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리바이어던』의 인간관과 국가관의 현대적 재조명
Ⅰ서론
Ⅱ본론
1.홉스에 대한 비판적 견해
(1)성악설
(2)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과 평화
(3)절대군주론
2. 홉스의 인간관과 국가관
(1)사회계약론 - 평화
(2)교회와 국가의 관계
Ⅲ결론
※참고자료
Ⅰ서론
Ⅱ본론
1.홉스에 대한 비판적 견해
(1)성악설
(2)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과 평화
(3)절대군주론
2. 홉스의 인간관과 국가관
(1)사회계약론 - 평화
(2)교회와 국가의 관계
Ⅲ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불행한 상태에 빠졌으며, 사악한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다시 참된 인간의 모습(자연)을 발견하여 인간을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였다.(“자연으로 돌아가라”) 이와 같이 루소는 인간의 본성을 선(善)하다고 보며, 자연 상태에 있는 인간의 특성에 대한 홉스의 견해와 반대의 시각을 보인다. 홉스의 개인주의적인 인간관은 모든 경우에 해당되지는 않으며, 각박한 현대사회에는 도덕적 선(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러므로 일본에서 철로에 떨어진 취객을 구하려다 숨진 이수현씨와 같은 의인(義人)에게서 보여지 듯 인간에게는 동양윤리의 ‘측은지심(惻隱之心: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맹자)’, ‘인(仁:인간이 본래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공자)’ 과 같은 마음도 지니고 있다는 인간에 대한 긍정적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자료
김용환『리바이어던-국가라는 이름의 괴물』,살림, 2005.
한자경「홉스-이기적 욕망 주체로서의 자아」,『자아의 연구』, 서광사, 1997.
나종석「홉스의 사회계약론의 의미와 한계」, 헤겔연구16호, 한국헤겔학회, 2004.
김용환「홉스의 힘의 정치철학 : 폭력과 통제」,한국동서철학회 논문집,
『동서철학연구』제29호,2003.
그러므로 일본에서 철로에 떨어진 취객을 구하려다 숨진 이수현씨와 같은 의인(義人)에게서 보여지 듯 인간에게는 동양윤리의 ‘측은지심(惻隱之心: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맹자)’, ‘인(仁:인간이 본래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공자)’ 과 같은 마음도 지니고 있다는 인간에 대한 긍정적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자료
김용환『리바이어던-국가라는 이름의 괴물』,살림, 2005.
한자경「홉스-이기적 욕망 주체로서의 자아」,『자아의 연구』, 서광사, 1997.
나종석「홉스의 사회계약론의 의미와 한계」, 헤겔연구16호, 한국헤겔학회, 2004.
김용환「홉스의 힘의 정치철학 : 폭력과 통제」,한국동서철학회 논문집,
『동서철학연구』제29호,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