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살의 원인과 실태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자살의 원인과 실태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청소년 자살에 관한 이론]
(1) 사회학적 연구
(2) 정신분석학적 연구
(3) 인지 이론 : 절망(hopelessness) 이론
(4) 통합이론 : Baumeister의 자기로부터의 도피로서의 자살

[청소년 자살의 원인]
1.발생요인
1) 심리적 요인
2) 가정환경 및 가족력 요인
3) 친구 요인
4) 학업 및 사회환경적 요인
2.이론적 분석
1) 사회학적 관점

[청소년의 실태]
Ⅲ.결론

본문내용

결정된다고 보았다. 예를 들면, 자살풍조가 강하게 작용하는 지역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결속이 잘 되어 있지 않은 지역과 너무 사회적 결속이 과도한 집단에서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뒤르켐은 자살을 사회적 연대성에 따라 사회적 연대성이 낮은 이기적 자살과 높은 이타적 자살로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청소년기 자녀양육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할 수 있는 부모교육이나 가족구성원간의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야 하고, 청소년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학업성적 제일주의, 대학입시 중심의 비인격적 교육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학교와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자살가능성이 있는 청소년에 대해 청소년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가정환경, 학교환경 등의 개선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이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살을 하게 되면 가족, 친구, 교사 등은 말할 수 없는 고통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따라서 자살을 시도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후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프랑스의 Impasse et Devenir는 의료전문가로 구성된 단체로 병원에서 퇴원하는 자살시도 청소년에게 그룹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는 자살시도 청소년과 가족을 함께 상담하여 자살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청소년 자살로 인한 후속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살한 청소년의 가족, 친구, 교사와 같은 주변인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사후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청소년의 실태]
이미 청소년과 젊은층의 이 같은 건강에 위험을 주는 문제들이 공론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조사 결과에서 그 증가세가 계속 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올해 통계청은 '2006 청소년통계’를 발표했는데, 이에 따르면 2004년 0~24세 사망률은 10만명당 41.3명으로 2000년 56.3명에 비해 15.0명, 전년도 46.0명에 비해서는 4.7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2004년 청소년(15~24세) 사망원인 1위는 운수사고이지만 고의적자해(자살)가 6.5명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는 것.
더불어 20~24세의 사망원인 1위가 고의적자해(자살)로 인구 10만명당 12.3명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문가들에 의하면 자살을 시도하는 청소년이 자살사망자수의 30∼50배로 연간 약 6000명∼10,000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자살한 청소년의 원인파악도 중요하지만, 특히 충동적인 성향을 가진 청소년이나 젊은층의 경우 우울증이나 조울증에 대한 파악과 후속조치도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기분장애클리닉(하규섭 교수)에서는 질병관리본부 뇌의약학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4월 3일부터 4월 11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6세부터 60세 일반인 3,356명 (고등학생 1,963명, 대학생 761명, 일반인 632명)을 대상으로 우울증과 조울병 선별 검사를 동시에 시행했다.
조사에 의하면, 전체 대상자 3,356명중 우울증세가 있는 사람은 584명(17.4%)이었고 이중에서 심각한 우울증상을 보이는 대상자는 278명(8.3%)으로 분석됐다.
우울증세를 보이는 비율이 고등학생 22.%로, 대학생 12.1%나 일반성인 9.65%에 비하여 훨씬 높았으며 중증 우울증 대상자도 고등학생 10.7%, 대학생 4.34%, 일반성인 5.38%로 나타나 고등학생의 우울증세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자살 뿐 아니라 청소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다른 요인들은 바로 흡연과 음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의 2005 청소년 흡연실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남자청소년의 경우 2002년도에는 15.4세 때 처음 흡연을 시작했던 것이 2005년도에는 14.9세로 더욱 낮아졌다. 여자청소년 역시 2002년도에 15.1세이던 것이 2005년도에는 14.7세로 남자 청소년보다 어린 나이에 흡연을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어린 나이에 흡연을 시작하면 그만큼 더 끊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한다.
이에 “성인 남성 흡연율을 낮추기 위한 관리도 중요하지만 청소년이나 어린이의 금연 교육도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음주 또한 성인이 되면 자연히 접할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 속에 올바른 교육이 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는 국가청소년위원회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 음주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지금까지 한번이라도 술을 마셔본 경험을 나타내는 평생음주율이 1999년 60.2%에서 2002년 70.5%, 2004년에는 74.4%로 증가했다.
이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사업을 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전국 31개소)가 2005년도에 실시한 "청소년 정신건강 선별검사" 결과에서 중,고등학생 중 약 5%가 우울증을 보이고 기타 불안증이나 인터넷 중독 등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학생의 비율이 약15%라고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왕따나 학교폭력, 과중한 학업 스트레스, 약물중독, 인터넷 중독 등 유해 환경으로 인한 정신건강상의 위험이 심각한 수준으로 범사회적인 대처가 절실하다”고 의견을 전한다.
Ⅲ.결론
자살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점에서 다른 원인에 의한 죽음에 비해서 양상과 내용, 그리고 의미가 다르다. 특히 청소년의 자살은 성인이나 노인의 경우와는 달리 인간발달의 과도기적인 측변에서 미성숙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다른 양상을 보인다. 또한 자살에 대하 이해도 부족하고 예측하기 곤란할지라도 예방을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의 자살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인적 노력과 청소년이 자신의 성숙을 위해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사회적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자살을 포함한 청소년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사회가 각각 떨어져서 노력할 것이 아니라 모두 연계되어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3.02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