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이승만의 갈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과 이승만의 갈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미국의 한국에 대해 취했던 태도와 미국의 입장
1)한국에 대한 기본적 생각과 태도
-한국에 대한 선입견과 태도
2)한국에게 기대한 것
3)미국의 입장
4)시간에 따른 미국의 입장의 변화
-미군정초기의 미국의 입장
-트루먼 독트린과 그에 따른 미국의 입장

2.미국의 국무성 그리고 미군정과 이승만
1)미국과 이승만
-해방전의 둘의 대립
-신탁통치에 대한 서로의 입장차이
2)미군정과 이승만-하지와 이승만
-미군정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하지가 이승만에게 걸었던 기대
-이승만의 정읍발언
-이승만과 하지의 치열한 대립
-트루먼 독트린과 회복불능의 하지와 이승만의 관계

3.평가
1)미국
2)이승만

본문내용

지중장은 좌익에 호의를 가지고 있으며, 남조선 미군정당국은 조선공산당의 건성과 강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왔다고 주장했다. 사실 이승만은 중도파든 무엇이든 회색분자나 적색을 띄는 사람들은 모두 공산당으로 여겼으니 중도파를 지지하던 하지가 공산당을 지지한다고 보일 만도 하다.
여기서 잠깐 이승만이 왜 공산당을 배척했는지 이유를 살펴보자면, 이승만은 모든 나라의 공산당은 독자적인 주체성이 없는 소련의 도구로 보았고, 공산당의 목적은 수단을 가리지 않고 정권을 장악하거나 혁명을 일으키는데 있다고 보았고 또한 그들은 정권을 장악할 때까지 군중에게 선동과 교란작전을 계속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그들과 협력하기는 불가능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하여튼 이둘은 서로를 비방하면서 점점 갈등은 심해지기만 했다.
-트루먼 독트린과 회복불능의 하지와 이승만의 관계
이승만은 1947년 3월 12일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면서 자신의 단독정부수립 정책이 지지를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이승만은 트루먼 대통령한테 "당신은 자유를 사랑하는 전세계의 모든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안겨주었다","남한의 군정당국이 트루먼의 정책을 따르도록, 그리고 민족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 사이의 연합과 협력을 추구하는 남한 군정당국이 그 노력을 포기하는 지시"를 내려줄 것을 요청하고, 또한 자신의 과도적 독립정부를 다시한번 강조하는 편지를 보냈다. 물론 이승만을 싫어하는 미국은 답장도 보내지 않았지만은...사실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된 후 미국의 육군성의 미군철수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신탁통치를 거의 포기했으나 표면적으로는 예전과 같이 신탁통치를 주장했고 한국정책에 있어서도 달라진 것은 없었다.
그리고 미국이 초기에 추구했던 방향대로 1947년 5월 21일부터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를 시작하였다. 때문에 한국에 돌아와서 미국의 달라진 입장을 말하며 미군정과 합세해야 될것이라는 이승만의 연설은 거짓말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그래서인지 미소공동회가 다시 시작되고 이승만은 반탁운동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재개하고 하지와 군정당국을 더욱더 비난했다.
이가운데 우익이 주도하는 총파업이 6월 20일과 7월1일로 예고가 되어있었다. 그런데 6월28일에 하지가 이승만한테 경고를 주려고 편지를 보냈다. 그 편지의 내용은 이승만의 정치조직 내부에서 미소공동위원회에 반대한 테러와 한국경제의 교란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과, 정치적 암살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에 대해서 이승만은 하지의 말들이 터무니없는 소리라고 하며, 죄없는 자신에게 의심한 사실에 대하여 처벌을 받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이 이후에 이승만은 언론을 통하여 하지와의 결별을 공식적으로 말할 뿐만아니라 하지를 제거 하겠다라는 자신의 의사를 사석이든 공석이든 말하였다.
결국 이러한 오해속에서 두사람의 관계는 회복불능의 상대가 되어버렸다.
3.평가
1)미국
한국에 들어올 때..한국점령을 위한 국무성이나 육군성의 준비나 훈련계획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해방직후 미국의 남한의 혼란스러운 정치적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하지가 남한 지역 미군정의 최고 책임자로 임명된 것도 실로 우연한 일이었다.그들이 임명된 이유는 일본 본토를 공격하기 위하여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있었던 그의 제23군단이 현실적으로 가장 빨리 한국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지리적 위치 떠문이었다.
그리고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그러했듯이 한국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던 하지로서는 고도의 정치력이 요구되는 남한 점령과 통치임무는 그의 능력의 한계를 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미국의 준비되지 않은 태도는 앞으로의 한국과의 관계에서 악영향을 낳게되었다고 볼수 있다.
또한 미국은 한국의 문제에 대해서 관심이 없었을 뿐만아니라 신탁통치라는 막연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구체적이지 못한 것은 한국 사람들에게 혼란을 낳았을 뿐만아니라, 한국과 미국간의 갈등의 근본 원인이 된다.
미국은 좀더 한국에 대해서 구체적인 계획과 분석이 필요했다고 생각한다.
2)이승만
이승만, 이 글을 쓰면서 느낀 것은 확신할 수는 없지만 이승만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게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였는지 단순한 우연인지 알 수 없지만 6.25나 일본이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예상한 것을 보았을 때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승만은 너무 딱딱한 반공주의자였었다.
때문에 그는 우리나라의 입장을 난처하게 만든 것이 한둘이 아니다.
예를 들자면 얄타회담이 있었을 때 이승만이 미국정부에 얄타회담에 반대하는 전단을 만들었다. 그 전단에는 을사조약에서 미국이 한 배반과 임시정부를 부인하는 미국의 근시안적인 정책을 공격하면서 얄타회담에 대하여 "미국사람들이 이 일을 저지하지 못하면 미국의 헝년들은 또 다시 15년 후에 3차 대전을 싸워야 할 것이다"라는 등의 말들이 있었다.
이는 앞으로 임시정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왜냐하면 이 전단이 소련에게도 넘어갔던 것이었다.
소련은 이승만이 사실도 아닌 사실에 대해서 자신들을 공격한 것에 대하여 반감을 느꼈다.
사실 얄타회담에서는 한국에 관해서는 아무런 협약을 한것도 없었다.
때문에 이 일이 있은 후 임시정부에 호의적이던 소련은 임시정부를 멀리하게 되었고 소련은 이승만과 임시정부를 적대적인 단체로 규정하였다.
이는 해방후 미소공동회에서도 소련의 입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여튼 이러한 이승만의 착각들과 독선들은 우리나라에 적잖은 영향을 주었다.
<출처>
-미국의 배반, 로빈슨(Richard D. ㄲobinson), 역:정미옥, 과학과 사상
-한국미군정사, 라우터백(Richard E. Lauterbach), 역:국제신문사출판부, 돌베개
: 제6장 한국인은 한국을 통치할수 있느냐?
-李承晩 泌錄, 로버트 T. 올리버, 한국 문화 출판사
:3장 실망가 불화의 대립
:6장 국제연합의 수상한 움직임
-이슴만 연구,편자:유영익,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승만과 하지-견원의 동반자,차상철
:해방전후의 이승만과 미국,이정식
-http://neo.urimodu.com/bbs/zboard.php?id=club_history&no=3214
:1. 점령의 배경과 미군정의 국가적 성격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2.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