ms동안의 Time Domain Analysis를 수행하여 V3와 D1다이오드 2번 핀 및 D2다이오드 2번 핀의 출력을 비교하라. R2를 2k옴으로 바꾸고 반복하라.
1kΩ
2kΩ
⇒ 시뮬레이션 1과 극성이 반대일 때 출력이 나타나는 것이 차이점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D1 다이오드는 약 0.6V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저항을 2kΩ 으로 했을 경우, 전압 이득이 2배 증폭되면서 반전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회로에서 저항의 역할은 기존의 증폭기 본연의 역할인 이득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다음의 그림 11.3의 회로를 구성하라. V3는 VSIN을 이용하고 크기는 1V, 주파수는 1kHz로 하라. 3ms동안의 Time domain analysis를 수행하여 V3와 U1B의 출력을 비교하라. R3를 0옴으로 바꾸고 반복하라.
1kΩ
0Ω
⇒ 입력 신호에 정현파를 가해준 결과, 양의 값, 음의 값 상관없이 증폭기의 출력 전압은 모두 양의 값으로 나온다. 다이오드 D1 이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되면, D2 가 역방향으로 바이어스 되고, D1 가 역방향이면 D2 가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전압 이득이 2배임을 알 수 있고, 저항을 0kΩ 으로 했을 경우, 전압 이득이 그대로 1배임을 알 수 있다.
(4) 다음의 그림 11.4의 회로를 입력하라. V3는 VSIN을 이용하고 크기는 1V, 주파수는 1kHz로 하라. 10ms 동안의 Time Domain Analysis를 수행하여 V3와 U1B의 출력을 비교하라. C1을 0.1nF로 바꾸고 반복하라.
0.1uF
0.1nF
⇒ 정현파의 입력 신호를 인가한 결과, 처음 양의 값에서 피크 값까지는 출력 전압도 따서 증가하였고, 피크 점을 지난 후부터는 계속 피크 값으로 일정한 전압 값이 나왔다. 커패시터의 용량을 0.1nF 으로 했을 때는 피크 점을 지난 후부터 전압이 조금씩 감소하다가 입력 전압의 값이 더 클 때, 다시 따라서 증가하는 것이 반복적으로 일어났다.
3. 분석 및 토의
먼저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의용전자1시간에서 배웠던 다이오드와 정류기를 OP AMP와 연결하여 응용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로 보았을 때는 의용전자1에서 배운 내용과 의용전자2에서 배운내용을 접목하여 진도가 아직 나가진 않은 부분이지만 그래도 전에 했던 실험보다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왜 다이오드 이름 앞에 슈퍼를 붙이는지 슈퍼다이오드의 역할을 통해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슈퍼다이오드를 이용한 회로는 입력전압이 음일때는 출력전압이 0으로 나왔고, 양일때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이 똑같이 나왔다. 이번 시뮬레이션을 통해 슈퍼다이오드의 역할을 정확하게 깨달았고, 다이오드를 사용하면서 계측하게 될 경우 단점인 0.7v 전압강하 현상을 슈퍼다이오드를 통해 극복할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2.26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