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동북아의 변화, 갈등과 협력
2. 동북아 지역의 정치현황 : 변화와 갈등
3. 동북아 지역의 현실
4. 동북아 공동체
5. 개별 구성국가들의 입장
6. 결론
2. 동북아 지역의 정치현황 : 변화와 갈등
3. 동북아 지역의 현실
4. 동북아 공동체
5. 개별 구성국가들의 입장
6. 결론
본문내용
것이다. 동북아국가들에 국한된 동북아공동체가 다른 지역보다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동북아공동체를 논할 때, 그 활동 공간은 동북아시아에 국한할 수 있어도 참여 주체는 순수한 동북아국가들이라고 할 수 있는 남북한과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아세안, 러시아, 미국까지 확대 되어야 할 것이다.
5. 개별 구성국가들의 입장
중국은 국토가 넓은 만큼 동북아에서의 이해관계도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중국은 한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과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선 분쟁을 겪고 있다. 중국은 미일동맹과 한미동맹이 구소련 붕괴이후 중국을 견제하는 동맹으로 바뀐 것으로 인식한다. 구소련이 그렇게 하였듯이 중국은 미국의 대중봉쇄정책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주변국이 미국과의 군사협력을 하는 것에 대해 많은 우려와 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아세안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 접근에는 그러한 배경이 깔려 있다. 본래 아세안은 중국 공산화 이후 동남아의 반정부세력에 대한 중국정부의 지원으로 공산주의가 확산될 우려가 있자 이를 경계하면서 탄생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기존 아세안 회원국들이 인도차이나국가들을 신규회원국으로 가입시킨 것도 인도차이나와 중국의 교류로 중국 권역이 증대되어 아세안에 위협이 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냉전종식과 더불어 1990년대 초 다수의 동남아국가들이 중국과 국교를 정상화하였고, 1994년 중국은 ARF에 참여하고 있다.
6. 결론
따라서 우리는 이래에 도래할 동북아 공동체의 실현을 위해서 그에 따른 제도적, 절차적 정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5. 개별 구성국가들의 입장
중국은 국토가 넓은 만큼 동북아에서의 이해관계도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중국은 한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과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선 분쟁을 겪고 있다. 중국은 미일동맹과 한미동맹이 구소련 붕괴이후 중국을 견제하는 동맹으로 바뀐 것으로 인식한다. 구소련이 그렇게 하였듯이 중국은 미국의 대중봉쇄정책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주변국이 미국과의 군사협력을 하는 것에 대해 많은 우려와 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아세안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 접근에는 그러한 배경이 깔려 있다. 본래 아세안은 중국 공산화 이후 동남아의 반정부세력에 대한 중국정부의 지원으로 공산주의가 확산될 우려가 있자 이를 경계하면서 탄생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기존 아세안 회원국들이 인도차이나국가들을 신규회원국으로 가입시킨 것도 인도차이나와 중국의 교류로 중국 권역이 증대되어 아세안에 위협이 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냉전종식과 더불어 1990년대 초 다수의 동남아국가들이 중국과 국교를 정상화하였고, 1994년 중국은 ARF에 참여하고 있다.
6. 결론
따라서 우리는 이래에 도래할 동북아 공동체의 실현을 위해서 그에 따른 제도적, 절차적 정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동아시아 지역경제협력의 정치: 한국의 시각
동아시아 군주 권력과 국가(대동사상과 이상적인 황제 정치)
[동북공정][중국][고구려]동북공정의 배경과 의도 및 중국의 고구려에 대한 입장과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의 연혁과 동북아 허브공항으로서의 인천국제공항 및 세계의 유명공항 사례로 본...
동아시아 정치경제 A급 자료
동아시아 금융위기의 정치경제
[정치외교] 중국의 동북아정책
근세의 정치 - 조선의 건국,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유교 정치 실현, 중앙 정치 체제, 붕당...
일본의 동북아 정책,동북아 지역협력,동아시아 귀환과 중국의 부상,지역공동체, 일본의 동아...
오바마 대통령 방한에 따른 한국 외교 정책 비평 - 美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과 한일 ...
냉전, 테러, 전쟁(세계정치론, 탈냉전시대, 옐친에서푸틴으로, 동아시아문제, 911, 이라크전...
북유럽국가, 아시아권 이슬람국가정치,경제,문화 특성
동아시아정치경제론
소개글