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9. 10대 미혼모와 지리적 함의
10. 사망력과 지리적 함의
11. HIV/AIDS 와 지리적 함의
12. 인구이동의 유형과 전통 이론
13. 이주민과 모국과의 경제네트워크
10. 사망력과 지리적 함의
11. HIV/AIDS 와 지리적 함의
12. 인구이동의 유형과 전통 이론
13. 이주민과 모국과의 경제네트워크
본문내용
형성이 된 것은 미국 실리콘밸리로 이주한 인도계의 엔지니어들 간에 긴밀한 네트워크가 형성되면서 이러한 것들이 다시 인도에 있는 Bangalore 파크와 연계가 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인도계의 엔지니어들의 역할이 컸다.
이스라엘: 실리콘와디
c성장과 현황
○실리콘와디의 개요
-하이테크 산업의 세계적인 중심지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이스라엘은 실리콘와디(Silicon Wadi)로 불리고 있는데, 실리콘와디는 넓게는 이스라엘 전체를 의미하며, 좁게는 예루살렘·텔아비브·하이파 등 주요 도시로 둘러싸인 삼각지역을 말함 이스라엘의 전체면적은 22,000㎢로서 우리나라 면적의 22% 정도이며, 광주 · 전남 · 전북지역을 합친 것 보다 조금 넓다. Wadi는 아랍, 북아프리카의 계곡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Tel-Avive시의 남쪽 20Km 지점에 위치한 Kiryat Weizmann Science Park과 Herzliya Industrial Zone, 북부 Haifa시의 Matam R&D Park은 비교적 잘 알려진 과학기술 집적지이다.
-한편 Haifa와 Tel-Avive는 모두 산업과 금융이 발달한 대도시로 주변의 넓은 지역에 많은 기업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 지역은 예루살렘까지 뻗쳐있음
-이와 같이 Haifa, Tel-Avive, 예루살렘 등 3개의 도시를 잇는 삼각지대가 바로 이스라엘의 하이테크 테크노폴리스(High-Tech Techpolis)인 실리콘와디임
-이스라엘은 사실상 국토 전역이 IT산업의 중심지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만큼 전국적으로 벤처기업의 활동과 유수한 외국기업의 지사 설립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음
-그 중에서도 실리콘와디 지역에 위치한 대학·연구기관 등에서 파생된 벤처기업만 1,800개 이상을 헤아림
이스라엘 실리콘와디 위치도
c실리콘밸리내 이스라엘계 네트워크 현황
○①이스라엘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강점을 유지하고 있음
-유태인들은 실리콘밸리에서 활동중인 외국계 기술인력 중에서도 고급인력으로 뛰어난 활약을 보이고 있음
-특히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인도계 인력이 수적으로는 월등히 많으나 비교적 단순 프로그래머의 비율이 높은 반면, 유태인들은 소프트웨어 분야 중에서도 고급 핵심공정을 담당하는 개발인력으로 활약하고 있음
→ 실리콘밸리 내에 유태계인들이 가지고 있는 함의가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유대인들은 민족적인 정책성에 비춰봤을 때 응집력이 상당히 강하다. 그래서 유태인들 간의 네트워크는 다른 타국가들 보다 훨씬 더 강한 네트워크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문화적으로 응집력이 강한 유태인들은 실리콘밸리에서도 유력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적인 유대관계를 통해 정보의 교환은 물론 현지에 진출한 모국기업에 여러모로 도움을 주고 있음
다시 말해서 실리콘와디에 본사를 두고 있는 유태계 기업들이 미국 실리콘 밸리로 진출했을 때 기존의 실리콘 밸리에서 일하고 있는 유태계미국인들이 이러한 유태계 모국의 기업들에게 많은 지원을 함으로서 실리콘와디와 실리콘밸리 간에 유대관계가 만들어지고 네트워크가 형성이 된다.
-유태계 미국인들이 이스라엘 기업에 미치는 우호적인 영향력은 매우 큼
-막강한 자금력을 지닌 유태인 자본가들은 미국 현지의 유태계 기업에 투자하는 한편, 모국 지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여 이스라엘의 기업활동에 투자를 아끼지 않아 사실상 이스라엘 경제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음
즉, 유태계미국인들이 우리는 미국사람이라서 유태인, 이스라엘을 견제하고 상관없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문화적인 정체성으로 인해서 이들이 비록 비국인이지만 이스라엘의 본사를 둔 기업들과 아주 긴밀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보다 경제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음으로서 이스라엘이 경제발전을 하는데 있어서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것이 바로 이스라엘의 실리콘와디와 실리콘밸리가 강한 유대관계, 강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배경이 된다.
○②미국 국적의 유태계 기업들은 이스라엘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여 모국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있음
-그 대표적인 예로 CDMA기술로 잘 알려진 Qualcomm社는 이스라엘 Haifa시에 첨단기술 개발 본부인 오메가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이스라엘의 주요한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저마다 실리콘밸리에 지사를 설립하여 사업의 높은 비중을 미국에 두고 있는 것도 미국에서 활약하는 유태인들이 많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음
○③유태인 이민사회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새로운 이민자를 위한 정착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음
-Santa Clara County의 \"유태인 가족 서비스(Jewish Family Service)\"라는 단체는 1990년부터 약 6,000여명의 러시아계 유태인 이민자들의 정착을 도움
-이 단체는 IBM, HP, Adobe 등 지역의 유수 기업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민자들의 구직을 도와주고 있음
이러한 지원을 통해서 실리콘밸리와 유태계인들과 많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이것이 이스라엘의 실리콘와디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이렇게 지원단체의 헌신적 도움을 받아 성공한 이민자들은 다시 이민사회를 위해 봉사함으로써 전체 이민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
선순환적인 이민사회를 형성함으로서, 실리콘밸리와 모국인 실리콘와디와의 긴밀한 경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서 이스라엘 경제발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만의 신죽단지 그리고 이스라엘의 실리콘와디 그리고 인도의 Banglore 소프트웨어 파크와 실리콘밸리의 네트워크는 이주민들의 역할에 의해서 형성이 되고 더 나아가서는 각 해당 국가들의 경제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가져왔다. 이렇게 국제이동을 통해서 나타나는 그러한 모국의 경제공간구조의 변화의 함의는 이러한 이주민과 모국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한다.
※ 이주민과 모국과의 네트워크를 보는데 있어서 중국을 사례로 해서 비디오 시청
<신경 써서 봐야 하는 부분>
화교계와 중국경제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것 →
이스라엘: 실리콘와디
c성장과 현황
○실리콘와디의 개요
-하이테크 산업의 세계적인 중심지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이스라엘은 실리콘와디(Silicon Wadi)로 불리고 있는데, 실리콘와디는 넓게는 이스라엘 전체를 의미하며, 좁게는 예루살렘·텔아비브·하이파 등 주요 도시로 둘러싸인 삼각지역을 말함 이스라엘의 전체면적은 22,000㎢로서 우리나라 면적의 22% 정도이며, 광주 · 전남 · 전북지역을 합친 것 보다 조금 넓다. Wadi는 아랍, 북아프리카의 계곡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Tel-Avive시의 남쪽 20Km 지점에 위치한 Kiryat Weizmann Science Park과 Herzliya Industrial Zone, 북부 Haifa시의 Matam R&D Park은 비교적 잘 알려진 과학기술 집적지이다.
-한편 Haifa와 Tel-Avive는 모두 산업과 금융이 발달한 대도시로 주변의 넓은 지역에 많은 기업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 지역은 예루살렘까지 뻗쳐있음
-이와 같이 Haifa, Tel-Avive, 예루살렘 등 3개의 도시를 잇는 삼각지대가 바로 이스라엘의 하이테크 테크노폴리스(High-Tech Techpolis)인 실리콘와디임
-이스라엘은 사실상 국토 전역이 IT산업의 중심지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만큼 전국적으로 벤처기업의 활동과 유수한 외국기업의 지사 설립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음
-그 중에서도 실리콘와디 지역에 위치한 대학·연구기관 등에서 파생된 벤처기업만 1,800개 이상을 헤아림
이스라엘 실리콘와디 위치도
c실리콘밸리내 이스라엘계 네트워크 현황
○①이스라엘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강점을 유지하고 있음
-유태인들은 실리콘밸리에서 활동중인 외국계 기술인력 중에서도 고급인력으로 뛰어난 활약을 보이고 있음
-특히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인도계 인력이 수적으로는 월등히 많으나 비교적 단순 프로그래머의 비율이 높은 반면, 유태인들은 소프트웨어 분야 중에서도 고급 핵심공정을 담당하는 개발인력으로 활약하고 있음
→ 실리콘밸리 내에 유태계인들이 가지고 있는 함의가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유대인들은 민족적인 정책성에 비춰봤을 때 응집력이 상당히 강하다. 그래서 유태인들 간의 네트워크는 다른 타국가들 보다 훨씬 더 강한 네트워크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문화적으로 응집력이 강한 유태인들은 실리콘밸리에서도 유력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적인 유대관계를 통해 정보의 교환은 물론 현지에 진출한 모국기업에 여러모로 도움을 주고 있음
다시 말해서 실리콘와디에 본사를 두고 있는 유태계 기업들이 미국 실리콘 밸리로 진출했을 때 기존의 실리콘 밸리에서 일하고 있는 유태계미국인들이 이러한 유태계 모국의 기업들에게 많은 지원을 함으로서 실리콘와디와 실리콘밸리 간에 유대관계가 만들어지고 네트워크가 형성이 된다.
-유태계 미국인들이 이스라엘 기업에 미치는 우호적인 영향력은 매우 큼
-막강한 자금력을 지닌 유태인 자본가들은 미국 현지의 유태계 기업에 투자하는 한편, 모국 지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여 이스라엘의 기업활동에 투자를 아끼지 않아 사실상 이스라엘 경제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음
즉, 유태계미국인들이 우리는 미국사람이라서 유태인, 이스라엘을 견제하고 상관없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문화적인 정체성으로 인해서 이들이 비록 비국인이지만 이스라엘의 본사를 둔 기업들과 아주 긴밀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보다 경제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음으로서 이스라엘이 경제발전을 하는데 있어서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것이 바로 이스라엘의 실리콘와디와 실리콘밸리가 강한 유대관계, 강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배경이 된다.
○②미국 국적의 유태계 기업들은 이스라엘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여 모국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있음
-그 대표적인 예로 CDMA기술로 잘 알려진 Qualcomm社는 이스라엘 Haifa시에 첨단기술 개발 본부인 오메가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이스라엘의 주요한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저마다 실리콘밸리에 지사를 설립하여 사업의 높은 비중을 미국에 두고 있는 것도 미국에서 활약하는 유태인들이 많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음
○③유태인 이민사회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새로운 이민자를 위한 정착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음
-Santa Clara County의 \"유태인 가족 서비스(Jewish Family Service)\"라는 단체는 1990년부터 약 6,000여명의 러시아계 유태인 이민자들의 정착을 도움
-이 단체는 IBM, HP, Adobe 등 지역의 유수 기업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민자들의 구직을 도와주고 있음
이러한 지원을 통해서 실리콘밸리와 유태계인들과 많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이것이 이스라엘의 실리콘와디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이렇게 지원단체의 헌신적 도움을 받아 성공한 이민자들은 다시 이민사회를 위해 봉사함으로써 전체 이민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
선순환적인 이민사회를 형성함으로서, 실리콘밸리와 모국인 실리콘와디와의 긴밀한 경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서 이스라엘 경제발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만의 신죽단지 그리고 이스라엘의 실리콘와디 그리고 인도의 Banglore 소프트웨어 파크와 실리콘밸리의 네트워크는 이주민들의 역할에 의해서 형성이 되고 더 나아가서는 각 해당 국가들의 경제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가져왔다. 이렇게 국제이동을 통해서 나타나는 그러한 모국의 경제공간구조의 변화의 함의는 이러한 이주민과 모국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한다.
※ 이주민과 모국과의 네트워크를 보는데 있어서 중국을 사례로 해서 비디오 시청
<신경 써서 봐야 하는 부분>
화교계와 중국경제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것 →
추천자료
`SK Telecom`의 중국 진출 사례 (국제경영 이동통신 마케팅전략)
중국의 이동통신
부산광역시와 북제주군 연령별 인구비율과 남녀성비 분석
중국의 이동통신 발전전략
[글로벌네트워크]정보사회에서 정부의 역할
다보스 리포트 - 힘의 이동을 읽고서
힘의이동 '다보스포럼'
거주,이동의 변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의 변화
국내 이동 통신요금 문제점, 독과점 문제, 한국 이동통신 시장, 학자들의 이론, 특징, 현황, ...
[벤처기업 네트워크][벤처기업][네트워크][벤처][기업][벤처기업 네트워크 중요성]벤처기업 ...
IMT-2000(차세대이동통신) 사업자선정의 동향, IMT-2000(차세대이동통신) 사업자선정의 선정...
3세대 이동통신사장에서의 SKT와 KT의 경쟁기업 분석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활성화 방안,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향후 전망
이동통신移動通信산업과 국내시장의 현황,이동통신산업 블랙리스트제도, 블랙리스트제도와 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