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혁명의 배경: 전제정치와 농노제
Ⅱ.혁명운동의 성장: K-MAX주의와 혁명정당의 성립
Ⅲ. 1905년 혁명
Ⅳ. 1905 혁명운동의 성과
Ⅴ. 1차 세계대전과 2월 혁명
1. 1차 세계대전의 영향
2. 1917년 러시아 혁명(2월 혁명)의 발생
3. 임시정부 수립기: 2중 권력의 시기
4. 레닌의 4월 테제
Ⅵ. 10월 혁명과 소비에트 정권의 수립
Ⅶ. 러시아 10월 혁명의 의의
1.국내적 성공원인
2.국제적 성공원인
Ⅷ. 러시아 혁명의 영향
Ⅱ.혁명운동의 성장: K-MAX주의와 혁명정당의 성립
Ⅲ. 1905년 혁명
Ⅳ. 1905 혁명운동의 성과
Ⅴ. 1차 세계대전과 2월 혁명
1. 1차 세계대전의 영향
2. 1917년 러시아 혁명(2월 혁명)의 발생
3. 임시정부 수립기: 2중 권력의 시기
4. 레닌의 4월 테제
Ⅵ. 10월 혁명과 소비에트 정권의 수립
Ⅶ. 러시아 10월 혁명의 의의
1.국내적 성공원인
2.국제적 성공원인
Ⅷ. 러시아 혁명의 영향
본문내용
혁명보다 훨씬 더 세계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소련 공산주의는 자신이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이자 자본주의에 비해 우월한 체제이며 결국 자본주의를 이길 것으로 운명 지워진 체제라고 주장했다. 10월 혁명 후 20세기 전 시기 동안의 국제정치는 사회혁명 (소련과 국제공산주의 또는 그 동맹관계 등) 에 맞선 구 질서세력의 투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후 20세기가 경과함에 따라 경쟁적인 두 사회체제세력 사이의 결투로 세계 정치는 점점 더 비 현실화에 가까워진다. 초강대국들의 대결이 바로 그것이다. 이로 보았을 때 러시아에서 일어난 혁명은 러시아에 자유와 사회주의를 가져다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세계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야기하기 위해 일어난 혁명이라고 볼 수 있다. 마르크스도 생애 말년에 러시아 혁명이 서방 국들에게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촉발시키는 일종의 기폭제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했다고 한다. 사실 혁명이 확산되는 것보다 더 가능성 있는 일도 없었다. 1차 대전 특히 패전국에서는 정치적 붕괴와 혁명적 위기를 맞이했으며 1차 대전 유럽사회는 전쟁의 압력과 염증에서 곳곳에서 전쟁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이어졌고 러시아 혁명이 국제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것은 명백했다. 즉 1917년 까지 전 유럽이 혁명이 터질 수 있는 사회적 화약고가 된 것이었다. 그렇지만 러시아를 사회주의 건설에 주력하도록 한 레닌의 결정을 정당화 시키는 세계혁명은 일어나지 않았고 사회주의와 소련은 한 세대 동안 가난하고 낙후된 고립상태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0월 혁명이후 2년 동안 혁명이 전 지구를 휩쓸었다. 쿠바의 담배 노동자들은 소비에트를 구성했고 스페인에서는 좌파가 무정부주의자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917-19년은 볼셰비키의 2년 이라 불릴 정도였다. 또한 1919년 북경과 1918년 아르헨티나의 코르도바에서는 혁명적 학생운동이 연이어 일어났고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는 각국의 혁명적 마르크스 지도자 및 정당이 생겨났다. 즉, 10월 혁명은 전 세계에서 세계를 뒤흔든 사건으로 인정되었다. 또한 혁명은 혁명가들만 고무했던 것이 아니라 혁명을 고무했다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1918년 중부유럽에서는 대중 정치파업과 반전시위가 일어났고 그 물결은 독일로 확산되었다. 9월에는 불가리아의 농민 병사들이 공화국을 선포했고 10월에는 합스부르크 왕정이 무너지고 국민국가들이 선포되었다. 이에 서방에서는 레닌의 민족주의에 대응하는 윌슨 대통령의 14개 조항으로 대표되는 반응을 초래한다.
참고문헌
에릭 홉스 봄 - 극단의 시대 : 20세기 역사 - 1997 - 까치글방
황인평 - 볼셰비키와 러시아 혁명 - 1985 - 거름신서
김학준 - 러시아 혁명사 - 1999 - 문학과 지성사
E.H 카 /신계륜 역 - 러시아 혁명(레닌에서 스탈린까지) - 1997 - 나남신서
E.M 번즈, R 러너, S 미첨 / 손세호 역 - 서양 문명의 역사 - 2007 - 소나무
신채식 - 서양사개론 - 2006 - 삼영사
H.스튜어트 휴즈 - 서양 현대사 - 1988 - 종로서적
R.R 파머 J 콜튼 - 서양 근대사 - 1985 - 삼지원
목차
Ⅰ.혁명의 배경: 전제정치와 농노제
Ⅱ.혁명운동의 성장: K-MAX주의와 혁명정당의 성립
Ⅲ. 1905년 혁명
Ⅳ. 1905 혁명운동의 성과
Ⅴ. 1차 세계대전과 2월 혁명
1. 1차 세계대전의 영향
2. 1917년 러시아 혁명(2월 혁명)의 발생
3. 임시정부 수립기: 2중 권력의 시기
4. 레닌의 4월 테제
Ⅵ. 10월 혁명과 소비에트 정권의 수립
Ⅶ. 러시아 10월 혁명의 의의
1.국내적 성공원인
2.국제적 성공원인
Ⅷ. 러시아 혁명의 영향
참고문헌
에릭 홉스 봄 - 극단의 시대 : 20세기 역사 - 1997 - 까치글방
황인평 - 볼셰비키와 러시아 혁명 - 1985 - 거름신서
김학준 - 러시아 혁명사 - 1999 - 문학과 지성사
E.H 카 /신계륜 역 - 러시아 혁명(레닌에서 스탈린까지) - 1997 - 나남신서
E.M 번즈, R 러너, S 미첨 / 손세호 역 - 서양 문명의 역사 - 2007 - 소나무
신채식 - 서양사개론 - 2006 - 삼영사
H.스튜어트 휴즈 - 서양 현대사 - 1988 - 종로서적
R.R 파머 J 콜튼 - 서양 근대사 - 1985 - 삼지원
목차
Ⅰ.혁명의 배경: 전제정치와 농노제
Ⅱ.혁명운동의 성장: K-MAX주의와 혁명정당의 성립
Ⅲ. 1905년 혁명
Ⅳ. 1905 혁명운동의 성과
Ⅴ. 1차 세계대전과 2월 혁명
1. 1차 세계대전의 영향
2. 1917년 러시아 혁명(2월 혁명)의 발생
3. 임시정부 수립기: 2중 권력의 시기
4. 레닌의 4월 테제
Ⅵ. 10월 혁명과 소비에트 정권의 수립
Ⅶ. 러시아 10월 혁명의 의의
1.국내적 성공원인
2.국제적 성공원인
Ⅷ. 러시아 혁명의 영향
추천자료
러시아 매춘산업과 한국내 러시아 유희들의 실태
소비에트(소련) 전쟁문학의 흐름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중국의 항일투쟁과 제1차 국공합작 그리고 국민정부의 수립
[러시아문화][러시아의 문화][러시아 결혼문화][러시아 음식문화][러시아 음주문화][러시아 ...
[러시아][구소련][러시아의 역사][러시아의 경제][러시아의 문화][러시아의 문화운동]러시아(...
[흑아프리카연방][미국연방][캐나다연방][독일연방][러시아연방][연방제][흑아프리카][미국][...
[러시아교육][교육과정][교육개혁][유아교육]러시아교육의 교육제도, 러시아교육의 교육과정,...
[러시아경제, 러시아경제 극동지역, 러시아경제 외환위기, 러시아경제 대한반도정책, 다자간 ...
러시아문화의 마르크시즘(마르크스주의), 러시아문화의 포르마리즘, 러시아문화의 다다이즘, ...
[북러(러시아, 북한), 관계회복, 북한핵개발논의]북러(러시아와 북한)의 관계회복, 북러(러시...
[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 소련, 소비에트연방]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의 배경, 소...
[러시아][러시아 역사적 기원][러시아 사회문화][정치][경제][음악][한인][보드카]러시아의 ...
[러시아][러시아 마피아][성바실리사원][러시아 음주문화]러시아의 사상(마르크시즘, 맑시즘)...
[러시아노무관리][실업률][이직률][러시아 노무관리 전략]러시아노무관리의 동향, 러시아노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